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오늘, 한국의 시민운동은 무엇을 꿈꾸는가? = 5
제Ⅰ부 사회운동연구와 '시민'의 사회학
제1장 사회학 패러다임의 변화와 사회운동연구 동향 = 23
1. 사회변동과 사회운동연구 = 23
2. 1970년대의 사회학 패러다임과 사회운동연구 = 29
3. 1980년대의 사회학 패러다임과 사회운동연구 = 36
4. 1990년대 이후의...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오늘, 한국의 시민운동은 무엇을 꿈꾸는가? = 5
제Ⅰ부 사회운동연구와 '시민'의 사회학
제1장 사회학 패러다임의 변화와 사회운동연구 동향 = 23
1. 사회변동과 사회운동연구 = 23
2. 1970년대의 사회학 패러다임과 사회운동연구 = 29
3. 1980년대의 사회학 패러다임과 사회운동연구 = 36
4. 1990년대 이후의 사회학 패러다임과 사회운동연구 = 43
5. 사회운동연구의 과제와 전망 = 54
제2장 좌절된 계급주의: '대중'과 '시민'의 사회학 = 61
1. 왜 다시 대중인가? = 61
2. 좌절된 계급주의: 대중화와 시민화 = 66
3. 대중화: 산업사회의 대중과 전자적 대중 = 71
4. 시민화: 탈근대적 시민화와 시민공동체 = 81
5. '시민공동체론'을 위하여 = 90
제Ⅱ부 민중의 분출: 이념과 저항의 급진화
제3장 광주항쟁과 1980년대의 사회운동문화-이념 및 가치를 중심으로 = 97
1. 살아나는 상흔, 거대한 도전 = 98
2. 운동사회와 사회운동의 문화 = 100
3. 1980년 5월의 광주: 민주화운동의 문화적 원천 = 106
4. 1980년대의 운동사회와 운동이념 = 114
5. 1980년대를 넘어 = 128
제4장 1980년대 학생운동의 반미주의와 대중화 전략 = 131
1. 재야 민주화운동과 민중민주주의운동 = 131
2. 사회운동의 이념과 전략: '대중화 전략'에 관하여 = 133
3. 민주화운동의 급진적 확산과 학생운동 = 137
4. 반미주의의 확산과 대중화 전략 = 144
5. 교조적 반미와 대중화 전략 이후 = 153
제5장 1980년대의 사회운동세대, 386 = 157
1. 사회운동과 세대 = 157
2. 1960, 70, 80년대의 사회변동과 집단경험 = 160
3. 사회운동세대 386과 저항의 문화 = 176
4. 사회운동세대 386과 적응의 문화 = 181
5. 사회운동세대와 세대정치의 전망 = 186
제Ⅲ부 시민의 도전: 운동의 제도화
제6장 시민운동조직: 이념ㆍ자원ㆍ행위양식 = 193
1. 시민단체의 팽창: 민주화운동의 연속과 단절 = 193
2. 이념의 표준화와 개혁이슈의 주류화 = 195
3. 거대조직화와 시장적 동원화 = 202
4. 시민운동의 전략과 행위양식 = 209
5. 한 시대의 종결과 시민단체의 과제 = 215
제7장 시민운동의 정당성 위기와 새로운 운동주기 = 219
1. 2004년: 1987년의 종결 = 219
2. 시민운동과 권위: 운동과 제도의 변증법 = 223
3. 시민운동과 저항의 권위 = 228
4. 새로운 운동주기와 소통의 권위 = 238
5. 새로운 운동주기와 시민운동의 과제 = 247
제8장 시민사회의 재구조화와 '전자적 공중' = 255
1. 전환: 지구적 사회변동과 정치변동 = 255
2. 시민사회의 재구조화: 시민단체와 유연자발집단 = 258
3. 시민사회의 재구조화(1): 제도화된 시민단체 = 264
4. 시민사회의 재구조화(2): 전자적 공중과 유연자발집단 = 274
5. 전망: 정당정치의 한계와 시민정치의 과제 = 285
제Ⅳ부 새로운 전환과 전망
제9장 한국사회의 전환: 갈등과 통합의 패러다임 = 291
1. 이중의 전환과 복합 사회갈등 = 291
2. 거대전환의 사회변동과 유연적 사회구성 = 295
3. 정치의 전환과 '복합갈등'의 딜레마 = 303
4. 유연적 사회통합의 패러다임과 시민사회 = 310
5. '사회권력'의 민주화와 시민사회의 '합리화' = 318
참고문헌 = 322
찾아보기 = 33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