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1부
한국 역사소설의 미학적 특성 = 11
불기(不羈)의 사상 : 벽초의 「임꺽정」 = 37
새로운 세계에 대한 열망 : 김남천의 「대하」 연작 = 57
2부
한(恨)ㆍ생명(生命)ㆍ대자대비(大慈大悲) : 박경리의 「토지」 = 83
새로운 형식의 창출 : 박경리의 「토지」2 = 101
박물지(博物誌)의 형식 : 최명희의 「혼불」 = 108
해방 전후 지...
목차 전체
목차
1부
한국 역사소설의 미학적 특성 = 11
불기(不羈)의 사상 : 벽초의 「임꺽정」 = 37
새로운 세계에 대한 열망 : 김남천의 「대하」 연작 = 57
2부
한(恨)ㆍ생명(生命)ㆍ대자대비(大慈大悲) : 박경리의 「토지」 = 83
새로운 형식의 창출 : 박경리의 「토지」2 = 101
박물지(博物誌)의 형식 : 최명희의 「혼불」 = 108
해방 전후 지식인의 행로와 그 의미 : 이병주의 「관부연락선」 = 117
「지리산」론 : 1970년대 역사소설의 문제점과 관련하여 = 138
3부
「張吉山」과 성 페르소나 : 황석영의 「張吉山」 = 155
혁명성의 서사 : 송기숙의 「녹두장군」 = 172
자기 완성의 길 : 김원일의 「늘푸른 소나무」 = 188
역사의 복원과 근본주의의 정신사적 의미 : 현기영 문학과 역사 = 209
4부
조정래 문학의 원점 : 「대장경(大藏經)」 = 225
계몽의 서사 : 조정래의 「태백산맥」 = 236
절대의 행로 : 조정래의 「아리랑」 = 249
5부
새로운 역사소설을 향하여 : 「우국의 바다」, 「칼의 노래」, 「손님」, 「아랑은 왜」, 「?빠이, 이상」 = 271
기록자의 자리 창조자의 자리 : 임철우의 「봄날」 = 278
허무의 초극 : 이인화의 「초원의 향기」 = 287
6부
항일 무장투쟁에의 길 : 이기영의 「두만강」 = 297
북한 역사소설의 특성 : 「높새바람」을 통해 = 320
「고우영삼국지」와 「삼국지」의 서사 변환 = 34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