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1부 화학과 유전학 = 1
1장 멘델의 세계관 = 5
멘델의 발견 = 6
분리의 법칙 = 6
글상자 1-1 멘델의 법칙 = 6
어떤 대립유전자는 우성도 열성도 아니다 = 8
독립의 법칙 = 8
유전의 염색체설 = 8
유전자의 연관과 교차 = 9
글상자 1-2 유전자들은 염색체에 연관되어 있다 = 10
염색체 ...
목차 전체
목차
1부 화학과 유전학 = 1
1장 멘델의 세계관 = 5
멘델의 발견 = 6
분리의 법칙 = 6
글상자 1-1 멘델의 법칙 = 6
어떤 대립유전자는 우성도 열성도 아니다 = 8
독립의 법칙 = 8
유전의 염색체설 = 8
유전자의 연관과 교차 = 9
글상자 1-2 유전자들은 염색체에 연관되어 있다 = 10
염색체 지도작성 = 12
돌연변이에 의한 유전적 변이의 기원 = 15
유전자는 무엇이고 이들이 어떻게 행동하는가에 대한 초기의 고찰 = 16
유전자와 단백질간의 관계를 찾기 위한 예비 시도 = 16
요약 = 17
Bibliography = 18
2장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핵산 = 19
에이버리의 폭탄선언: DNA가 유전적 특성을 전달할 수 있다 = 20
바이러스의 유전자도 역시 핵산이다 = 21
이중나선 = 21
글상자 2-1 샤가프의 법칙 = 23
DNA를 만드는 중합효소 찾기 = 24
DNA 복제 동안 DNA 가닥이 분리된다는 실험적 증거 = 26
DNA 내의 유전정보는 네 가지 뉴클레오티드의 서열에 의해 운반된다 = 28
DNA는 단백질 합성시 아미노산의 순서를 직접 지시하는 주형이 될 수 없다 = 28
글상자 2-2 유전자가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통제한다는 증거 = 29
RNA는 화학적으로 DNA와 매우 유사하다 = 30
중심원리 = 31
크릭의 어댑터 가설 = 31
단백질의 시험관내 합성 = 32
비특이적으로 보이는 리보솜의 역설 = 32
전령 RNA의 발견 = 33
DNA 주형에 의한 RNA의 효소적 합성 = 33
유전암호의 확립 = 35
단백질 합성 방향의 확립 = 37
개시와 종결신호도 역시 DNA 안에 암호화되어 있다 = 38
유전체학의 시대 = 38
요약 = 39
Bibliography = 40
3장 약한 화학적 상호작용의 중요성 = 41
화학결합의 특징 = 41
화학결합은 양자역학적 용어로 설명된다 = 42
화학결합 형성은 에너지의 형태변화를 포함한다 = 43
결합 형성과 절단 사이의 평형 = 43
자유에너지의 개념 = 44
<TEX>$$K_{eq}$$</TEX>는 ΔG와 지수적인 상관관계가 있다 = 44
공유결합은 매우 강하다 = 44
생물계에서의 약한 결합 = 45
약한 결합은 1~7kcal/mol 사이의 에너지를 갖는다 = 45
약한 결합은 생리적 온도에서 항상 만들어지고 파괴된다 = 45
극성과 비극성 분자들 사이의 구별 = 45
반데르발스 힘 = 46
수소결합 = 47
어떤 이온결합은 수소결합이다 = 47
약한 상호작용들은 상보적인 분자 표면을 필요로 한다 = 48
물 분자들은 수소결합을 이룬다 = 49
수용액 내에서 분자들 사이의 약한 결합들 = 49
글상자 3-1 분자 모양의 특수성과 선택적 고착의 개념 = 50
수소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유기분자는 수용성이다 = 51
소수성 "결합"은 고분자를 안정화한다 = 51
2~5kcal/mol 사이의 ΔG의 이점 = 52
약한 결합은 기질에 효소를 붙인다 = 53
