목차 일부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11
자료 출처 = 19
제1장 교사교육의 문제점 = 27
1. 도입 = 29
2. 교사교육의 역사 = 29
3. 전통적 접근의 문제점 = 32
4. 교육변화의 문제점 = 36
5. 교사교육자가 되는 일의 어려움 = 40
6. 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하여 = 44
7. 수학교육 분야의 사례 = 49
8. 현실...
목차 전체
목차
역자 서문 = 3
저자 서문 = 11
자료 출처 = 19
제1장 교사교육의 문제점 = 27
1. 도입 = 29
2. 교사교육의 역사 = 29
3. 전통적 접근의 문제점 = 32
4. 교육변화의 문제점 = 36
5. 교사교육자가 되는 일의 어려움 = 40
6. 새로운 패러다임을 향하여 = 44
7. 수학교육 분야의 사례 = 49
8. 현실적 교사교육 = 51
9. 이 책의 구성 = 52
제2장 이론과 실제 사이의 관계 : 고전으로 돌아가기 = 57
1. 도입 = 59
2. 지식의 유형 = 61
3. 에피스테메로서의 지식 = 62
4. 프로네시스로서의 지식 = 65
5. 실제적인 것의 질료 = 67
6. 결론 = 70
7. 마지막 단평 = 74
제3장 실제로부터의 학습 = 77
1. 도입 = 79
2. 현실적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실례 = 81
3. 교수에 대한 학습과정에 사용되는 교수방법 = 86
4. 선입견 = 88
5. 덜 합리적인 정보처리과정과 게슈탈트의 역할 = 90
6. 학습의 출발점으로서의 경험 = 95
7. 반성 = 96
8. 경험에 대한 반성의 촉진 = 98
9. 교사교육에서 반성을 촉진해야 하는 이유 = 100
10. 결론 : 교사교육교수법을 향하여 = 103
제4장 반성에 대한 반성 = 107
1. 도입 = 109
2. 반성과 교사교육에 대한 견해 = 111
3. 반성의 개념화 = 112
4. 반성의 조작화 방법 = 115
5. 혼란 안에서 취할 수 있는 한 입장 = 118
6. 두 가지 수준의 관리 체제 = 119
7. 행동과 학습, 반성 간의 관계 = 122
8. 나선형 순환에 대한 고찰 = 123
9. 현장실천연구 = 127
10. 맺음말 = 131
제5장 현실적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구축 = 135
1. 도입 = 137
2. 변화의 역설 = 138
3. 전문성 학습에 관한 세 가지 기본원리 = 139
4. 교사교육 방법론에서의 세 가지 기본 원리 활용 = 141
5. 사례 : 일대일 수업 실습 경험 = 143
6. 프로그램의 조직 = 146
7. 질 관리와 평가 = 155
8. 세 가지 수준의 일치 = 157
9. 옥스퍼드 인턴십 프로그램과의 유사성 = 158
10. 이 장 이후의 내용 = 160
제6장 현실적 접근과 반성의 촉진에 대한 평가 연구 = 165
1. 도입 = 167
2. 현실적 접근에 대한 평가 연구 = 168
3. 반성의 조작화 문제 = 170
4. 반성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과 전략의 효과에 관한 실증적 자료 = 171
5. 반성 촉진을 위한 네덜란드 교사교육 프로그램 연구 = 173
6. 결론 및 후행 연구를 위한 제언 = 187
제7장 예비교사에 대한 개별적 지도 과정 = 193
1. 도입 = 195
2. 점진성의 전략 = 196
3. 도움의 과정 : 나선형 전문성 개발의 지도 = 197
4. 기본적인 지도 기술 = 200
5. 1단계에서의 도움주기(행동) = 205
6. 2단계에서의 도움주기(되돌아보기) = 206
7. 3단계에서의 도움주기(본질적 양상의 인식) = 214
8. 4단계에서의 도움주기(대안적 행동방법 구상) = 218
9. 5단계에서의 도움주기(시도) = 220
10. 그 밖의 기술= 221
11. 맺음말 = 224
제8장 반성적 교사의 특징 = 229
1. 도입 = 231
2. SOL 프로그램에서 추구하는 좋은 수업 개념에서의 반성의 역할과 성격 = 233
3. 반성적 교사의 핵심적 특성 = 234
4. 반성능력의 부차적 특징 = 241
5. 기타 관련 사항 = 250
6. 결론 = 253
제9장 예비교사에 대한 집단적 지도 = 257
1. 도입 = 259
2. 다섯 단계의 절차 = 261
3. 다섯 단계의 절차 설명 = 264
4. 구체적이고 방법적인 네 가지 기술 = 277
5. 방법적인 네 가지 기술의 효과 연구 = 283
6. 스스로 반성하는 집단 = 290
7. 맺음말 = 293
제10장 교사의 전문성을 위한 학습 : 어떻게 일어나는가? = 297
1. 도입 = 299
2. 학습의 세 가지 수준 = 301
3. 게슈탈트의 형성 = 304
4. 도식화 = 307
5. 이론 수립 = 311
6. 경험적 증거에 기초한 세 가지 수준의 예증 = 314
7. 세 가지 수준 간의 관계에 대한 자세한 탐구 = 321
8. 세 가지 수준 모형의 이론적 기초 = 328
9. 시사점 = 334
10. 앞선 장들의 재구성 = 342
제11장 반성의 촉진을 위한 도구 및 기법 = 347
1. 도입 = 349
2. 자기성장 능력 신장과 관련한 어려움 = 350
3. 실습록의 구성 = 352
4. 교사교육자의 역할 = 355
5. 대인적 교사행동의 견지에서 '반성의 학습'이라는 목표의 조작적 정의 = 359
6. '존'의 사례 = 362
7. 실습록 기록에 관한 개별 지도 = 366
8. 반성의 두 가지 방식 = 368
9. 총체적인 반성을 위한 기법과 도구 = 369
10. 학습 성향 = 378
제12장 반성에 관한 포괄적 관점 = 383
1. 도입 = 385
2. 정보처리의 두 가지 방식 = 386
3. 전문성 개발 수단인 반성의 일면성 = 390
4. 결과 = 392
제13장 현실적 접근을 위한 교사교육자 훈련 = 397
1. 도입 = 399
2. 교사교육자의 전문성 개발 = 399
3. 현실적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사교육자에 대한 요구 = 401
4. 교사교육자를 위한 훈련과정 = 402
5. 훈련 활동 및 연습 = 409
6. 훈련과정에 나타난 교육학의 원리 = 416
7. 훈련과정에 대한 반성과 제언 = 417
제14장 현실적 접근 : 원칙과 철학적 배경 그리고 그 미래 = 421
1. 도입 = 423
2. 현실적 교사교육 : 요약 = 424
3. 무엇이 새로운가? = 427
4. 현실적 접근의 도덕적 토대 = 430
5. 전망 = 444
참고문헌 = 453
찾아보기 = 48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