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4
머리말 = 12
제1부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기초
제1장 삶을 위한 미술교육 : 개념적ㆍ문화적 기초 :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목표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의 문화적 내용 = 17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구조 = 22
실질적 삶의 문제들 = 32
결론 = 35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 37
제2장 실제적 교수 : 삶을...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4
머리말 = 12
제1부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기초
제1장 삶을 위한 미술교육 : 개념적ㆍ문화적 기초 :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목표
삶을 위한 미술교육에서의 문화적 내용 = 17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구조 = 22
실질적 삶의 문제들 = 32
결론 = 35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 37
제2장 실제적 교수 :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이론적 기초
교육적 이론 : 왜 우리가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 38
실제적 교수 : 삶을 위한 미술교육 모델 = 40
미술에서의 실제적 교수와 학습의 구축 = 42
실제적 교수의 평가 = 53
실생활에서의 실습으로서 미술학습의 예시 = 55
결론 = 57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 58
제2부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교수ㆍ학습 전략
제3장 미술교육과 시각문화
시각문화에 대해 = 60
시각문화 교육 = 61
미술교육에서 다루는 시각문화의 기원 : 역사적 관점을 중심으로 = 63
현대의 조류 : VCAE = 73
사례 : 환경 광고로 호소하기 = 83
결론 = 88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 89
제4장 개인적인 표현과 창의성
개인적인 그리고 사회적인 창의성 = 90
창의적 특성과 미술 수업 : 사회적 전망 = 93
인지로서의 창의성 : 은유의 결정적 역할 = 98
학교에서의 창의적 환경의 발전 = 102
결론 = 107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 107
제5장 미학
무엇이 미학인가? = 108
미학의 주 관심사는 무엇인가? = 109
미학자들이 하는 일은 무엇인가? = 114
비판적 탐구로서의 미학 : 탐구과정 = 119
결론 = 128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 129
제6장 미술 비평
무엇이 비평이며 왜 미술비평을 하는가? = 130
미술 비평의 전제들 = 132
교육적 미술 비평 = 133
미술 비평을 위한 모델들 = 134
추가 활동들 : 미술 비평 전략들 = 150
결론 = 153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 153
제7장 미술사
사회적 구성으로서의 미술사 = 154
미술사의 실제 = 158
교육 안에서의 미술사 = 161
바이외 태피스트리 : 실제적 미술사 수업의 한 사례 = 164
미술사를 통한 사회적 의식의 발전 = 170
실제적 미술사를 위한 활동들 = 174
결론 = 179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 181
제8장 미술 제작
의미를 위한 미술 제작 = 182
매체를 이용한 상징적 의사소통으로서의 미술 제작 = 186
미술 제작의 과정 = 192
손을 통한 배움에 대한 신념 = 195
미술 제작에서의 질적 교수법 = 196
결론 = 203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 204
제9장 새로운 테크놀로지와 미술교육
테크놀로지와 문화 = 206
새로운 테크놀로지 : 미술가, 이슈, 그리고 아이디어 = 208
새로운 테크놀로지 : 미술교육을 위한 이슈, 내용, 방법 = 214
빌 비올라 연구 : 테크놀로지를 이용한 수업 사례 = 220
결론 = 222
연구와 토론을 위한 질문들 = 224
제3부 교수를 위한 모델
주제별 탐구 = 226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중심 주제 = 227
주제 중심의 미술활동 = 228
이어지는 교수 단원들 = 229
제10장 연구일지와 자기 의식능력
개요 = 230
주요 개념 = 230
기초 내용 = 230
학습목표 = 234
유의점 = 234
학습자료 = 234
과정 = 234
평가 = 235
제11장 크쥐슈토프 우디츠코와 미술의 사회적 의무
개요 = 238
주요 개념 = 238
기초 내용 : 크쥐슈토프 우디츠코와 미술의 사회적 의무 = 239
학습 목표 = 240
학습 자료 = 240
과정 = 241
평가 = 245
제12장 〈구름이 가득한 바다〉 시엘 버그먼, 낸시 메릴, 그리고 환경 의식
개요 = 246
주요 개념 = 246
기초 내용 = 247
학습목표 = 251
학습자료 = 252
과정 = 252
평가 = 255
제13장 프레드 윌슨의 설치미술과 역사적 내러티브의 재구성
개요 = 256
주요 개념 = 257
이슈와 가설들 = 257
기초 내용 = 257
학습목표 = 260
유의점 = 260
학습자료 = 260
과정 = 260
평가 = 263
확장 또는 대안 = 263
제14장 차넬 할러웨이의 미술작품을 통한 정체성 문제 탐구
개요 = 264
주요 개념 = 264
기초 내용 = 265
학습목표 = 267
학습자료 = 268
과정 = 268
평가 = 273
제15장 평화를 위한 미술
개요 = 274
주요 개념 = 274
기초 내용 = 274
학습목표 = 283
학습자료 = 284
과정 = 284
평가 = 289
제16장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종합
의미 탐색으로서의 미술 = 291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목적 = 291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내용으로서의 문화 = 291
실제적 교수의 의미 :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교육적 철학 = 291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교육과정과 교수ㆍ학습 전략 = 292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개념 = 293
삶을 위한 미술교육의 목표인 공동체적이고 사회적인 성장 = 294
결론 = 295
핵심 용어 = 297
참고문헌 = 305
그림출처 = 326
찾아보기 = 328
옮긴이의 말 = 33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