약한 결합은 대부분의 단백질:DNA와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매개한다 = 53
요약 = 53
Bibliography = 54
4장 고에너지 결합의 중요성 = 55
에너지를 주는 분자들은 열 역학적으로 불안정하다 = 55
효소는 생화학반응에서 활성화 에너지를 낮춘다 = 57
생체분자에서의 자유에너지 = 58
고에너지 결합은 가수분해 될 때 큰 음수의 ΔG를 갖는다 = 58
생합성 반응에서의 고에너지 결합 = 60
펩티드 결합은 자발적으로 가수분해된다 = 60
양수의 ΔG와 음수의 ΔG의 연결 = 61
기-전이반응에서 전구체의 활성화 = 61
기-전이에서 ATP의 융통성 = 62
AMP의 부착에 의한 아미노산의 활성화 = 63
ⓟ~ⓟ 존재에 의해 활성화되는 핵산 전구체 = 64
핵산 합성에서 ⓟ~ⓟ 방출의 유용성 = 64
ⓟ~ⓟ 절단은 대부분 생합성 반응의 특징이다 = 65
요약 = 66
Bibliography = 67
5장 약한 결합과 강한 결합이 거대분자의 구조를 결정한다 = 69
고차원 구조는 분자 내 상호작용과 분자 간 상호작용에 의하여 결정된다 = 69
DNA는 규칙적인 나선을 형성할 수 있다 = 69
RNA는 매우 다양한 구조를 형성한다 = 71
단백질 구성단위의 화학적 특징 = 71
펩티드 결합 = 72
단백질 구조의 네 단계 = 72
α나선과 β판은 2차 구조의 일반적인 형태이다 = 74
글상자 5-1 단백질의 구조 결정 = 75
단백질의 특이적인 입체구조는 수소결합의 양상에 기인한다 = 78
α 나선은 연합하여 감긴-코일 구조를 형성한다 = 80
대부분의 단백질은 모듈화되어 있으며, 두 세개의 도메인을 가진다 = 81
단백질은 놀라울 정도로 적은 수의 구조적 모티프로 구성된다 = 81
글상자 5-2 거대 단백질은 흔히 여러 개의 작은 폴리펩티드 사슬로 만들어진다 = 82
서로 다른 단백질의 기능은 다양한 도메인의 조합에 기인한다 = 82
약한 결합에 의해 단백질이 DNA와 RNA 분자의 올바른 위치에 결합한다 = 84
단백질은 특이적인 DNA 결합자리에 접근하기 위하여 DNA를 따라가며 탐색한다 = 85
단백질이 RNA를 인식하는 다양한 방법 = 86
다른자리입체성: 모양 변화에 의한 단백질의 기능 조절 = 87
작은 리간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그리고 단백질 변형의 예에서 다른자리입체성 조절의 구조적 기본 원리가 알려졌다 = 88
단백질의 조절이 모두 다른자리입체성에 의해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 91
요약 = 91
Bibliography = 92
2부 유전체의 유지 = 93
6장 DNA와 RNA의 구조 = 97
DNA의 구조 = 98
DNA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사슬로 구성되어 있다 = 98
각각의 염기는 선호하는 토토머 형을 가진다 = 100
이중나선의 두 가닥은 역평행 방향으로 염기쌍을 형성함으로써 묶여있다 = 100
이중나선의 두 사슬은 상보적인 서열을 가진다 = 101
수소결합은 염기쌍 형성의 특이성을 위해 중요하다 = 102
염기는 이중나선으로부터 돌출되어 나올 수 있다 = 102
DNA는 보통 오른손 방향의 이중나선이다 = 103
이중나선은 작은홈과 큰홈을 가진다 = 103
큰홈은 화학적 정보가 풍부하다 = 103
글상자 6-1 DNA는 용액 내에서 나선의 한 회전 당 10.5개의 염기쌍을 가진다: 운모 실험 = 104
이중나선은 다양한 구조로 존재한다 = 106
