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동아시아 미술문화가 갖는 자연적 세계관과 교육방안 = 13
1. 동아시아 미술문화에 대한 시각 = 13
2. 동아시아 예술사상과 자연적 세계관 = 15
1) 예술철학에 대한 재인식 = 15
2) 미술문화와 자연적 세계관 = 18
3. 자연에 대한 이해와 학습활동 = 21
1) 자연에 대한 재인식 = 21
2) 자연과의 조우와 학습활동 = 23
...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동아시아 미술문화가 갖는 자연적 세계관과 교육방안 = 13
1. 동아시아 미술문화에 대한 시각 = 13
2. 동아시아 예술사상과 자연적 세계관 = 15
1) 예술철학에 대한 재인식 = 15
2) 미술문화와 자연적 세계관 = 18
3. 자연에 대한 이해와 학습활동 = 21
1) 자연에 대한 재인식 = 21
2) 자연과의 조우와 학습활동 = 23
4. 자연을 통한 관조와 깨달음 = 25
1) 관조와 실재 = 25
2) 깨달음과 직관 = 27
5. 동아시아 미술문화의 계승과 강화 = 30
6. 동아시아 미술문화에 대한 방안모색 = 33
제2장 감상수업에서 언어의 매개적 기능에 관한 이론적 기초 및 교수법 연구 = 37
1. 시작하며 = 37
2. 연구내용과 방법 = 38
3. 구성주의와 언어 = 40
4. 감상교육과 인지 발달 = 42
5. 감상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 분석 = 49
1) '우리나라 미술품' 수업 사례 = 49
2) '재미있는 표현' 수업 사례 = 55
3) '마크와 표지판' 수업 사례 = 58
4) '미술과 상징' 수업 사례 = 61
6. 결론 = 64
제3장 미술교과의 사회적 기능과 주제 중심 통합교육 = 71
1. 시작하며 = 71
2. 문화교육의 이해 = 72
1) 문화교육이란 = 72
2) 문화교육관점에서의 미술교육 = 73
3) 미술교육의 사회적 기능 = 75
3. 주제 중심 통합교육 = 78
1) 주제 중심 통합교육의 이해 = 78
2) 주제 중심 통합교육의 사례-게르니카 프로젝트 = 80
4. '안면도 프로젝트'의 평가 = 83
1) '안면도 프로젝트'의 목표와 내용 = 83
2) 안면도 프로젝트의 교육적 가치 = 85
5. 결론: '안면도 프로젝트'의 확산을 위해 = 92
제4장 초등 미술교육에서 직접교수법의 이해와 적용 = 95
1. 미술교육에서 시범교육, 왜 필요한가 = 95
2. 직접교수법이란 = 97
1) 일반적 원리와 교수형태 = 97
2) 이론적 배경 = 98
3) 특징 = 99
4) 직접교수법의 활용 = 100
5) 미술교과의 관점에서 직접교수법 = 100
3. 직접교수법의 절차 = 102
1) 일반적인 절차 = 102
2) 미술교과의 특성을 고려한 절차 = 102
4. 미술과 수업에서의 적용 = 103
5. 결론 = 113
제5장 이동시점과 산점투시를 도입한 한국화 교수ㆍ학습 모델 = 117
1. 시작하며 = 117
2. 이동시점과 산점투시의 특징 = 118
1) 정신적 배경 = 118
2) 이동시점의 특징 = 120
3) 산점투시의 특징 = 123
3. 한국화 교수ㆍ학습 모델 = 126
1) 교수ㆍ학습 목표 = 126
2) 교수ㆍ학습 대상 = 126
3) 교수ㆍ학습 과정 = 127
4) 교수ㆍ학습 방법 = 127
5) 교사의 역할 = 128
6) 교수ㆍ학습 준비물 = 128
7) 교수ㆍ학습 분위기 = 132
8) 교수ㆍ학습 활동 = 132
9) 교수ㆍ학습 정리 = 135
10) 교수ㆍ학습 평가 = 136
4. 결론 = 138
제6장 프로타주 기법을 이용한 다색판화 연구 = 143
1. 시작하며 = 143
2. 다색판화 교육의 문제점 = 145
1) 다색판화의 작업 유형과 표현 특성 = 146
2) 다색판화 교육의 문제점 = 148
3. 대안으로서의 '프로타주 다색판화' = 152
1) 프로타주 다색판화의 발견 = 152
2) 프로타주 다색판화의 개념과 작업유형 = 153
3) 프로타주 다색판화의 제작 방법과 준비물 = 154
4) 프로타주 다색판화의 작품과 분석 = 156
5) 프로타주 다색판화의 특성과 미술교육적 의의 = 163
4. 결론 = 165
제7장 초등학교에서의 색채교육 = 167
1. 시작하며 = 167
