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5
제1부 한국전쟁기 남북한 소설론
Ⅰ. 한국전쟁기 남북한 소설의 미군ㆍ중국군 재현 양상 = 13
1. 서론 = 13
2. 남한 소설과 미군ㆍ중국군의 재현 양상 = 16
3. 북한 소설과 미군ㆍ중국군의 재현 양상 = 21
4. 결론 = 33
Ⅱ. 한국전쟁기 남북한 소설의 한국군ㆍ북한군 재현 양상 = 35
1. 서론 = 35
2. 남한 소설과 ...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5
제1부 한국전쟁기 남북한 소설론
Ⅰ. 한국전쟁기 남북한 소설의 미군ㆍ중국군 재현 양상 = 13
1. 서론 = 13
2. 남한 소설과 미군ㆍ중국군의 재현 양상 = 16
3. 북한 소설과 미군ㆍ중국군의 재현 양상 = 21
4. 결론 = 33
Ⅱ. 한국전쟁기 남북한 소설의 한국군ㆍ북한군 재현 양상 = 35
1. 서론 = 35
2. 남한 소설과 한국군ㆍ북한군의 재현 양상 = 37
3. 북한 소설과 한국군ㆍ북한군의 재현 양상 = 49
4. 결론 = 60
Ⅲ. 한국전쟁기 남북한 소설의 여성 재현 양상 = 63
1. 서론 = 63
2. 전쟁 피해자로서의 여성 = 64
3. 전쟁으로 인한 여성의 지위 변화 양상 = 70
4. 결론 = 81
Ⅳ. 한국전쟁기 남북한 소설의 탈식민주의적 연구 = 83
1. 서론 = 83
2. 인종 재현의 양상과 의미 = 86
3. 체제 강화 이데올로기로서의 민족주의 담론 = 95
4. 결론 = 107
제2부 한국전쟁소설론
Ⅰ. 박영준의 전쟁소설 = 111
1. 서론 = 111
2. 박영준의 납북 체험과 종군 활동 = 113
3. 전쟁소설의 유형과 특성 = 117
4. 결론 = 136
Ⅱ. 황순원의 전쟁소설 = 139
1. 서론 = 139
2. 전쟁 비판과 이상 세계에 대한 동경 = 140
3. 이데올로기에 대한 중도적 태도와 전쟁의 객관화 = 147
4. 결론 = 156
제3부 1950년대 군 기관지 소설론
Ⅰ. 한국전쟁기 해군 정훈문고 『해양소설집』의 특성 = 159
1. 서론 = 159
2. 『해양소설집』의 발행인과 발간 목적 = 160
3. 『해양소설집』의 특성과 문학사적 의의 = 164
4. 결론 = 176
Ⅱ. 한국전쟁기 군 기관지 소설의 특성 = 177
1. 서론 = 177
2. 한국전쟁기 군 기관지의 유형과 성격 = 178
3. 한국전쟁기 군 기관지 소설의 특성과 의의 = 183
4. 결론 = 193
Ⅲ. 1950년대 공군 기관지 소설의 담론 양상 = 195
1. 서론 = 195
2. 반공 애국 담론의 양상 = 197
3. 현실 비판 담론의 양상 = 201
4. 결론 = 208
참고문헌 = 210
색인 = 218
부록 = 22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