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우리나라 건강수명 추정에 관한 연구

이승욱 [외 연구]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편]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우리나라 건강수명 추정에 관한 연구 / 이승욱 [외 연구] ;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편]
개인저자이승욱
정지연
박은경
박재경
우원규
정혜진
홍라현
단체저자명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건강증진사업지원단
한국. 보건복지부
발행사항서울 : 보건복지부, 2007
형태사항210 p. : 챠트 ; 26 cm
대등표제(A) study on estimation of healthy life expectancy in Korea
일반주기부록: "용어설명" 외 수록
연구원: 정지연,박은경,박재경,우원규,정혜진,홍라현
기금정보주기이 보고서는 보건복지부에서 주관하는 국민건강증진기금에 의해 수행된 것 임
분류기호362.10951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987209 362.10951 서울대 우 보존서고B4 B422-13-6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제1장 서론
1절 머리말 = 27
2절 연구목적 = 31
3절 연구내용 및 범위 = 31

제2장 연구수행내용 및 결과 
제1절 건강수명산출 관련 지표정의 및 산출방법 고찰 = 33
1. 건강 지표에 대한 정의 = 33
  가. 건강여명의 여러 지표 = 33
  나. 장애(Disability)의 개념과 측정 = 39
2. 건강수명 산출방법 고찰 = 48
 ...

목차 전체

제1장 서론
1절 머리말 = 27
2절 연구목적 = 31
3절 연구내용 및 범위 = 31

제2장 연구수행내용 및 결과 
제1절 건강수명산출 관련 지표정의 및 산출방법 고찰 = 33
1. 건강 지표에 대한 정의 = 33
  가. 건강여명의 여러 지표 = 33
  나. 장애(Disability)의 개념과 측정 = 39
2. 건강수명 산출방법 고찰 = 48
  가. 설리반방법(Sullivan's Method) = 48
  나. MLTS(Multistate Life Table Method) = 55
  다. CLRM(Classic Linear Regression Model) = 60
  라. 방법에 대한 토의 = 61

제2절 국내외 사례 고찰 = 62
1. 외국 사례 = 62
  가. 세계보건기구, WHO = 62
  나. OECD = 64
  다. 미국 = 68
  라. EU = 70
  마. 아시아 국가 = 72
  바. 그 외의 나라 = 86
  사. Ageing Diversty in Latin America = 89
  아. 최극 10여년 동안의 개별 국가별 연구 = 101
2. 우리나라 사례 = 113
  가. 장애보정년수(DALY)를 활용한 우리나라 고혈압의 질병부담 측정 = 113
  나. 국민건강면접조사를 이용한 한국인의 장애보정 기대여명에 관한 연구 = 115
  다. 건강생활년을 이용한 우리나라 중요 암 질환의 질병부담 측정 = 117
  라. 장애에 따른 상실건강년수를 활용한 우리나라 주요 암질환의 질병 부담에 관한 연구 = 120
  마. 조기사망에 따른 상실년수를 활용한 우리나라 질병부담 추정연구 = 122
  바. 장애보정손실년수(DALT)를 활용한 우리나라 중요 심혈관계 질환의 질병부담 측정 = 123
  사. 한국인 질병의 장애가중치 측정 및 신뢰도 평가 = 124
  아. 고음주로 인한 우리나라 국민의 질병부담 측정 = 125
  자. 한국형 질병분류체계에 의한 사망손실연수의 평가 = 125
  차. 고찰 = 125

제3절 건강수명 산출시 활용 가능 자료 고찰 = 126
1. 국민건강영양조사 = 127
2. 생명표(Life Table) = 134
3. 노동패널조사 = 136
4. 사회통계조사 = 138
5. 건강보험 = 140
6. 고찰 = 142

제4절 건강기대여명 산출결과 = 143
1. WHO 자료를 이용한 건강기대수명(HALE)계산 = 143
2. WHO에서 발표한 191개국 건강수명 자료와 희귀모형을 이용한 방법 = 148
3. 사회통계조사자료를 이용한 결과 = 151
4.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결과 = 156
5. 건강보험자료를 이용한 결과 = 166
6. 계산된 건강수명의 평가 및 토의 = 170

제3장 연구목표 달성도 및 연구의 제한점
1. 연구목표 달성도 = 177
2. 연구의 제한점 = 177

제4장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및 제안 = 180

부록
용어 설명 = 189
2001, 2005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한 건강기대여명 산출결과 데이블 = 190
건강기대여명계산에 활용된 데이터 테이블 = 194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