DNA는 때로 왼손방향 나선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 107
DNA 가닥은 분리(변성)되고 재생될 수 있다 = 108
일부 DNA 분자는 원형이다 = 111
DNA의 위상학 = 111
고리수는 공유결합상 닫힌 원형 DNA의 고유한 위상학적 속성이다 = 112
고리수는 꼬임과 초나선으로 구성된다 = 112
L<TEX>$$k^o$$</TEX>는 생리적 상태에서 완전히 이완된 cccDNA의 고리수이다 = 114
세포 내 DNA는 음성의 초나선꼬임을 이루고 있다 = 114
뉴클레오솜은 진핵생물에서 음성 초나선꼬임을 도입한다 = 115
위상이성화효소는 초나선꼬임의 DNA를 이완할 수 있다 = 115
원핵생물은 DNA에 초나선꼬임을 도입하는 특별한 위상이성화효소가 있다 = 116
위상이성화효소는 DNA 분자의 매듭을 풀거나 엉킨것을 푼다 = 117
위상이성화효소는 단백질-DNA 공유결합을 사용하여 DNA 가닥을 자르고 재결합 한다 = 118
위상이성화효소는 효소 다리를 형성하고 그 사이로 DNA 가닥을 통과시킨다 = 118
DNA 위상이성체는 전기영동으로 분리될 수 있다 = 120
에티듐 이온은 DNA를 풀리게 한다 = 120
글상자 6-2 DNA 고리의 위상적 특징으로부터 DNA가 한 회전 당 약 10.5 염기쌍의 나선형 주기를 가진다는 것을 증명한다 = 121
RNA의 구조 = 122
RNA는 리보오스와 우라실을 포함하며 보통 단일가닥이다 = 122
RNA 사슬의 골격은 스스로 접혀서 국부적으로 A형 DNA와 유사한 이중나선을 형성한다 = 123
RNA는 복잡한 3차구조로 접힐 수 있다 = 124
일부 RNA는 효소이다 = 125
망치머리 리보자임은 2', 3' 고리형 인산기 형성에 의해 RNA를 자른다 = 125
생명체는 RNA 세계로부터 진화했을까? = 126
요약 = 126
Bibliography = 127
7장 염색체, 염색질 그리고 뉴클레오솜 = 129
염색체 서열과 다양성 = 130
염색체는 원형일수도 직선형일 수 도 있다 = 130
모든 세포는 특정수의 염색체를 가진다 = 131
유전체의 크기는 생물의 복잡성과 연관되어 있다 = 133
대장균의 유전체는 대부분이 유전자로 구성되어 있다 = 134
복잡한 생명체는 낮은 유전자 밀도를 가진다 = 134
유전자는 진핵생물의 염색체 DNA에서 단지 작은 부분만을 차지한다 = 135
사람의 유전자간 서열은 대부분이 반복 DNA로 구성되어 있다 = 137
염색체의 복제와 분리 = 138
진핵생물의 염색체가 세포분열 동안에 유지되기 위해서는 동원체, 말단소체 그리고 복제개시점을 필요로 한다 = 138
진핵생물 염색체의 복제와 분리는 세포주기의 구분된 단계에서 일어난다 = 141
진핵세포의 분열에 따라 염색체의 구조도 변화한다 = 143
자매염색분체 결합과 염색체의 응축에는 SMC 단백질이 관여한다 = 144
유사분열에서는 어버이 염색체 수가 유지된다 = 146
세포주기의 G 시기는 이전의 단계가 정확히 마쳐졌는지를 점검하면서 세포주기의 다음 단계를 준비하는 시기이다 = 146
감수분열은 어버이 염색체 수를 줄인다 = 148
서로 다른 수준의 염색체 구조를 현미경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 150
뉴클레오솜 = 151
뉴클레오솜은 염색체의 기본 구성 단위이다 = 151
글상자 7-1 마이크로코커스 핵산분해효소와 뉴클레오솜 결합 DNA = 152
히스톤은 작고 양전하를 띈 단백질이다 = 153
뉴클레오솜의 원자구조 = 154
다수의 DNA 염기서열 비 의존적인 접촉이 히스톤 중심과 DNA 사이의 결합을 유도한다 = 156
