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4
감사의 글 = 7
1 패션 커뮤니케이션과 영상문화 = 15
1. 패션 커뮤니케이션 = 18
1. 정의 = 18
2. 패션 커뮤니케이션과 이미지 = 19
3. 패션 커뮤니케이션과 이미지메이킹 = 21
2. 패션 커뮤니케이션과 문화 = 25
1. 패션 커뮤니케이션과 문화 = 25
2. 패션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문화적 ...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4
감사의 글 = 7
1 패션 커뮤니케이션과 영상문화 = 15
1. 패션 커뮤니케이션 = 18
1. 정의 = 18
2. 패션 커뮤니케이션과 이미지 = 19
3. 패션 커뮤니케이션과 이미지메이킹 = 21
2. 패션 커뮤니케이션과 문화 = 25
1. 패션 커뮤니케이션과 문화 = 25
2. 패션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문화적 범주 = 26
① 성과 신체적 매력 = 26
② 연령 = 27
③ 사회계층 = 29
④ 민족성 = 30
3. 20세기 영상문화와 커뮤니케이션 = 32
1. 20세기 영상매체의 변화 = 32
2. 영상매체에 의한 커뮤니케이션 = 35
3. 영상매체의 변화에 따른 패션 커뮤니케이션 = 37
2 패션 사진 = 43
1. 패션 사진과 패션 프로모션 = 44
1. 패션 사진 = 44
① 패션 사진의 정의 및 유형 = 44
② 패션 사진의 특성 = 49
2. 패션 사진과 패션 프로모션 = 50
① 패션 잡지 = 50
② 패션 광고 = 52
2. 패션 사진의 발전 = 57
1. 패션 사진의 역사 = 57
① 19세기 후반-1910년대: 패션 사진의 도입 = 57
② 1920년대: 전문 패션 사진의 전개 = 58
③ 1930년대: 메커니즘 발달과 예술사조의 영향 = 59
④ 1940년대: 사실주의와 야외촬영 = 62
⑤ 1950년대: 현대 패션 사진으로의 발전 = 64
⑥ 1960년대: 새로운 스타일의 시대 = 66
⑦ 1970년대: 다양한 성적 표현 = 66
⑧ 1980년대: 다양한 스타일의 공존 = 69
⑨ 1990년대 이후: 창조성과 다양성 = 69
2. 우리나라 패션 사진 = 71
3 패션 사진과 신체 이미지 = 79
1. 패션 커뮤니케이션과 신체 = 80
1. 신체 이미지와 이상적 신체 = 80
2. 패션 이미지와 신체 이미지 = 82
2. 패션 사진에 나타난 성적 이미지 = 86
1. 성의 과시 = 86
① 여성성 = 86
② 남성성 = 88
2. 성의 일탈 = 89
① 동성애 이미지 = 89
② 양성애이미지 = 91
③ 페티시즘 = 92
3. 패션모델 = 94
1. 패션모델의 역사 = 94
2. 우리나라의 패션모델 = 103
4 영화와 패션 = 109
1. 영화의 특성과 발전 = 110
1. 영화매체의 특성 = 110
2. 할리우드 전성기 영화매체의 발전 = 111
3. 할리우드 전성기 이후 영화매체의 발전 = 114
2. 영화 의상 개념과 기능 = 116
1. 영화 의상의 개념 = 116
2. 영화 의상의 기능 = 117
① 캐릭터 창조와 묘사 = 117
② 극 전체의 이미지 창조 = 118
③ 유행상품을 통한 영화의 이미지 전달 = 119
3. 영화 의상 디자이너 = 120
① 할리우드와 영화 의상 디자이너 = 120
② 대표적인 영화 의상 디자이너 = 121
3. 분장과 메이크업 = 131
1. 메이크업의 개념 = 131
2. 분장의 개념과 종류 = 132
3. 영화 장르에 따른 특수 분장 = 133
① 공포 영화 = 134
② SF 영화 = 135
5 영화 의상과 패션 프로모션 = 139
1. 영화 의상과 오트 쿠튀르 패션 = 140
1. 영화 의상과 디자이너 = 140
2. 영화 의상과 오트 쿠튀르 패션 = 141
2. 영화 의상과 스펙터클 = 147
1. 장르별 영화 의상과 스펙터클 = 147
① 뮤지컬 영화 의상 = 147
② 시대극 영화 의상 = 148
2. 영화 의상과 럭셔리 = 151
3. 영화에 나타난 패션 스타일 = 154
1. 스타 스타일 = 154
① 그레타 가르보 룩 = 154
② 마들렌 디트리히 룩 = 155
③ 오드리 헵번 룩 = 155
