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동양적인 것의 슬픔?? 그리고 신화의 힘 = 5
서사(序詞) = 14
제1부 동아시아 이미지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1 사라진 신들과의 교신을 위하여 - 도연명(陶淵明)의「독산해경(讀山海經)」, 황지우의 「산경(山徑)」 = 19
신화ㆍ주술ㆍ시
「독산해경」:궁핍한 시대의 원유(遠遊)
「산경」:황홀한 귀환
맺는말
2 식인ㆍ광기ㆍ근대 -...
목차 전체
목차
‘동양적인 것의 슬픔?? 그리고 신화의 힘 = 5
서사(序詞) = 14
제1부 동아시아 이미지는 어떻게 살고 있는가?
1 사라진 신들과의 교신을 위하여 - 도연명(陶淵明)의「독산해경(讀山海經)」, 황지우의 「산경(山徑)」 = 19
신화ㆍ주술ㆍ시
「독산해경」:궁핍한 시대의 원유(遠遊)
「산경」:황홀한 귀환
맺는말
2 식인ㆍ광기ㆍ근대 - 루쉰(魯迅)의 「광인일기」, 이문열의 『황제를 위하여』 = 49
식인동물과 야누스
「광인일기」: 진인(眞人)을 찾아서
『황제를 위하여』: 현대에 다시 씌어진 「광인일기」
맺는말
3 금지된 욕망과 물의 서사 - 황순원의 「소나기」, 서머싯 몸의 「비」 = 73
물과 에로티시즘
홍수남매혼신화에서 달래강 전설까지
「소나기」와 「비」: 물의 서사의 현대적 변용
맺는말
4 주목왕(周穆王) 서쪽으로 간 까닭은?
가오싱젠(高行建)의 『영혼의 산』, 최인훈의 『서유기』 = 101
『목천자전(穆千子傳)』: 로맨스와 왕권
고전 『서유기』:마음의 행로
『영혼의 산』과『서유기』: 전환기의 이데올로기적 정체성
맺는말
5 투계, 아버지의 부재를 위한 진혼굿
진홍(陳鴻)의 「동성노부전(東城老父傳)」, 이광수의 「스무 살 고개」, 송영의「투계」 = 129
봉황새는 촌닭이다
투계는 언제부터 어떻게 오늘에 이르렀나?
「동성노부전」: 닭이 된사나이의 고백
「스무 살 고개」와 「투계」: 아버지의 부재를 위한 진혼굿
맺는말
제2부 중국문학의 고위금용(古爲今用)을 위하여
6 정경교융(情景交瀜)의 시학과 생태학적 문학론
김용택의 『그 여자네 집』 = 161
깊이의 녹색문학을 위하여
천인합일론(天人合一論)과 문기론(文氣論)
정경교융의 시학과 『그 여자네 집』
맺는말
7 소설문법의 다원화와 전통소설론적 독법 - 이문열의 『황제를 위하여』 = 187
이문열 비평, 무엇이 문제인가?
작가의 전기적 배경
작품론의 전개 양상
동아시아 서사 전통에서 본 『황제를 위하여』
맺는말
제3부 상상력의 제국주의를 넘어서
8 중국 환상문학의 역사와 이론 - 판타지 소설의 흥기와 관련하여 = 217
중국 환상문학의 의미범주
중국 환상문학의 역사적 전개
중국문학에서의 환상성에 대한 논의
맺는말
9 신화 속의 몸, 몸 속의 신화 - 중국신화 이미지의 삶 = 233
이미지의 영원회귀
신화 속의 몸
몸 속의 신화
맺는말
10 사이보그 서사의 기원, 역사 그리고 비교학적 성찰 = 253
『산해경(山海經)』에서 내단법(內丹法)까지
『변신 이야기』에서 하이테크까지
맺는말
11 중국 상상력의 시각에서 본 일본 문화산업 속의 요괴 모티프 = 279
동아시아 근대의 고향, 일본
신화의 나라, 이미지의 제국 일본
일본 문화산업의 학문적 배경:요괴학과 도교학
중국 상상력과 일본 문화산업 속의 요괴 모티프
맺는말
찾아보기 = 29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