히스톤 N-말단 꼬리는 DNA가 팔량체 주위를 에워싸는 것을 안정화한다 = 159
고단계의 염색질 구조 = 160
히스톤 H1은 뉴클레오솜 사이의 연결 DNA에 결합한다 = 160
뉴클레오솜의 배열은 보다 더 복잡한 구조인 30-nm 섬유를 형성할 수 있다 = 161
히스톤 N-말단 꼬리가 30-nm 섬유의 형성에 필요하다 = 162
더 이상의 DNA 압축에는 뉴클레오솜 DNA의 큰 고리가 관여한다 = 162
히스톤 변이체는 뉴클레오솜의 기능을 변화시킨다 = 163
염색질 구조의 조절 = 165
DNA와 히스톤 팔량체의 상호작용은 역동적이다 = 165
뉴클레오솜 리모델링 복합체는 뉴클레오솜의 운동을 촉진한다 = 166
몇몇 뉴클레오솜들은 생체내의 특정한 위치에서 발견된다: 뉴클레오솜의 위치 고정화 = 168
히스톤 N-말단 꼬리의 변형에 의해 염색질의 접근성이 변화한다 = 169
글상자7-2 세포내에서 뉴클레오솜의 위치 결정 = 170
특정 효소들이 히스톤의 변형을 담당한다 = 173
뉴클레오솜 변형과 리모델링은 DNA 접근성을 증가시키기위해 함께 작용한다 = 174
뉴클레오솜의 조립 = 175
뉴클레오솜은 DNA 복제 후 즉시 조립된다 = 175
뉴클레오솜의 조립에는 히스톤 "샤페론"들이 필요하다 = 176
요약 = 179
Bibliography = 180
8장 DNA 복제 = 181
DNA 합성의 화학작용 = 182
DNA 합성에는 데옥시뉴클레오시드 삼인산과 프라이머: 주형 결합체가 필요하다 = 182
DNA는 프라이머의 3'말단의 신장에 의해 합성된다 = 183
피로인산의 가수분해로 DNA합성에 필요한 에너지가 유도된다 = 183
DNA 중합효소의 작용 기작 = 184
DNA 중합효소는 DNA 합성을 촉매하기 위해 단일 활성부위를 이용한다 = 184
DNA 중합효소는 프라이머: 주형 결합체를 쥔 손 모양을 하고 있다 = 186
DNA 중합효소는 진행성을 가진 효소이다 = 188
핵산 말단 분해효소는 새로 합성된 DNA를 교정한다 = 191
복제분기점 = 192
DNA의 두 가닥 모두 복제분기점에서 함께 합성된다 = 192
새로운 DNA 가닥의 합성이 시작되기 위해서는 RNA 프라이머가 필요하다 = 193
DNA 복제 완결을 위해서는 RNA 프라이머가 제거되어야 한다 = 194
DNA 헬리카아제는 복제분기점 앞에서 이중 나선을 푼다 = 194
단일가닥 결합 단백질은 복제전에 단일가닥 DNA를 안정시킨다 = 195
글상자 8-1 DNA 헬리카아제의 극성 결정하기 = 196
위상이성질체효소는 복제분기점에서 DNA 이중나선이 풀어지면서 생기는 초나선을 풀어준다 = 198
복제분기점 효소는 DNA 중합효소 기질의 범위를 넓힌다 = 199
DNA 중합효소의 특수화 = 200
DNA 중합효소들은 세포 내에서 다른 역할을 위해 특수화 된다 = 200
활주 클램프는 DNA 중합효소의 진행성을 크게 증가시킨다 = 201
활주 클램프는 클램프 장전자에 의해 열려져 DNA에 놓여진다 = 204
DNA 복제분기점에서의 합성 = 205
글상자 8-2 ATP에 의한 단백질의 기능 조절: 활주 클램프의 장전 = 206
복제분기점 단백질들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대장균 레플리솜이 형성된다 = 210
DNA 복제 개시 = 212
특정 유전체 DNA 서열이 DNA 복제 개시를 지시한다 = 212
복제 개시의 복제단위 모델 = 212
복제자 서열은 개시인자 결합자리와 쉽게 풀리는 DNA 부위를 가지고 있다 = 213
결합과 풀림: 개시인자 단백질에 의한 복제개시점 선택과 활성화 = 214
글상자 8-3 복제개시점과 복제자의 확인 = 214
