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3
들어가는 말 = 9
1장 17세기 서인 학계의 동향과 분화 = 29
1.1. 서울ㆍ경기 지역 학계의 동향 = 30
1.2. 서울ㆍ경기 지역 서인의 사상과 경세론 = 43
1.2.1 소옹 상수학풍의 형성과 의미 = 43
1.2.2. 심학풍의 형성과 성격 = 70
1.2.3. 경세론의 전개와 특징 = 98
1.3. 호서 지역 송시열의 성리학...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3
들어가는 말 = 9
1장 17세기 서인 학계의 동향과 분화 = 29
1.1. 서울ㆍ경기 지역 학계의 동향 = 30
1.2. 서울ㆍ경기 지역 서인의 사상과 경세론 = 43
1.2.1 소옹 상수학풍의 형성과 의미 = 43
1.2.2. 심학풍의 형성과 성격 = 70
1.2.3. 경세론의 전개와 특징 = 98
1.3. 호서 지역 송시열의 성리학 이해와 현실관 = 137
1.3.1. 이이 중심의 성리학 이해 = 137
1.3.2. 심성론의 특징과 전개 = 146
1.3.3. 이단 시비와 존주론 = 155
2장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 낙론계 학풍의 형성과 현실인식 = 165
2.1. 김창협ㆍ김창흡의 정치와 학문 경향 = 167
2.1.1. 송시열 의리론의 표방 = 167
2.1.2. 서울ㆍ경기 지역 서인 학풍의 계승= 176
2.2.3. 화이론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현실관 = 184
2.2. 초기 낙론 학맥의 형성과 계보 = 192
2.3. 당송고문을 통한 주자학적 의리론 정립 = 206
2.3.1. 진한고문풍의 복고주의 = 208
2.3.2. 낙론계 당송고문풍의 정치이념 = 217
2.4. 천기(天機) 관념의 신분론적 기능 = 234
2.4.1. 천기 관념과 낙론의 관련성 = 233
2.4.2. 천기 관념을 통한 중인층 포섭 = 250
3장 18세기 중ㆍ말엽 낙론계 학풍의 전개와 현실대응론 = 261
3.1. 호락논쟁의 전개와 낙론 학맥의 사상 동향 = 262
3.1.1. 호락논쟁의 전개와 성격 = 262
3.1.2. 낙론 학맥의 계보와 사상 동향 = 280
3.2. 소인교화론을 통한 탕평 정국 대응 = 310
3.2.1. 탕평 정국과 낙론계의 정치 동향 = 310
3.2.2. 소인교화론과 탕평 정국 참여 명분 = 326
3.3. 제도변통론에 의한 국정운영으로의 변용 = 341
3.3.1. 낙론계의 《반계수록》 인식과 홍계희의 경세학 = 341
3.3.2. 낙론과 내시노비제ㆍ서얼소통 논의 = 363
맺는말 = 387
영문요약 = 407
부록 = 413
남양홍씨 홍계희 가계약도
청풍김씨 김치인ㆍ김종후ㆍ김종수 가계약도
여흥민씨 민정중ㆍ민유중 가계약도
우봉이씨 이재 가계약도
원주원씨 원경하 가계약도
기계유씨 유척기 가계약도
전주이씨 밀성과 이관명ㆍ이천명ㆍ이사명ㆍ이이명 가계약도
양주조씨 조태채 가계약도
참고문헌 = 422
찾아보기 = 43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