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문제제기 = 15
제2장 공공부조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빈곤과 국민생활최저선 = 25
1) 빈곤과 사회적 배제 = 25
2) 국민생활최저선 = 31
3) 사회복지를 위한 국가역할 = 34
2. 공공부조제도 = 37
1) 공공부조의 개념 = 38
2) 공공부조의 기능 = 39
3) 공공부조의 유형 = 41
3. 공공...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문제제기 = 15
제2장 공공부조에 대한 이론적 논의
1. 빈곤과 국민생활최저선 = 25
1) 빈곤과 사회적 배제 = 25
2) 국민생활최저선 = 31
3) 사회복지를 위한 국가역할 = 34
2. 공공부조제도 = 37
1) 공공부조의 개념 = 38
2) 공공부조의 기능 = 39
3) 공공부조의 유형 = 41
3. 공공부조의 변화 = 44
1) 공공부조 개혁의 원인 = 44
2) 근로연계복지의 두 모델 = 47
4. 공공부조 비교분석틀의 구성 = 52
1) 선행연구의 검토 = 52
2) 비교 분석요소의 구성 = 55
제3장 한국의 공공부조
1. 공공부조 개요 = 63
2. 수급대상자 = 65
1) 자격요건 = 65
2) 보호율 = 68
3. 급여 = 72
1) 급여의 종류 = 73
2) 급여의 수준 = 75
4. 전달체계 = 83
1) 정부의 역할분담 = 83
2) 조직 및 인력 = 84
5. 재정 = 87
1) 재정규모 = 87
2) 재원조달 = 90
제4장 일본의 공공부조
1. 공공부조 개요 = 93
2. 생활보호의 수급대상자 = 98
3. 생활보호의 급여 = 103
4. 생활보호의 전달체계 = 107
5. 생활보호의 재정 = 109
제5장 홍콩의 공공부조
1. 공공부조 개요 = 113
2. 수급대상자 = 116
1) CSSA 자격요건 = 116
2) SSA 자격요건 = 120
3) CLEIC 자격요건 = 122
4) TAVA 자격요건 = 122
5) ER 자격요건 = 123
3. 급여 = 124
1) CSSA = 124
2) SSA = 127
3) CLEIC, TVA, ER = 128
4. 전달체계 = 129
5. 재정 = 132
1) 재정규모 = 132
2) 재정조달 = 134
제6장 싱가포르의 공공부조
1. 공공부조 개요 = 137
1) 자활지원 = 141
2) 빈곤아동지원 = 141
3) 근로무능력자지원 = 142
2. 수급대상자 = 143
1) 자활지원 = 144
2) 빈곤아동지원 = 144
3) 근로무능력자지원 = 145
3. 급여 = 147
1) 자활지원 = 147
2) 빈곤아동지원 = 147
3) 근로무능력자지원 = 148
4. 전달체계 = 149
5. 재정 = 151
제7장 동아시아 국가의 공공부조 비교분석
1. 공공부조제도의 비교 = 157
1) 수급대상자 = 157
2) 급여 = 162
3) 전달체계 = 166
4) 재정 = 169
2. 동아시아 공공부조 레짐?: 제도적 다양성과 공통적 특성 = 171
1) 동아시아 공공부조의 다양성 = 171
2) 동아시아 공공부조의 공통적 특성 = 175
제8장 동아시아 국가의 공공부조의 미래
1. 정책환경의 변화 = 186
1) 세계화와 기업친화적 사회정책 = 186
2) 서비스경제의 출현과 노동시장의 양극화 = 191
3) 저출산ㆍ고령화사회 = 196
2. 복지체제의 결과와 공공부조의 미래 = 198
1) 사회양극화의 심화와 공공부조 수요증대 = 198
2) 공공부조제도의 경로의존과 정책학습 = 205
참고문헌 = 208
찾아보기 = 21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