단백질-단백질간 그리고 단백질-DNA간 상호작용이 개시 과정을 지시한다 = 217
글상자 8-4 대장균의 DNA 복제는 DnaATP 수준과 SeqA에 의해 조절된다 = 217
글상자 8-5 복제 공장 가설 = 221
진핵생물 염색체는 세포주기 당 정확히 한번만 복제된다 = 223
진핵세포의 복제개시는 복제전복합체의 형성에 의해 조절된다 = 223
복제전복합체 형성과 활성화는 각 세포주기 동안 복제가 1회만 일어나도록 조절된다 = 225
진핵세포와 원핵세포 DNA 복제 개시의 유사점 = 228
복제 종결 = 228
유형Ⅱ 위상이성질체효소는 딸 DNA 분자를 분리하는데 필요하다 = 228
선형 염색체의 말단에서는 지체가닥 합성이 불가능하다 = 229
말단소체중합효소는 외래의 주형이 필요없는 새로운 DNA 중합효소이다 = 230
말단소체중합효소는 염색체의 3'말단을 신장시킴으로써 말단 복제 문제를 해결한다 = 232
요약 = 232
Bibliography = 233
9장 돌연변이 발생과 DNA 수선 = 235
복제 실수와 그 수선 = 236
돌연변이의 성질 = 236
어떤 복제 실수는 교정을 회피한다 = 237
글상자 9-1 세 뉴클레오티드 반복 부분의 확장이 병을 일으킨다 = 237
잘못짝지움 수선은 교정에서 놓친 실수를 제거한다 = 238
DNA 손상 = 242
DNA는 가수분해와 탈아미노화에 의해 자연적인 손상이 일어난다 = 242
글상자 9-2 에임즈 검정법 = 243
DNA는 알킬화, 산화 및 방사선에 의해 손상을 받는다 = 244
염기 유사물질과 염기 간 삽입물질에 의해서도 돌연변이가 일어난다 = 245
DNA 손상의 수선 = 246
DNA 손상의 직접적인 역전 = 247
염기 절제수선 효소는 손상된 염기를 염기 뒤집힘 기작으로 제거한다 = 248
뉴클레오티드 절제수선 효소는 손상된 DNA의 양쪽을 모두 절단한다 = 250
재조합은 손상되지 않은 DNA로부터 서열 정보를 복구함으로써 DNA 절단을 수선한다 = 253
장애관통 DNA 합성은 DNA 손상 부위를 가로질러 복제한다 = 254
글상자 9-3 Y-족 DNA 중합효소 = 256
요약 = 257
Bibliography = 258
10장 분자수준에서의 상동재조합 = 259
상동재조합 모델들 = 259
홀리데이 모델은 상동재조합의 주요 단계를 보여준다 = 260
이중가닥절단 수선 모델이 많은 재조합을 더 정확하게 묘사한다 = 264
글상자 10-1 두 홀리데이 연결부를 갖는 재조합 중간체를 분리하는 방법 = 266
이중가닥 DNA 절단은 여러 방법으로 생겨나서 상동재조합을 시작시킨다 = 267
상동재조합 단백질 기구 = 268
RecBCD 헬리카아제/핵산분해효소가 재조합을 위해 절단된 DNA 분자를 처리한다 = 269
RecA 단백질은 단일가닥 DNA에 조립되어 가닥 침투를 촉진한다 = 272
새로운 염기쌍을 형성하는 짝은 RecA 섬유 안에서 정해진다 = 274
RecA 상동단백질은 모든 생명체에 존재한다 = 275
RuvAB 복합체는 특이적으로 홀리데이 연결부를 인지하여 가지이동을 촉진한다 = 276
RuvC는 홀리데이 연결부에서 특정 DNA 가닥을 잘라서 재조합을 끝낸다 = 276
진핵생물에서의 상동재조합 = 278
진핵생물에서의 상동재조합은 추가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다 = 278
상동재조합은 감수분열동안의 염색체 분리에 필요하다 = 279
감수분열 시기에 이중가닥 DNA의 예정된 절단이 일어난다 = 279
MRX 단백질은 RecA 유사 가닥교환 단백질의 조립을 위해 절단된 DNA의 말단을 가공한다 = 282
