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11
백제의 영역변천에 대한 문헌사 분야의 연구성과 = 23
1. 건국 초기의 영역 문제 = 23
2. 영서말갈 세력의 병합 문제 = 25
3. 마한 목지국의 병합 문제 = 26
4. 전남지역 마한 세력의 병합 문제 = 27
5. 지방 지배방식의 문제 = 28
6. 웅진 천도 직후의 정세 문제 = 30
백제 건국 이전 마한사회의 성립 배경 ...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11
백제의 영역변천에 대한 문헌사 분야의 연구성과 = 23
1. 건국 초기의 영역 문제 = 23
2. 영서말갈 세력의 병합 문제 = 25
3. 마한 목지국의 병합 문제 = 26
4. 전남지역 마한 세력의 병합 문제 = 27
5. 지방 지배방식의 문제 = 28
6. 웅진 천도 직후의 정세 문제 = 30
백제 건국 이전 마한사회의 성립 배경 = 33
1. 비파형동검문화 = 33
2. 세형동검문화 = 38
3. 초기철기문화 = 43
백제 건국 이전 마한사회의 성립과 발전 = 47
1. 마한 사회의 성립 = 47
2. 마한 사회의 범위와 성격 = 51
3. 마한 사회의 발전 = 54
1) 한강유역권 = 54
2) 아산만권 = 59
3) 금강유역권 = 61
4) 영산강유역권 = 65
적석총을 통해 본 백제의 건국 과정 = 69
1. 중부지역 적석총의 구조와 계통 = 70
1) 고구려식 적석총 = 73
2) 백제식 적석총 = 74
3) 말갈식 적석총 = 75
2. 중부지역 적석총의 연대 = 76
1) 고구려식 적석총 = 76
2) 백제식 적석총 = 81
3) 말갈식 적석총 = 83
3. 적석총을 통해 본 고구려 이주민의 남하와 정착 과정 = 85
1) 고구려 이주민의 본거지역 = 85
2) 고구려 이주민의 남하시기 = 87
3) 고구려 이주민의 남하배경 = 88
4) 고구려 이주민의 남하경로 = 89
5) 고구려 이주민의 서울지역 정착 과정 = 90
4. 백제의 건국과 마한사회의 변화 = 91
1) 백제식 적석총의 주인공 = 91
2) 백제 건국 세력의 이중성 = 95
토기를 통해 본 백제의 건국 과정 = 97
1. 서울지역 백제토기와 인접지역 토기와의 관계 = 98
1) 한강상류지역 토기와의 관계 = 98
2) 충청지역 토기와의 관계 = 101
3) 서북한지역 토기와의 관계 = 105
2. 백제토기의 성립과 발전 = 107
1) 백제토기의 성립 = 107
2) 백제토기와 선백제토기의 관계 = 112
3) 백제토기의 발전과 확산 = 114
4) 생활유적 토기와 매장유적 토기의 관계 = 123
고분을 통해 본 백제 영역변천의 제문제 = 127
1. 적석총의 분포와 백제 초기의 영역 문제 = 127
2. 토광묘의 변화와 백제 영역의 확대 문제 = 130
3. 분구묘와 백제의 관계 문제 = 133
4. 석곽묘와 백제의 관계 문제 = 135
5. 석실묘와 백제의 관계 문제 = 138
6. 서울지역 석실묘의 문제 = 144
1) 구조와 출토유물 = 144
2) 고분의 성격 = 146
7. 호남지역 석실묘의 문제 = 149
1) 전북지역의 석실묘 = 150
2) 전남지역의 석실묘 = 158
8. 영산강유역권 옹관묘의 문제 = 175
1) 영산강유역권 분구묘의 변천 = 177
2) 영산강유역권 분구묘의 특징 = 183
9. 영산강유역권 장고분의 문제 = 188
1) 영산강유역권 장고분의 특징 = 190
2) 영산강유역권 장고분의 피장자와 축조배경 = 196
3) 영산강유역권의 장고분이 갖는 의미 = 202
고고학에서 본 백제의 영역변천 = 207
1. 건국 초기의 영역 = 208
2. 마한 중심지역의 병합 = 209
3. 영서말갈지역의 병합 = 211
4. 금강유역권의 병합 = 213
5. 영산강유역권의 병합 = 215
6. 영역 관리 정책 = 220
맺음말 = 227
참고문헌 = 23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