④ 마릴린 먼로 룩 = 156
2. 오스카 스타일 = 156
① 리틀 블랙 드레스 = 157
② 빅 화이트 드레스 = 158
③ 코스튬 주얼리 = 159
6 영화 패션과 스타 이미지 = 161
1. 스타와 스타 시스템 = 162
1. 스타 시스템의 형성 = 162
2. 스타의 이미지 = 166
2. 스타와 영화 패션의 젠더 이미지 = 168
1. 여성 이미지 = 168
① 장르별 여성 이미지 = 165
② 영화에 나타난 여성 이미지 = 178
③ 영화에 나타난 여성 패션 스타일과 주요 아이템 = 172
2. 남성 이미지 = 177
① 장르별 남성 이미지 = 177
② 영화에 나타난 남성 이미지 = 179
③ 영화 의상에 나타난 남성 패션 스타일과 주요 아이템 = 182
3. 제3의 성 이미지 = 186
① 영화에 나타난 제3의 성 이미지 = 186
② 영화에 나타난 제3의 성 이미지와 패션 스타일 = 187
7 우리나라 영화와 패션 = 192
1. 우리나라 영화의 발전 = 194
2. 우리나라 영화와 영화 의상 = 199
1. 현대극 영화와 영화 의상 = 199
2. 시대극 영화와 영화 의상 = 209
① 〈춘향뎐〉 = 210
② 〈비천무〉 = 211
③ 〈스캔들-조선남녀상열지사〉 = 212
④ 〈황진이〉 = 214
8 TV 매체와 드라마 패션 = 217
1. TV 매체와 TV 의상 = 218
1. TV 매체의 특성 = 218
2. TV 의상의 특성 = 219
2. TV 드라마와 패션 = 224
1. 미국 TV 드라마와 드라마 의상 = 225
2. 우리나라 TV 드라마와 드라마 의상 = 231
3. TV 드라마와 패션 = 239
9 대중음악과 패션 = 242
1. 엘비스 프레슬리와 록큰롤 패션 = 246
1. 록큰롤 = 246
2. 엘비스 프레슬리와 록큰롤 패션 = 248
2. 비틀즈와 모즈 룩, 히프 룩 = 251
3. 롤링 스톤즈와 앤드로지너스 룩 = 256
4. 섹스 피스톨즈와 펑크 룩 = 258
5. 데이빗 보위와 글램 룩 = 261
6. 컬처 클럽과 뉴 로맨틱 스타일 = 263
7. 마돈나와 언더웨어 스타일 = 265
8. 너바나와 그런지 스타일 = 268
9. 힙합 뮤지션과 힙합 스타일 = 270
10 대중음악과 패션 Ⅱ = 273
1. 우리나라 대중음악 관련 TV 프로그램과 의상 = 274
1.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발전 = 274
2. 서태지와 아이들 그리고 하위문화 스타일 = 278
3. 댄스 스타와 섹시 스타일 = 280
2. 뮤직 비디오 = 284
1. 뮤직 비디오의 발생과 MTV = 284
2. 뮤직 비디오의 특징 = 286
3. 우리나라의 뮤직 비디오 = 289
4. 뮤직 비디오 의상 = 291
11 TV 프로그램과 패션 = 296
1. 스포츠 관련 TV 프로그램과 패션 = 298
1. 스포츠 의상과 스포츠 마케팅 = 298
2. TV 프로그램과 스포츠 의상 = 303
① 축구 = 303
② 골프 = 306
③ 농구, 야구, 테니스 = 308
2. 정치 뉴스 관련 TV 프로그램과 패션 = 312
1. 정치인과 패션 = 312
2. 퍼스트레이디 패션 = 314
3. TV 뉴스와 패션 = 316
12 디지털 영상매체와 패션 Ⅰ = 318
1. 디지털 영상 = 321
1. 디지털 영상과 사이버 문화 = 322
① 디지털 영상 = 322
② 디지털 영상과 사이버 하위문화 = 322
2. 애니메이션과 디지털 게임 = 324
2. 디지털 영상 의상 = 326
1. 아바타와 디지털 영상 패션 = 328
① 아바타 = 328
② 아바타 의상과 패션 = 332
2. 디지털 게임 캐릭터와 패션 = 335
① 디지털 게임 캐릭터 = 335
② 디지털 게임 캐릭터 패션 = 338
13 디지털 영상매체와 패션 Ⅱ = 344
1. 디지털 영상매체에 나타난 이미지 = 346
1. 판타지와 영웅 이미지 = 346
2. 그로테스크 이미지 = 349
2. 디지털 영상매체와 패션 = 353
1. 디지털 패션 = 353
2. 디지틸 영상매체와 패션 = 355
① 코스프레 = 355
② 팬 코스프레 = 361
③ 키덜트 패션 = 362
참고문헌 = 367
찾아보기 = 37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