Dmc1은 감수분열 재조합에 특이적으로 기능을 하는 RecA 유사 단백질이다 = 282
많은 단백질들이 함께 작용하여 감수분열 재조합이 일어난다 = 284
교배형의 전환 = 285
교배형 전환은 위치 특이적인 이중가닥 절단에 의해 시작된다 = 286
교배형 전환은 유전자 변환 현상으로 교차와는 관련이 없다 = 286
상동재조합 기작의 유전적 결과 = 288
유전자 변환은 재조합 동안에 DNA가 수선되기 때문에 일어난다 = 289
요약 = 291
Bibliography = 291
11장 자리 특이적 DNA 재조합 및 전위 = 293
보존적 자리 특이적 재조합 = 294
자리 특이적 재조합은 표적 DNA 내 특이적 DNA 염기서열에서 일어난다 = 294
자리 특이적 재조합효소는 공유결합 단백질-DNA 중간체를 이용하여 DNA를 절단하고 재연결한다 = 296
세린계 재조합효소는 DNA 이중가닥 절단을 유도하고 가닥을 바꾸어서 재조합을 촉진한다 = 298
티로신계 재조합효소는 DNA 가닥 쌍을 절단하고 동시에 재연결한다 = 299
DNA에 결합하는 티로신계 재조합효소의 구조는 DNA 교환 기작을 밝혀준다 = 300
글상자 11-1 자리 특이적 재조합의 유전공학적 응용 = 302
자리 특이적 재조합의 생물학적 기능 = 302
λ통합효소는 바이러스 유전체의 숙주세포 염색체로의 통합과 절제를 촉진한다 = 303
λ파지 절제는 새로운 DNA-구부림 단백질을 요구한다 = 304
Hin 재조합효소는 DNA 단편을 역위시켜 대체 유전자의 발현을 가능하게 한다 = 305
Hin 재조합에는 DNA 증폭자를 요구한다 = 306
재조합효소는 다량체 원형 DNA 분자를 단량체로 변환시켜 준다 = 307
특이적인 DNA 단편에 재조합을 지시하는 다른 기작이 있다 = 310
전위 = 310
전위는 유전인자를 새로운 염색체 위치로 이동시킨다 = 310
세 가지 계열의 중요한 전위인자가 있다 = 311
DNA 전위인자는 재조합 자리 옆으로 연결된 전위효소 유전자를 갖고 있다 = 312
전위인자는 자발적 및 비자발적 인자로 존재한다 = 313
바이러스 유사 레트로전위인자와 레트로바이러스는 재조합에 중요한 말단 반복 염기서열과 두 개의 유전자를 갖고 있다 = 313
폴리-A 레트로전위인자는 유전자와 비슷하다 = 314
오려 붙이기 기작에 의한 DNA 전위 = 314
오려 붙이기 전위에서 중간체는 간극 수선으로 완성된다 = 316
DNA 전위가 일어나는 동안 비운반 가닥을 절단하기 위한 많은 기작들이 있다 = 316
복제기작에 의한 DNA 전위 = 318
바이러스 유사 레트로전위인자와 레트로바이러스는 RNA 중간체를 이용하여 이동한다 = 320
DNA 전위효소와 레트로바이러스 통합효소는 superfamily 계열 단백질 종류이다 = 321
글상자 11-2 레트로바이러스 cDNA 형성경로 = 322
폴리-A 레트로전위인자는 "역이어맞추기" 기작을 이용하여 이동한다 = 324
전위인자들 및 그들의 조절에 대한 예시 = 327
IS4 계열 전위인자는 다양한 기작으로 사본수를 조절하는 치밀한 인자이다 = 327
글상자 11-3 옥수수 전위인자와 전위인자의 발견 = 328
Tn10 전위는 세포내 DNA 복제와 연결된다 = 329
파지 Mu는 아주 튼튼한 전위인자이다 = 331
Mu는 표적면역을 사용하여 자신의 DNA 내에 전위가 일어나는 것을 회피한다 = 331
Tc1/Mariner 전위인자는 진핵생물에서 아주 성공적인 DNA 전위인자이다 = 334
효모 Ty 전위인자들은 유전체에 있는 안전한 안식처로 전위한다 = 335
LINEs는 자신의 전위를 촉진하고 세포 내 RNAs를 전위한다 = 336
V(D)J 재조합 = 337
