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총론 : 인터넷, 문화, 소통 / 시정곤 = 15
1. 새로운 소통방식, UCC = 15
2. 디지털 매체의 특징 = 18
3. 디지털 소통과 커뮤니티 = 26
4. 디지털 사회에서 소통하기 = 32
5. 지구촌에서 의사소통하기 = 38
놀이 공간과 소통하기
디지털커뮤니케이션의 중심, 비디오게임의 오늘과 내일 / 이요한 = 45
1. 비디오게임 매개 ...
목차 전체
목차
총론 : 인터넷, 문화, 소통 / 시정곤 = 15
1. 새로운 소통방식, UCC = 15
2. 디지털 매체의 특징 = 18
3. 디지털 소통과 커뮤니티 = 26
4. 디지털 사회에서 소통하기 = 32
5. 지구촌에서 의사소통하기 = 38
놀이 공간과 소통하기
디지털커뮤니케이션의 중심, 비디오게임의 오늘과 내일 / 이요한 = 45
1. 비디오게임 매개 커뮤니케이션, VMC = 45
2. 비디오 게임기의 인터페이스 발전 : 컨트롤러의 역사 = 47
3. VMC 사용자 분석 = 56
4. VMC 연구의 시작 = 60
사이버공간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 유연수 = 63
1. 커뮤니케이션과 시각화 = 63
2. 오프라인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 67
3. 온라인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 67
4. 인스턴트 메신저에서의 시각적 커뮤니케이션 = 71
5.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 74
가상세계에서의 자기노출 : Second Life를 중심으로 / 안종윤 = 77
1. CMC와 온라인 가상세계 = 77
2. 자기노출과 사회적 실재감 = 79
3. 세컨드라이프의 특성과 현황 = 83
4. 자기노출의 실제 = 87
5. 세컨드라이프에서의 사회적 실재감 분석 = 88
6. 한계와 전망 = 91
영화 〈300〉의 재매개 전략 / 최여정 = 95
1. 만화, 영화를 잉태하다 = 95
2. 디지털 코드로서의 만화, 아날로그 코드로서의 영화 = 100
3. 케이스 스터디 : 영화 〈300〉의 재매개 전략 = 105
4. 영화, 만화를 통해 도약하다 = 108
예술 공간과 소통하기
로커티브 아트(Locative Art)에서의 인터스페이스 분석 / 윤아연 = 113
1. 현실공간과 가상공간 = 113
2. 인터스페이스 = 115
3. 미디어 아트 속 인터스페이스 = 116
4. 팬텀과 인터스페이스 = 123
5. 인터스페이스의 미래 = 127
디지털 미디어 시대의 음악산업과 테크놀로지의 상호작용 : CMC적 관점에서 본 음악에 대한 Digital Technology의 사회적 영향에 대한 고찰 / 이은영 = 131
1. 디지털 미디어 시대: 음악산업의 특수성 = 131
2. 음악의 발전과 진화 = 142
3. 전통과 기술의 열린 교육을 위하여 = 149
현대 패션 비즈니스에 나타나는 CMC 문화의 요소 / 이상희 = 153
1. 가상공간과 패션산업 = 153
2. CMC의 배경 = 154
3. CMC 문화 = 155
4. 현대 패션 비즈니스에 나타난 CMC 문화의 요소 = 160
5. 패션 비즈니스의 미래 = 170
디지털 광장과 소통하기
인터넷의 새로운 관계 모델 / 안신현 = 177
1. 인간의 섬일까 = 177
2. 사이버 자아의 가상성과 일관성 = 178
3. 인터넷 커뮤니티 = 182
4. 인터넷에서 관계 맺기 = 185
5. 인터넷 공간의 사유화 = 190
6. 정보의 바다에 섬, 게다가 군도 만들기 = 191
디지털 민주주의 : 민주적 합의 도출을 위한 온라인 토론 인터페이스 제안 / 박도연 = 195
1. 새로운 사회적 소통 공간 = 195
2. 현재 온라인 토론의 모습 = 197
3. 관련 연구 = 201
4. 온라인 토론 인터페이스 제안 = 203
5. 설계자와 사용자가 이루는 발전 = 207
디지털 디바이드 : 장애인의 정보격차 해소와 '보편적 서비스'로서의 방송의 역할 / 박웅진 = 209
1. 정보사회와 정보격차 = 209
2. 이론적 논의 = 211
3. 국내 장애인 현황 및 정보격차 실태 = 215
4. 장애인과 방송, 현황과 문제점 = 224
5. 대안 모색 = 230
온라인 커뮤니티의 학습 문화 읽어 보기 : 평생 학습 공간 읽기의 또 하나의 시도 / 임익수 = 245
1. 온라인 공간에서의 학습문화 바라보기 = 245
2. 온라인 속의 학습문화 읽기, 과연 필요할까? = 247
3. 현상읽기, 그 이전의 발자취 = 248
4. 앞선 연구들과 관계 맺음 = 250
5. 어떻게 읽을 것인가? = 254
6. 누구를 읽을 것인가: 디지털 읽어보기 = 259
7. 온라인, 그 현상 속으로 = 260
8. 온라인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읽기 = 267
9. 온라인의 현장을 떠나며 = 270
10. 진정한 에듀테인먼트를 위해서 = 271
디지털 기계와 소통하기
자동번역 게시판의 의사소통 양상 : 네이버 인조이 재팬 사이트의 한ㆍ일 사용자를 중심으로 / 전창의 = 277
1. 기술의 발달과 자동번역 게시판의 출현 = 277
2. 기술적 연구와 인터넷 게시판 연구 = 280
3. 사용자들의 의사소통 양상에 대한 분석 = 283
4. 텍스트의 언어적 요소 = 291
5. 의사소통의 미래 = 294
텔레매틱스의 한 유형 : 운전자의 경로 찾기 형태 / 박경미 = 297
1. 자동차 관련 산업과 여성 운전자에 대한 인식 변화 = 297
2. 시장 분석 = 299
3. 관련 연구 = 303
4. 관찰 및 설문조사 = 305
5. 자동차와 텔레매틱스 시장의 방향 = 311
모바일 DMB 콘텐츠와 커뮤니케이션의 상관성 / 우정희 = 315
1. 모바일 DMB의 진화 = 313
2. 커뮤니케이션 영향력을 위한 실험설계 = 319
3. 시청각 커뮤니케이션의 작용 및 의미 = 322
4. 한계와 발전 방안 = 331
재매개와 미디어의 미래 / 맹수연 = 335
1. 미디어 천국 속의 재매개 = 335
2. 재매개란 무엇인가? = 337
3. 비매개의 확대 = 342
4. 미디어의 미래 = 351
찾아보기 = 35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