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Chapter 1 아동 발달 과학 = 2
1.1 아동 발달의 배경 = 4
아동 및 아동기에 대한 역사적 관점들 = 4
새로운 과학의 기원 = 5
1.2 아동 발달의 기본 이론들 = 7
생물학적 관점 = 8
정신역동적 관점 = 9
학습적 관점 = 10
인지 발달적 관점 = 12
상황적 관점 = 14
1.3 아동 발달 연구의...
목차 전체
목차
Chapter 1 아동 발달 과학 = 2
1.1 아동 발달의 배경 = 4
아동 및 아동기에 대한 역사적 관점들 = 4
새로운 과학의 기원 = 5
1.2 아동 발달의 기본 이론들 = 7
생물학적 관점 = 8
정신역동적 관점 = 9
학습적 관점 = 10
인지 발달적 관점 = 12
상황적 관점 = 14
1.3 아동 발달 연구의 주제들 = 16
초기 발달은 이후의 발달과 관련이 있으나 예외의 경우도 있다 = 16
발달은 언제나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함께 받는다 = 16
아동은 자신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 17
발달의 다양한 영역들은 상호 연결되어 있다 = 18
1.4 아동 발달 연구의 실제 = 19
아동 발달 연구의 측정 방법 = 19
일반적 연구 설계 = 23
연령에 따른 변화를 연구하기 위한 설계 = 26
윤리적 책임 = 30
Chapter 2 아동 발달의 유전적 기초 = 32
2.1 유전의 기제 = 34
유전생물학 = 34
단일 유전자 유전 = 36
유전적 장애 = 38
2.2 유전, 환경 그리고 발달 = 42
행동 유전학 = 42
유전자에서 행동에 이르는 경로 = 46
Chapter 3 태내 발달 = 50
3.1 수정에서 출생까지 = 52
접합체기(1~2주) = 52
배아기(3~8주) = 53
태아기(9~38주) = 54
3.2 태내 발달에 미치는 영향 = 59
일반적 위험 요인들 = 59
기형 발생 물질 : 질병, 약, 그리고 환경의 위험 = 61
기형 발생 물질은 어떻게 태내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가? = 65
태내 진단과 치료 = 67
3.3 해피 버스데이! = 70
진통과 분만 = 70
분만의 다양한 방식 = 71
'부모가 되는 것'에 적응하기 = 72
분만 합병증 = 74
3.4 신생아기 = 78
신생아 검사 = 78
신생아의 반사 = 79
신생아의 상태 = 80
신생아의 지각과 학습 = 83
Chapter 4 성장과 건강 = 86
4.1 신체적 성장 = 88
인간 성장의 특징 = 88
신체적 성장의 기제들 = 91
청소년의 성장 급등기와 사춘기 = 95
4.2 건강한 성장에의 도전 = 101
영양실조 = 101
섭식 장애 :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신경성 폭식증 = 102
비만 = 103
질병 = 104
사고 = 105
4.3 신경계의 발달 = 107
성숙한 뇌의 조직 = 107
뇌의 발달 = 108
Chapter 5 지각 및 운동 발달 = 114
5.1 감각과 지각의 기본 과정 = 116
후각, 미각, 촉각 = 116
청각 = 117
시각 = 119
감각 정보의 통합 = 120
5.2 복잡한 지각 및 주의 과정 = 122
물체의 지각 = 122
주의력 = 127
5.3 운동 발달 = 129
이동력 = 129
소근육 운동 기술 = 132
Chapter 6 인지 발달 이론 = 136
6.1 인지 발달 이론의 출발 : Piaget의 이론 = 138
Piaget 이론의 기초 원리 = 138
인지 발달 단계 = 140
Piaget의 공헌 = 146
6.2 인지 발달에 대한 현대적 관점 = 149
사회문화적 관점 : Vygotsky 이론 = 149
정보처리이론 = 153
핵심지식이론 = 158
6.3 핵심지식의 발달 = 160
사물과 그것의 속성에 대한 이해 = 161
생물에 대한 이해 = 163