V(D)J 재조합 초기 단계는 전위인자 절제와 유사한 기작으로 일어난다 = 339
요약 = 342
Bibliography = 342
3부 유전체의 발현 = 343
12장 전사 기작 = 347
RNA 중합효소와 전사 주기 = 348
RNA 중합효소들은 공통적인 특징이 많다 = 348
RNA 중합효소에 의한 전사는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 350
전사 개시는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 352
세균에서의 전사과정 = 353
세균의 프로모터는 강도와 염기서열은 다양하지만 공통된 특징을 가진다 = 353
σ 인자가 중합효소의 프로모터 결합을 매개한다 = 354
글상자 12-1 공통서열 = 355
열린 복합체로의 전환에는 RNA 중합효소와 프로모터 DNA의 구조 변화가 따른다 = 356
RNA 중합효소는 프라이머 없이 전사를 개시한다 = 358
RNA 중합효소는 신장단계 전에 몇 개의 짧은 RNA들을 합성한다 = 358
신장단계의 중합효소는 진행성이 크며, RNA를 합성하고 교정한다 = 359
글상자 12-2 단일 소단위체의 RNA 중합효소 = 360
전사는 RNA 서열 내의 신호에 의해 종결된다 = 361
진핵생물의 전사 = 363
RNA 중합효소 Ⅱ의 핵심 프로모터는 4개의 상이적인 서열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 363
RNA 중합효소 Ⅱ는 보편 전사인자들과 함께 프로모터에서 개시전 복합체를 만든다 = 364
TBP는 작은홈에 끼워 들어간 βsheet을 통해 DNA에 결합하고 구조를 변화시킨다 = 366
다른 보편 전사인자들도 개시에서 특정 역할을 수행한다 = 367
생체 내의 전사 개시에는 매개복합체와 같은 부수적 단백질들이 필요하다 = 368
매개복합체는 많은 소단위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부 소단위체는 효모에서 사람에 이르기까지 보존되어 있다 = 369
PolⅡ 신장과 RNA 교정을 촉진하는 인자들 = 370
진행 중인 중합효소는 여러 형태의 RNA 가공 과정에 필요한 단백질 인자들과 결합되어 있다 = 371
RNA 중합효소Ⅰ와 Ⅲ은 다른 프로모터를 인지하며 서로 다른 전사인자들을 사용하지만 여전히 TBP가 필요하다 = 374
요약 = 376
Bibliography = 377
13장 RNA 이어맞추기 = 379
RNA 이어맞추기의 화학적 특성 = 380
RNA 내부 서열이 이어맞추기가 일어날 위치를 결정한다 = 380
엑손이 연결될 때 그 사이의 인트론은 올가미 형태로 제거된다 = 381
다른 RNA 분자의 엑손들이 트랜스-이어맞추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 383
스플라이소솜 기구 = 383
RNA 이어맞추기는 큰 스플라이소솜 복합체에 의해 이루어진다 = 383
이어맞추기 과정 = 385
이어맞추기 과정: 스플라이소솜 내에서의 조립, 재배열 및 촉매 작용 = 385
자가 이어맞추기 인트론에 의해 RNA가 RNA 이어맞추기를 촉매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 387
Ⅰ군 인트론은 올가미 모양이 아닌 선형의 인트론을 방출한다 = 388
글상자 13-1 Ⅰ군 인트론의 리보자임으로의 전환 = 389
스플라이소솜이 어떻게 이어맞추기 자리를 정확하게 찾을까? = 390
대체 이어맞추기 = 394
하나의 유전자가 대체 이어맞추기를 통해 여러가지 산물을 만들 수 있다 = 394
