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8
제1장 현대 미술 이론과 미술교육 = 15
1 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 19
2 21세기 미술의 실제 = 31
3 21세기 미술의 다양한 정의들 = 34
4 요약과 결론 = 59
제2장 인지 이론과 현실 구축을 위한 교육 이론 = 63
1 인지의 정의와 교육 이론 = 65
2 구성주의 = 78
3 통합 학문 = 87
4 ...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8
제1장 현대 미술 이론과 미술교육 = 15
1 미술교육의 이론과 실제 = 19
2 21세기 미술의 실제 = 31
3 21세기 미술의 다양한 정의들 = 34
4 요약과 결론 = 59
제2장 인지 이론과 현실 구축을 위한 교육 이론 = 63
1 인지의 정의와 교육 이론 = 65
2 구성주의 = 78
3 통합 학문 = 87
4 현실 구축과 비판 이론 = 89
5 요약과 결론 = 96
제3장 의미 만들기의 미술교육 = 99
1 미술교육의 목표 = 102
2 시각적 문해력 = 104
3 문화적 문해력 = 112
4 비평적 문해력 = 114
5 비평적 교수법: 삶의 텍스트 안에서 의미 만들기 = 119
6 요약과 결론 = 141
제4장 시각 이미지의 해석과 경험적 접근 = 145
1 해석의 두 가지 접근법 = 148
2 경험적 접근에 의한 텍스트 읽기 = 164
3 경험적 접근에 의한 텍스트 읽기와 쓰기 수업 = 184
4 요약과 결론 = 200
제5장 시각 이미지의 구성에 대한 분석 = 203
1 이미지의 크기와 원작 확인하기 = 205
2 구성의 의미 읽기 = 207
3 매체 = 224
4 구성의 해석을 위한 질문 = 234
5 구성의 해석을 위한 수업 = 236
6 요약과 결론 = 248
제6장 시각 이미지의 의미 읽기 = 249
1 의인화 = 251
2 우화 = 256
3 상징 = 257
4 시각 이미지의 내용 = 266
5 표현적 내용의 의미 읽기 = 281
6 표현적 내용의 의미 읽기를 위한 학습의 예 = 285
7 요약과 결론 = 300
제7장 시각 이미지의 의미 읽기를 위한 사회학적ㆍ인류학적 방법 = 301
1 시각 이미지의 사회적 양상: 배경의 고찰 = 304
2 사회학적ㆍ인류학적 방법의 교수법 = 316
3 시각 이미지의 기능과 대상 = 320
4 사회학적ㆍ인류학적 방법의 교수법의 예 = 345
5 요약과 결론 = 350
제8장 시각 이미지의 의미 읽기를 위한 기호학적 접근 = 351
1 소쉬르의 기호학 이론 = 354
2 구조주의와 후기 구조주의 = 358
3 퍼스의 기호학 이론 = 362
4 바르트의 외연과 내연 = 364
5 대중적 시각문화의 의미 만들기의 과정 = 368
6 기호학적 접근을 이용한 시각문화교육의 수업의 예 = 380
7 요약과 결론 = 387
후기 = 389
참고문헌 = 392
도판 목록 = 404
찾아보기 = 40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