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1장 생명(生命)
1. 다시 천년 녹색 향기나는 차 세상을 열자 = 12
2. 새벽 차밭과 저녁노을 = 16
3. 아침 안개 걷히니 햇차 향기 퍼지고 = 22
4. 운무 향기 걷히니 생명이 있더라 = 26
5. 한 잎의 찻잎에도 생명이 솟아오른다 = 30
6. 우리 땅에서 만난 차나무 = 36
7. 찻잎의 생로병사 = 42
2장 절기로 만난 찻자리
1...
목차 전체
목차
1장 생명(生命)
1. 다시 천년 녹색 향기나는 차 세상을 열자 = 12
2. 새벽 차밭과 저녁노을 = 16
3. 아침 안개 걷히니 햇차 향기 퍼지고 = 22
4. 운무 향기 걷히니 생명이 있더라 = 26
5. 한 잎의 찻잎에도 생명이 솟아오른다 = 30
6. 우리 땅에서 만난 차나무 = 36
7. 찻잎의 생로병사 = 42
2장 절기로 만난 찻자리
1. 눈 속을 뚫고 일만 문수 보살에게 차공양을 올렸던 보천 태자 = 50
2. 차의 향기가 넘치는 아름다운 찻자리 = 60
3. 향긋한 햇차를 기다리며 = 66
4. 여름의 문턱에서 맛본 차 한 잔 = 72
5. 조선 미(美)의 극치 차 한 잔에 담아내다 = 76
3장 禪의 미 茶의 미
1. 웅이산에서 살아난 달마선차 = 84
2. 도를 닦듯 찻잎에 소중한 생명이 솟아오른다 = 90
3. 동쪽 나라에 꽃핀 차 = 96
4. 체용일여 이룬 차의 미학 = 102
5. 부처에게 다가서는 최상의 공덕 육법공양 = 110
6. 명선 속에 되살아난 다선일미 = 116
7. 문 없는 문에서 만나는 차 한잔 = 124
4장 백련(白蓮) 그 아름다움
1. 백련 그 청정한 자태 = 132
2. 연꽃 피는 계절에 만난 연차 = 136
5장 찻잔이 미학
1. 조선사발에서 한국차의 정신이 살아난다 = 144
2. 어떤 찻그릇으로 차를 마실까 = 150
3. 법문사 궁정다도 = 160
4. 경덕진요 = 164
5. 이도다완의 세계 = 168
6. 천목다완의 세계 = 172
6장 차실 공간의 미학
1. 소박한 차실 공간, 초암차실 = 178
2. 차, 알고 마시면 즐거움 또한 두 배가 된다 = 182
3. 우주와 내가 하나로 만나는 차실 공간 = 188
4. 한 점의 빛 한 잔의 차 = 194
5. 차실 공간의 창 = 198
6. 자연과 미의 조화, 텅 빈 차실 = 204
7. 차의 아름다움, 미적 공간 차실 = 210
8. 대나무에 흐르는 물을 길어 맛본 한 잔의 차(茶) = 214
9. 다기 따라 달라지는 차의 맛 = 21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