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이 책을 펴내며 = 5
제1부
신라의 발견 : 근대 한국의 민족적 상상물의 식민지적 기원 / 황종연 = 13
1 신라, 조선사의 고전적 고대 = 15
2 일본 역사학과 고고학이 발견한 신라 = 21
3 『무영탑』,『원효대사』, 민족의 로맨스 = 30
4 신라, 전쟁기의 치명적 상징 = 46
'통일신라'의 발명과 근대역사...
목차 전체
목차
이 책을 펴내며 = 5
제1부
신라의 발견 : 근대 한국의 민족적 상상물의 식민지적 기원 / 황종연 = 13
1 신라, 조선사의 고전적 고대 = 15
2 일본 역사학과 고고학이 발견한 신라 = 21
3 『무영탑』,『원효대사』, 민족의 로맨스 = 30
4 신라, 전쟁기의 치명적 상징 = 46
'통일신라'의 발명과 근대역사학의 성립 / 윤선태 = 53
1 국사교과서의'통일신라론' = 55
2 통일신라론의 발명 = 57
3 통일신라론의 수용 = 64
4 통일신라론의 확립 = 70
5 통일신라론의 의의 = 78
근대 시각문화 속의 석굴암 김현숙 = 81
1 문화관광지 경주 = 83
2 신라의 발견 = 87
3 극동의 고전주의와 김복진 = 96
4 선조(線彫)의 미와 최승희 = 107
5 식민지 지역성과 비애미 초극의 단초 = 113
식민지 조선과 '신라'의 심상지리 / 허병식 = 115
1 만한의 발견과 식민지 조선 = 117
2 관광사업의 전개와 경주 여행 = 121
3 식민지 경성과 왕도 경주 = 126
4 경주의 쇠락한 '현재'와 청년의 사명 = 132
5 순례의 길, 동원의 길 = 137
6 박물관으로서의 신라 = 142
한국 근대유행가에 표상된 '신라' / 서희원 = 145
1 '화랑', 〈신라의 달밤〉 그리고 '고향' = 147
2 '신라', 역사 속에서 발견된 민족의 고향 = 153
3 군국가요와 군가에 나타난 '신라' 담론 = 166
4 기술복제시대의 예술과 국가 = 178
제2부
향가의 근대 : 향가가 '국문학'으로 탄생하기까지 / 임경화 = 183
1 머리말 - 발견과 '진정한' 발견 = 185
2 향가 발견의 전사(前史) = 188
3 오구라 신페이의 발견과 쓰치다 교손의 발견 = 197
4 양주동의 발견과 조윤제의 발견 = 206
5 맺음말 - 향가는 '국문'인가 = 213
국민국가와 '화랑도' : 애국계몽기에서 대한민국 건국기까지의 '화랑' 담론과 활용양상 / 정종현 = 217
1 자기구성과 '전통'의 창조 = 219
2 식민지시기의 '화랑도' 담론 = 223
3 해방 이후 국민국가 건설과 '화랑도' 담론 = 239
4 '전통'과 정체성의 재구성 = 253
단카(短歌)로 그린 조선의 풍속지(風俗誌) : 이치야마 모리오(市山盛雄)가 엮은『朝鮮風土歌集』(1935) / 구인모 = 255
1 이치야마 모리오와『朝鮮風土歌集』 = 257
2 향토(鄕土)의 인간사(人間史), 이향(異鄕)과 고향(故鄕)의 사이 = 263
3 경주, 맥수(麥穗)의 탄식과 적상(赤裳)의 신라녀 = 269
4 신라, 오리엔탈리즘의 성적 욕망이 불러낸 환상 = 274
5 단카를 둘러싼 제국의 욕망 그리고 신라 표상 = 280
식민지시기 신라고분 조사 현황 / 이한상 = 285
1 문제의 소재 = 285
2 1902~1906년의 조사 = 289
3 1909~1920년의 조사 = 292
4 1921~1929년의 조사 = 299
5 1931~1936년의 조사 = 308
6 식민지 고고학의 한계 = 312
식민지시기 일본인들이 발견한 '신라' / 이병진 = 315
1 들어가며 = 317
2 야나기 무네요시가 발견한 풍경으로서의 '신라' = 321
3 나오며 = 333
찾아보기 = 335
필자 약력 = 34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