사람에 대한 이해 = 165
Chapter 7 인지 과정 및 학습 기술 = 170
7.1 기억능력 = 172
기억력의 기원 = 172
기억을 돕는 전략 = 173
지식과 기억 = 176
7.2 문제해결 = 184
문제해결능력의 발달 경향 = 184
아동과 청소년의 문제해결능력의 특징 = 186
과학적 문제해결 = 190
7.3 학습 기술 = 192
읽기 = 192
쓰기 = 197
수에 대한 이해 및 사용 = 199
Chapter 8 지능과 개인차 = 206
8.1 지능이란 무엇인가? = 208
심리측정이론 = 208
Gardner의 다중지능이론 = 210
Sternberg의 성공적 지능 = 212
8.2 지능 측정 = 216
Binet와 지능 검사의 발달 = 216
지능 검사는 지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가? = 219
유전과 환경의 영향 = 222
민족과 사회경제적 지위의 효과 = 224
8.3 특수 아동 및 그들의 요구 = 227
영재아 및 창의적인 아동 = 227
정신지체 = 229
학습 장애아 = 230
Chapter 9 언어와 의사소통 = 232
9.1 말소리로 가는 여정 = 234
언어의 요소 = 234
말소리의 지각 = 235
말소리에 대한 첫걸음 = 239
9.2 단어의 의미를 학습하기 = 241
사물을 대신하는 상징으로서의 단어를 이해하기 = 241
단어의 의미를 깨닫게 하는 전략 = 242
어휘 습득에서의 개인차 = 247
어휘 습득을 돕는 방법 = 248
단어를 넘어서서 : 단어 이외의 다른 상징들 = 250
9.3 문장으로 말하기 = 253
두 단어에서 복잡한 문장으로 = 253
문법을 어떻게 습득하게 되는 걸까? = 256
9.4 의사소통 = 259
순서 바꾸기 = 259
효율적으로 말하기 = 260
정확하게 듣는 능력 = 262
Chapter 10 정서 발달 = 266
10.1 정서의 출현 = 268
정서의 기능 = 268
정서의 경험과 표현 = 269
다른 사람의 정서를 인식하고 행동하기 = 272
정서 조절 = 274
10.2 기질 = 276
기질이란 무엇인가? = 276
유전과 환경의 영향 = 278
기질의 안정성 = 279
기질과 다른 발달 영역 간의 관계 = 280
10.3 애착 = 282
애착 발달 = 282
애착의 질 = 284
Chapter 11 자신과 타인 이해하기 = 292
11.1 나는 누구인가? 자아 개념 = 294
자아인지의 기원 = 294
자아 개념의 발달 = 296
자아정체감 탐색 = 298
11.2 자아존중감 = 305
자아존중감 측정 = 305
자아존중감의 발달적 변화 = 308
자아존중감의 근원 = 311
낮은 자아존중감 : 결과인가 아니면 원인인가? = 313
11.3 타인 이해하기 = 314
타인에 대한 묘사 = 314
타인의 생각에 대한 이해 = 316
편견 = 318
Chapter 12 도덕적 이해와 행동 = 324
12.1 자아 통제 = 326
자아 통제의 시작 = 326
자아 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29
아동의 자아 통제의 진전 = 330
12.2 도덕적 이슈에 대한 추론 = 332
Piaget의 관점 = 332
Kohlberg의 이론 = 333
Kohlberg의 이론을 넘어 = 338
도덕적 추론의 진보 = 340
12.3 타인 돕기 = 342
친사회적 행동의 발달 = 342
친사회적인 행동의 근원이 되는 기술 = 343
상황적 영향 = 344
친사회적 행동의 사회화 = 345
12.4 공격성 = 347
변화와 안정성 = 347
공격적 행동의 근원 = 349
공격성의 희생자 = 353
Chapter 13 성역할 발달 = 356
13.1 성역할 고정관념 = 358
우리는 남자와 여자를 어떻게 보는가? = 358
성역할 고정관념 학습 = 359
13.2 성역할과 관련된 차이 = 362
신체적 발달과 행동의 차이 = 363
지적 능력과 성취의 차이 = 364
인성과 사회적 행동에서의 차이 = 367
성차에 관한 솔직한 이야기 = 369