2. 색 = 169
1) 색의 개념 = 170
2) 색의 삼속성 = 179
3. 요하네스 이텐의 색채교육과 슈타이너 학교의 색채교육 = 181
1) 이텐 슐레의 색채교육 = 181
2) 슈타이너 학교의 색채교육 = 184
4. 제7차 교육과정에서 초등학교 색채교육의 분석 = 186
5. 색채학습 프로그램 = 189
1) 이론적 배경 = 189
2) 색채학습 프로그램 = 191
6. 결론 = 215
제8장 표현ㆍ감상과 통합하는 미술이해 교육 = 221
1. 문화시대의 미술이해 교육 = 221
1) 문화시대의 의미 = 221
2) 미술이해 교육 = 225
2. 미술이해 교육에 대한 관점 = 229
1) 미술소비자 교육과 미술생산자 교육 = 229
2) 실기 능력과 미적 안목 = 231
3) 표현을 위한 이해와 이해를 위한 표현 = 237
3. 통합적인 미술이해 교육의 의미 = 238
4. 통합적인 미술이해 교육의 실제 = 240
1) 탈에 대한 통합적민 미술이해 수업 = 240
2) 서양과 한국의 초상화 비교 수업 = 245
3) 민화에 대한 통합적인 미술이해 수업 = 248
5. 결론 = 253
제9장 미술교육과 미술관 = 257
1. 시작하며 = 257
2. 미술관과 그를 둘러싼 담론들 = 259
3. 미국의 미술관 운동 = 263
4. 미술관 교육과 이론적 전제 = 271
5. 결론 = 275
제10장 조선시대 미술작품 비평 형식을 통한 미술비평 지도 모색 = 279
1. 시작하며 = 279
2. 조선시대의 감식ㆍ수장론 = 280
3. 조선시대의 미술비평 형식 = 283
1) 시 형식의 비평 = 283
2) 화제 형식의 비평 = 285
3) 편지글 형식의 비평 = 286
4) 열전식 비평 = 288
5) 평론 형식의 비평 = 289
4. 조선시대 미술비평 형식에 기초한 미술비평 지도 방안 모색 = 291
1) 미술비평의 지도 적용 모형 = 292
2) 시 형식의 비평지도 방안 = 294
3) 편지글 형식의 비평 = 302
제11장 초등학교 전통미술 감상활동의 전개 방안 = 309
1. 시작하며 = 309
2. 초등미술과 전통미술 감상의 의의 = 310
3. 초등미술과 수업 전개방식과 감상수업 = 312
1) 미적 체험 영역에서 제시되는 전통미술 감상 = 313
2) 감상활동 중심 단원에서의 전통미술 감상 = 317
4. 초등미술과 전통미술 감상활동 지도 방향 = 321
1) 전통미술 감상작품 선택 시 고려 사항 = 321
2) 전통미술 감상교육을 위한 교수ㆍ학습의 방향 = 322
3) 전통미술 작품감상 지도 체계 = 324
5. 결론 = 331
제12장 민화의 이해ㆍ표현ㆍ감상 지도에 관한 연구 = 333
1. 시작하며 = 333
2. 민화의 이해 = 335
1) 민화의 의미 = 335
2) 민화의 특징 = 339
3. 민화의 감상 = 342
1) 민화의 목적 = 342
2) 민화 감상 = 344
3) 민화와 이야기 = 349
4. 민화를 통한 표현력 신장 = 351
1) 민화의 모사작품 = 351
2) 민화의 변형작품 = 354
3) 내가 표현하고 싶은 민화 = 355
5. 결론 = 359
제13장 한국 전통건축 감상방법 연구 = 361
1. 시작하며 = 361
2. 전통건축의 이해 = 363
1) 개념 = 363
2) 형성 배경 = 366
3) 신분 이해 = 369
4) 구조 이해 = 371
5) 공간 이해 = 379
3. 전통건축 감상방법 = 381
1) 미술감상 관점과 방법 = 381
2) 전통건축 감상방법 = 387
4. 전통건축 감상지도 방안 = 395
5. 결론 = 406
제14장 전통색채 발굴과 교육방안 연구 = 411
1. 시작하며 = 411
2. 전통색채의 예술철학적 고찰 = 413
1) 색채감성적 인식의 전환 = 413
2) 전통색채의 향유 경향 = 414
3) 전통색채의 발굴과 현대적 변용 = 415
3. 한국의 전통색채와 상징성 = 417
1) 한국의 전통색채 형성 배경 = 417
2) 오방정색ㆍ오방간색 및 잡색(자연색) = 418
3) 한국인의 생활속의 색채의식 = 424
4. 전통색채 교육의 내용과 방안 = 436
1) 전통색채 교육의 내용체계 = 438
2) 전통색채 교육 자료 = 438
5.결론 = 450
찾아보기 = 45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