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3
약어 설명 = 14
제1부 연주 해석상의 주요 측면들
제1장 18세기의 실제 연주자료 : C.F. 콜트의 오르간 배럴 = 16
제2장 바흐의 리듬 = 32
들어가면서 = 32
빈틈없이 정확한 박자 : 엄격함인가 융통성인가? = 33
강세와 데클러메이션, 그리고 악절 구조 = 38
폴리포니 작품들에서 리듬과 다이내믹의 역학...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3
약어 설명 = 14
제1부 연주 해석상의 주요 측면들
제1장 18세기의 실제 연주자료 : C.F. 콜트의 오르간 배럴 = 16
제2장 바흐의 리듬 = 32
들어가면서 = 32
빈틈없이 정확한 박자 : 엄격함인가 융통성인가? = 33
강세와 데클러메이션, 그리고 악절 구조 = 38
폴리포니 작품들에서 리듬과 다이내믹의 역학 관계 = 51
호모포니 음악에서 기본 박자로부터의 이탈 = 58
현대의 연주 관례와 다른 리듬 기보 방식 = 66
루바토, 싱코페이션, 불균등성 음들 = 95
맺는말 = 107
제3장 올바른 바흐의 템포를 찾아서 = 107
들어가면서 = 107
템포 : 바흐의 동시대인들로부터 얻을 수 있는 자료들 = 113
바흐의 템포 표시들 = 115
바흐의 조족과 파르티타의 춤곡 악장들 = 128
바희 오버추어에서의 템포 = 131
제4장 바흐의 아티큘레이션 = 138
들어가면서 = 138
워킹 베이스 : 논-레가토 = 145
바희 리듬과 관련된 아티큘레이션의 문제들(피구다 코르타) = 148
혼합 아티큘레이션 = 154
스타카토 = 164
레가토 = 170
아르페지오 및 분산화음에서의 레가토와 논-레가토 = 177
제5장 다이내믹 = 185
들어가면서 = 185
계단식 다이내믹 = 190
에코 다이내믹 = 193
언제 피아노로 연주하고, 언제 포르테로 연주해야 하는가? = 194
다이내믹의 단계적 변화, 그리고 곡 마지막의 크레셴도 = 201
제6장 소노리티 = 207
바흐 시대의 악기들 = 207
교회 오르간과 쳄버 오르간 = 209
현악기들, 그리고 현을 뜯어 소리내는 악기들 = 210
현이 장착된 건반악기들 = 213
현이 장착된 건반악기들에 대한 바흐의 태도 = 233
하프시코드냐 피아노냐? = 244
제7장 테크닉과 감정표현에 대하여 = 254
들어가면서 = 254
몸체, 손, 손가락의 위치 = 256
바흐 음악에서의 터치 = 263
레가토와 칸타빌레의 연주 = 268
제8장 원전판의 문제 : 가상 인터뷰 = 271
제9장 곡의 구조를 하나의 유기적인 전체로 파악하고 연주하기 = 291
제10장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제1권의 프렐류드 e♭단조와 푸가 d#단조, BWV 853. 연주를 위한 분석 = 307
프렐류드 e♭단조 = 308
푸가 d#단조 = 317
평균율 클라비어곡집」 제1권의 프렐류드 e♭단조와 푸가 d#단조의 에디션들 = 328
제2부 장식음 연구
제11장 들어가면서 = 347
제12장 17, 18세기의 장식음 기법의 발전 = 260
들어가면서 = 360
이탈리아의 장식음 기법 : 트릴과 프랄트릴러 = 365
17, 18세기 프랑스에서의 트릴과 모르덴트 = 374
독일에서의 트릴, 프랄트릴러, 모르덴트 = 390
C.P.E. 바흐의 논서(Ⅰ) = 399
J.J. 콴츠 및 기타 독일 이론가들의 논서 = 410
C.P.E. 바흐의 논서(Ⅱ) = 419
제13장 J.S. 바흐의 장식음 : 개론 = 431
J.S. 바흐의 장식음 기호들 = 431
상이한 트릴 기호들의 상호 교환 가능성 = 436
장식음과 작곡간의 관계 : 성부 작법과 선율 패턴 = 444
W.F. 바흐를 위한 「작은 건반악기곡집」 : 바흐 건반악기 음악의 장식음 연주에 있어서의 그 중요성 = 453
제14장 프랄트릴러 = 468
17-20세기의 이론 및 실제에 있어 프랄트릴러의 두 가지 형태 = 468
프랄트릴러 바로 앞에 2도 위의 음이 올 경우 = 469
2개 반복음 중 둘째 음 위의 프랄트릴러(ACCENTUS FORMULA) = 483
트릴-턴(혹은 스냅-턴) = 500
도약 다음의 프랄트릴러 = 510
분리된 음들 및 빠른 패시지들에서의 프랄트릴러 = 515
프랄트릴러와 짧은 아포지아투라의 상호교환 가능성 = 523
맺는말 = 528
제15장 아포지아투라 = 535
긴 아포지아투라 = 535
경과적 아포지아투라(Coul<TEX>$$\acute e$$</TEX>)와 짧은 아포지아투라(Port de Voix) = 545
쿨레에 이어 프랄트릴러가 나오는 경우 = 562
제16장 보단 긴 트릴 = 567
트릴의 시작 = 567
상행 트릴과 하행 트릴 = 581
트릴 마지막의 꼬리 = 584
트릴의 빠르기 = 593
임시표와 트릴 = 597
트릴 연주와 관련된 테크닉적 문제점들 = 599
제17장 모르덴트 = 602
들어가면서 = 602
선율의 시작 음 위의 모르덴트 = 606
도약 다음의 모르덴트 = 609
그 밖의 모르덴트 연주 방식 = 610
제18장 아프레지오 = 614
피겨드 아르페지오 = 616
「반음계적 환상곡과 푸가」의 아르페지오들의 연주 방식 = 618
제19장 기보되지 않은 장식음들의 연주 = 629
바흐 음악에 나오는 잘못된 장식음 기호들 = 629
표기되지 않은 장식음들을 첨가하기 = 639
제20장 바흐 건반악기 음악에서의 자유로운 장식음 기법 = 658
들어가면서 = 658
페르마타의 장식 = 666
느린 곡들에서의 장식음 기법 = 678
에필로그 = 692
부록 1. 바흐 건반악기 음악 에디션들의 추천 목록 = 701
부록 2. 「반음계적 환상곡과 푸가, BWV 903」의 텍스트와 해석상의 문제점들 = 710
부록 3. '지휘자, 건반악기 연주자, 오르가니스트로서의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괴팅겐, 1738년) = 722
부록 4. J.G. 줄처의 「순수 예술의 보편적 이론」중의 '박자'로부터의 발췌문 = 724
부록 5. 「파르티타 제1번, BWV 825」의 헌사 및 헌정시 = 727
부록 6. 프리드리히 블루메와 한스 요아힘 모저 = 730
참고문헌 = 737
바흐 작품 색인 = 747
일반 색인 = 757
역자 후기 = 77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