13.3 성 정체감 = 373
사람과 매체에 의한 사회화의 영향 = 371
성 정체감의 인지이론 = 376
생리학적 영향 = 379
13.4 변환기의 성역할 = 380
성역할의 출현 = 380
전통적인 성역할을 넘어 = 381
Chapter 14 가족 관계 = 386
14.1 양육 = 388
하나의 체계로서의 가족 = 388
양육 스타일 = 390
양육 행동 = 392
부부 체계의 영향 = 395
아동의 기여 = 396
14.2 변화하는 가족 = 398
아동에게 미치는 이혼의 영향 = 398
혼합 가족 = 401
조부모의 역할 = 402
게이와 레즈비언 부모의 아동 = 404
14.3 남자 형제와 여자 형제 = 406
첫째 아동, 둘째 이하 아동, 그리고 한 자녀 아동 = 406
형제 관계의 질 = 408
14.4 학대 : 뒤틀린 부모-자녀 관계 = 411
학대의 결과 = 412
학대의 원인 = 412
학대 예방 = 415
Chapter 15 가족 이외의 영향 = 416
15.1 또래 = 418
또래 상호 작용의 발달 = 418
우정 = 423
낭만적 관계 = 426
집단들 = 429
인기와 거부 = 430
15.2 전자매체 = 433
텔레비전 = 433
컴퓨터 = 437
15.3 기관의 영향 = 439
탁아 = 439
시간제 취업 = 441
이웃들 = 444
학교 = 447
집중연구
행동은 목적이 있는 것이다 = 165
고정관념 혹은 제안이 유아들의 증언에 영향을 미치는가? = 181
각 영역에서의 자아존중감의 발달적 변화 = 309
걸음마기 아동과 학령 전기 아동의 통제 신장 = 327
엄마는 성역할에 관해 아동과 어떻게 대화하는가? = 372
가장 친한 친구가 성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 = 425
문화적 영향
왜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에게 겸상 적혈구 질환이 유전되는가? = 38
영아 사망률 = 76
아파치는 어떻게 초경을 축하하는가? = 97
다양한 문화에 따른 부모의 스카폴딩의 특징은 어떠한가? = 151
타이완에서의 5학년 = 203
각 문화는 똑똑하다는 것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가? = 214
이중 언어 구사자로 성장하기 = 249
Yoshimi 씨의 아들은 왜 이리 강할까? = 279
Dea의 인종적 자아정체감 = 301
인도에서의 도덕적 추론 = 336
네 가지 성역할 고정관념 = 358
아프리카계 미국 할머니 = 401
인기의 비결 = 431
아동의 삶을 향상시키기
유전 상담 = 39
건강한 아기를 출산하기 위한 5단계 = 58
영아에게 가장 좋은 음식은 무엇인가? = 92
영아기의 청각 장애 = 118
Piaget 이론의 교육적 적용 = 147
말소리 발추기는 정말 멋진데, 이유는 소리는 아주 풍성하기 때문이다 = 193
창의성 계발 = 229
언어 발달을 도와줄 수 있는 방법 = 258
영재 학급의 자아존중감 = 312
성 특질이 아닌 가치 있는 특질에 대한 격려 = 382
이혼 가정 아동의 적응을 돕기 위한 방법 = 398
아동을 소파와 떨어지게 하라 = 436
주목할 만한 이론
흐릿한 흔적 이론 = 177
성공적 지능이론 = 212
단어 습득 : 모양-편견 이론 = 245
기질구조이론 = 277
사회정보처리이론과 아동의 공격적 행동 = 351
성 도식 이론 = 377
가족 경제적 스트레스 모델 = 445
아동 발달과 가족 정책
PKU 선별 검사 = 47
바로 뉘여 재우기! = 82
골다공증 예방 = 96
헤드스타트 프로그램 = 223
달팽이관 삽입이 어린 아동들에게 효과적인가? = 237
보육 선택을 위한 안내 = 289
종료된 인종차별학교 = 320
더욱 진전된 도덕적 추론 장려 = 341
중국의 한 자녀 정책의 결과 평가 = 405
참고문헌 = 450
찾아보기 = 47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