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머리말 ... 5
1장 한국 현대시의 성찰 | 오세영 ... 15
1 자유시의 성립 과정 ... 15
2 정형시로서의 신체시와 창가 ... 19
3 근대, 현대, 탈현대 ... 24
4 아방가르드,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 29
5 시, 서정시 그리고 서사시 ... 32
6 한국 시의 율격 ... 39
2장 근대시의 형성...
목차 전체
머리말 ... 5
1장 한국 현대시의 성찰 | 오세영 ... 15
1 자유시의 성립 과정 ... 15
2 정형시로서의 신체시와 창가 ... 19
3 근대, 현대, 탈현대 ... 24
4 아방가르드,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 ... 29
5 시, 서정시 그리고 서사시 ... 32
6 한국 시의 율격 ... 39
2장 근대시의 형성기(1894년~1919년) | 김영철 ... 43
1 개화기 시가의 형성 배경 ... 43
2 개화기 시가의 장르 유형과 특징 ... 64
3 1910년대의 시 ... 95
3장 근대시의 전개(1919년~1931년) | 최동호 ... 109
1 서구적 시풍과 근대시의 전개 ... 109
2 상징주의와 다다이즘 시에서 모더니즘 시로 ... 112
3 다다이즘에서 프로 문학으로의 전환 ... 135
4 서구 사조의 혼류를 넘어서는 시사적 지향 ... 147
4장 현대시의 형성기(1931년~1945년) | 남기혁 ... 151
1 시대적 상황 ... 151
2 문학 환경과 시단 현황 ... 154
3 1930년대 시단의 주요 경향 ... 159
4 암흑기의 시 ... 199
5장 해방기의 시(1945년~1950년) | 고형진 ... 211
1 해방기의 시대 상황과 시단의 경향 ... 211
2 좌파 계열의 시 ... 220
3 ‘청록파’의 결성과 새로운 세대 ... 228
4 도시적 감수성의 시 ... 239
6장 전쟁기와 전후의 시(1950년~1961년) | 김현자 ... 245
1 전쟁기와 전후 시단의 주요 경향 ... 245
2 전쟁시와 현실 인식 ... 248
3 서정성의 회복과 확대 ... 260
4 모더니즘 시와 다양한 실험적 모색들 ... 315
5 맺음말 ... 334
7장 민주화의 열망과 좌절(1961년~1972년) | 송기한 ... 337
1 1960년대의 시대적 상황과 시단의 현황 ... 337
2 시의 외면적 확대-시의 사회적 자장 ... 340
3 시의 내면적 확대-시의 자의식적 확충 ... 353
4 시의 서정적 의미역의 확대-전통과 새로운 서정의 도입 ... 382
8장 산업화 시대의 시(1972년~1979년) | 이숭원 ... 395
1 1970년대의 시대적 상황과 시단의 경향 ... 395
2 정서의 작용을 중시한 시 ... 404
3 지성의 활동을 중시한 시 ... 444
4 현실적 반응을 중시한 시 ... 456
5 1970년대 시의 시사적 의의 ... 469
9장 민중 혁명의 시기(1979년~1991년) | 박현수 ... 473
1 1980년대, 압도적인 현실의 시대 ... 473
2 1980년대 시단의 안팎 ... 477
3 1980년대 시적 경향의 다양성 ... 483
4 시사적 의의 ... 531
10장 탈냉전의 시기(1991년~2000년) | 유성호 ... 533
1 1990년대 시단의 안팎 ... 533
2 1990년대 시의 전개 양상 ... 537
3 1990년대 시의 성취와 한계 ... 590
11장 세계화의 시기(2000년~) | 맹문재 ... 593
1 2000년대의 시대 상황 ... 593
2 2000년대 시단의 안팎 ... 595
3 2000년대 시의 전개 양상 ... 597
찾아 보기 ... 637
저자 약력 ... 67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