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발간사 : 이제 일역 『무정』이 있고, 그 해설서도 있다 / 김윤식 = 3
책머리에 = 6
제1장 이광수의 민족주의사상과 진화론
1. 시작하며 = 19
2. 이광수의 초기 민족의식과 동학 = 20
1) 민족의식의 각성과 동학과의 만남 = 22
2) 손병희의 「삼전론(三戰論)」= 30
3) 동학과의 결별 = 36
3. 제1차 유학시절 =...
목차 전체
목차
발간사 : 이제 일역 『무정』이 있고, 그 해설서도 있다 / 김윤식 = 3
책머리에 = 6
제1장 이광수의 민족주의사상과 진화론
1. 시작하며 = 19
2. 이광수의 초기 민족의식과 동학 = 20
1) 민족의식의 각성과 동학과의 만남 = 22
2) 손병희의 「삼전론(三戰論)」= 30
3) 동학과의 결별 = 36
3. 제1차 유학시절 = 38
1) 중학시절의 사상편력 = 45
2) '정'에 잠재한 위험요소 = 61
4. 오산학교 시절 = 64
1) 자포자기의 단계 = 65
2) 헌신의 단계 = 67
3) 갈등의 단계 = 71
4) 두 개의 세계 = 76
5. 제2차 유학시절 = 77
1) 진화론과 '정'의 결합 = 79
2) 낙관적 준비사상의 근거 = 87
6. 힘의 지배에서 사랑의 지배로 = 92
7. 마치며 = 93
제2장 이광수의 자아
1. 시작하며 = 97
2. 「국문과 한문의 과도시대」ㆍ「수병투약(隨病投藥)」 = 101
3. 「사랑인가(愛か)」 = 104
4. 「어린 희생」 = 107
5. 「옥중호걸(獄中豪傑)」 = 114
6. 「곰」 = 126
7. 마치며 = 130
제3장 「문학의 가치」에 대하여
1. 시작하며 = 131
2. 극한적 상황 = 132
3. '정(情)'의 분자 = 133
4. 「아한(我韓)의 현상」 = 137
5. '정(情)'의 교육 = 140
6. 끝내며 = 143
제4장 옥중호걸의 세계
1. 시작하며 = 147
2. 독서이력 = 152
3. 키노시타 나오에 = 163
4. 톨스토이 = 166
5. 바이런 = 169
6. 홍명희 = 193
7. 루쉰 = 195
8. 정리하며 = 201
제5장 『무정』을 읽는다(상)
1. 시작하며 = 203
2. 시간 구성 = 207
3. 형식의 자기 분석 = 212
4. 1일째 - 두 만남 = 216
5. 2일째 - 예수의 초상화 = 226
6. 이광수와 베르그송 = 234
7. 2일째 - 청량리사건 = 242
8. 2일째 - 전보 = 246
9. 4일째(1) - 평양행 = 250
10. 4일째(2) - 은사의 무덤 앞 = 256
11. 4일째(3) - 밤기차 = 261
12. 형식의 '여행' = 265
13. 마치며 = 269
제6장 『무정』을 읽는다(중)
1. 경성학교 = 272
2. 동맹퇴학사건 = 273
3. 작자의 분석 = 281
4. 학생이라는 집단 - 조소사건 = 292
5. 변명하지 않은 이유 = 298
6. 이광수 내부의 두 가지 경향 -「김경」과 「공화국의 멸망」 = 304
7. 『무정』의 5일간 = 314
제7장 『무정』을 읽는다(하)
1. 영채의 청량리사건 = 324
1) 영채의 '내적 자아'와 '외적 현상' = 324
2) 영채(=조선)의 청량리사건 = 329
3) 영채(=작자)의 청량리사건 = 331
2. 영채의 속한 세계의 붕괴 = 332
1) 기차 안(1) 서울 - 황주 = 333
2) 기차 안(2) 황주 - 서울 - 삼랑진 = 336
3) 영채가 속한 세계의 붕괴 = 339
3. 영채의 구제 = 341
1) 영채는 구제되었는가 = 342
2) 『무정』과 『나』 = 344
3) 『나』에서의 영채 = 346
4) '영채의 불행'이 의미하는 것 = 349
4. '보여지는' 선형 = 352
1) 형식에게 선형이 의미하는 것 = 352
2) 작자에게 선형이 의미하는 것 = 356
3) 영채의 청산 = 357
5. '보는' 선형 = 358
1) 선형의 변모 = 359
2) 선형의 변모 양상에 나타난 작자의 의식 = 364
3) '근대적 연애'의 실험 = 366
4) 이광수의 선택 - '근대'와 '반근대' = 371
6. 삼랑진을 향한 '중막(中幕)' = 374
1) '중막'과 '대단원' = 374
2) 영채와 선형의 동요 = 376
3) 형식의 동요 - '대변동'과 새로운 질서 = 376
7. 삼랑진에서의 '대단원' = 385
1) 삼랑진의 비현실감 = 385
2) 무대 장치 = 387
3) 꿈과 희망의 결말 = 393
4) 이광수와 '민족' = 394
8. 마치며 = 399
제8장 『무정』의 이데올로기
1. 시작하며 = 401
2. '시대의 충실한 기록' = 402
3. 빛과 어둠의 세계 = 404
4. 욕망의 이데올로기 = 406
5. 반(反)욕망의 이데올로기 = 409
6. 마치며 = 410
제9장 상하이 보고(報告)
1. 제1차 체류 - 1913년 11월말~1914년 1월 초 = 411
1) 대륙 방랑 = 411
2) 상하이에서 = 413
3) 조선으로 = 416
2. 제2차 체류 - 1919년 2월~1921년 3월 = 418
1) 두 번째 체류 = 418
2) 3ㆍ1운동과 임시정부 = 418
3) 다시 조선으로 = 421
3. 상하이 - 1995년 1월 = 423
1) 프랑스공원 = 423
2) 와이탄의 건축물 = 427
3) 얇디얇은 건물 = 429
제10장 이광수와 메이지학원 = 433
역자 후기 -『무정』에서 제국의 근대를 보다 = 46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