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센 겐시츠[千玄室]
맛있게 차를 대접하기 위해서
한 잔의 차 = 10
차 마시는 법 : 해설 : 초인목(草人木) = 12
어마어마한 작법 : 해설 : 인사의 종류 = 14
과연 외국인이 일본의 다도를 알 수 있을까 : 해설 : 외국인과 다도 = 16
다도의 역사 = 18
계고(稽古)란 무엇인가
창피를 당하는 곳 = 22
다도(茶...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센 겐시츠[千玄室]
맛있게 차를 대접하기 위해서
한 잔의 차 = 10
차 마시는 법 : 해설 : 초인목(草人木) = 12
어마어마한 작법 : 해설 : 인사의 종류 = 14
과연 외국인이 일본의 다도를 알 수 있을까 : 해설 : 외국인과 다도 = 16
다도의 역사 = 18
계고(稽古)란 무엇인가
창피를 당하는 곳 = 22
다도(茶道) = 24
계고(稽古) : 해설 : 겐겐사이의 계고의 마음가짐 = 26
형(型)과 형(形) = 28
데마에[点前]에 대하여
움직임의 미(美) : 해설 : 데마에의 종류 = 32
데마에의 마음과 형 = 34
숯불 조절하기 : 해설 : 숯의 종류 = 36
데마에의 세 가지 요점 : 해설 : 조하큐[序破急]란 = 38
일기일회(一期一會) : 해설 : 일기일회 = 40
흘러가듯이 : 해설 : 슈하리[守破離]에 대하여 = 42
찻구기와 활 화살 : 해설 : 찻구기 = 44
주인과 손님에 대하여
소중한 차 : 해설 : 줄탁동시(?啄同時) = 48
마시기 좋도록 : 해설 : 칠칙(七則) = 50
자연으로 돌아가다 : 해설 : 『남방록(南方錄)』 = 52
달의 마음 = 54
상대방의 마음에 맞추려는 마음 : 해설 : 다완은 왜 돌리는가 = 56
화심(和心) : 해설 : 화경청적(和敬淸寂)이란 = 58
주인의 태도 : 해설 : 배견(拜見) = 60
사람을 존중하다 : 해설 : 기진다테[貴人点] = 62
다회(茶會)에 대하여
점다(点茶)의 효용 : 해설 : 말차(抹茶)의 분량 = 66
지금의 지금 할 수 있는 것 = 68
미타테[見立て] : 해설 : 미타테 도구 = 70
기모노[着物] : 해설 : 기모노 = 72
준비와 마무리 : 해설 : 미즈야[水屋]에서의 마음가짐 = 74
노다테[野点] : 해설 : 노다테에 관하여 = 76
류레이[立禮] 방식의 차 : 해설 : 류레이다나[立禮棚] = 78
다도구에 대하여
다도구 : 해설 : 찻솔 = 82
다시(茶匙) : 해설 : 다시 = 84
도구 다루기 : 해설 : 리큐 거사의 도가(道歌) = 86
도코노마[床の問] : 해설 : 도코노마와 족자 = 88
다완(茶碗) : 해설 : 다완 = 90
살아 있는 재 : 해설 : 재와 재의 모양 = 92
찻자리의 꽃(茶花)에 대하여
꽃의 네 가지 푸르름 : 해설 : 대나무 꽃병 = 96
꽃은 들에 핀 꽃과 같이 : 해설 : 꽃병의 진행초(眞行草) = 98
정중동(靜中動) : 해설 : 금화(禁花) = 100
여정(余情) : 해설 : 꽃꽂이 보기를 소망함 = 102
다실과 로지
다실(茶室) : 해설 : 다실의 구성 = 106
니지리구치[린口] : 해설 : 니지리구치에 대하여 = 108
꾸밈없는 모습 : 해설 : 시중(市中)의 산거(山居) = 110
로지[露地] : 해설 : 로지 = 112
다다미 넉 장 반 : 해설 : 히로마와 고마 = 114
가이세키와 과자
가이세키[懷石] : 해설 : 다회와 가이세키 = 118
가이세키를 준비하는 마음 : 해설 : 가이세키의 종류 = 120
고이차[濃茶] = 122
화과자(和菓子)의 역할 : 해설 : 오모가시와 히가시 = 124
와비에 대하여
움직이기 시작한 와비 = 128
에필로그를 대신하여 / 나야 소탄[納屋宗淡] = 130
사진설명 = 132
우라센케[裏千家] 역대 이에모토 소개 = 134
우라센케 해외출장소 연락처 일람 = 136
역자후기 / 박전열(朴銓烈) = 13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