대체 이어맞추기는 활성인자와 억제인자에 의해 조절된다 = 396
글상자 13-2 아데노바이러스와 이어맞추기의 발견 = 398
일부 인트론들은 다른 snRNP 세트로 구성된 다른 스플라이소솜에 의해 이어맞추기 된다 = 400
엑손 뒤섞기 = 400
엑손이 재조합으로 뒤섞여 새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유전자가 만들어진다 = 400
RNA 편집 = 404
RNA 편집은 mRNA의 서열을 바꾸는 또 다른 방법이다 = 404
mRNA 수송 = 406
가공된 mRNA는 포장되어 번역을 위해 핵에서 세포질로 배출된다 = 406
요약 = 408
Bibliography = 409
14장 번역 = 411
전령RNA = 412
폴리펩티드 사슬은 열린 읽기틀에 의하여 지정된다 = 412
원핵생물 mRNA는 번역기구를 끌어안는 리보솜 결합자리를 가지고 있다 = 413
진핵생물의 mRNA는 효율적인 번역을 위하여 5'말단과 3'말단이 변형된다 = 414
운반RNA = 415
tRNA는 코돈과 아미노산을 연결시켜주는 어댑터이다 = 415
tRNA는 클로버 잎을 닮은 공통적인 2차구조를 가진다 = 416
tRNA의 3차원 구조는 L자 모양이다 = 417
tRNA에 아미노산의 부착 = 417
tRNA는 3'말단의 아데노신 뉴클레오티드에 고 에너지 아실결합에 의한 아미노산의 결합으로 충전된다 = 417
아미노아실 tRNA합성효소는 두 단계를 거쳐 tRNA를 충전시킨다 = 418
각각의 아미노아실 tRNA 합성효소는 하나의 아미노산을 하나 혹은 그 이상의 tRNA에 부착시킬 수 있다 = 419
tRNA 합성효소는 고유한 자신의 tRNA에 대하여 독특한 구조적 특징을 인식한다 = 420
아미노아실-tRNA의 형성은 매우 정교하게 이루어진다 = 421
어떤 아미노아실-tRNA 합성효소는 tRNA 충전시에 높은 정확도를 위해서 교정포켓을 사용한다 = 422
리보솜은 바르게 충전된 tRNA와 틀리게 충전된 tRNA를 구분해내지 못한다 = 422
글상자 14-1 셀레노시스테인 = 423
리보솜 = 423
리보솜은 큰 소단위와 작은 소단위으로 구성된다 = 425
큰 소단위와 작은 소단위는 번역의 각 회로에서 결합과 해리를 반복한다 = 425
새로운 아미노산은 성장하는 폴리펩티드의 C-말단에 부가된다 = 427
펩티드 결합은 성장 중인 폴리펩티드 사슬이 하나의 tRNA에서부터 다른 tRNA로 전달되면서 일어난다 = 428
리보솜 RNA는 리보솜의 구조와 촉매에 있어서의 결정인자이다 = 428
리보솜은 세 곳의 tRNA 결합 자리를 가지고 있다 = 429
리보솜에는 채널이 있어서 이곳을 통하여 mRNA와 성장 폴리펩티드가 들어가고 나온다 = 430
번역의 개시 = 432
원핵생물의 mRNA는 먼저 리보솜의 작은 소단위에 있는 rRNA와 염기쌍을 형성한다 = 433
변형된 메티오닌으로 충전된 특이한 tRNA가 원핵생물의 작은 소단위에 직접 결합한다 = 433
세 개의 개시인자가 mRNA와 개시 tRNA를 포함하는 개시복합체의 조립을 지휘한다 = 433
진핵생물의 리보솜은 mRNA의 5'캡에 결합한다 = 435
mRNA의 5'말단의 하류를 스캔함으로서 개시코돈을 찾는다 = 437
번역개시인자들이 진핵생물의 mRNA를 둥근 고리모양으로 유지시켜준다 = 438
글상자 14-2 uORF와 IRES: 예외적인 규칙 = 439
번역의 신장 = 440
신장인자 EF-Tu가 아미노아실-tRNA를 A 자리로 전달한다 = 441
리보솜은 틀린 아미노아실-tRNA를 걸러내기 위하여 여러 가지 기작을 사용한다 = 441
리보솜은 리보자임이다 = 412
펩티드 결합의 형성과 신장인자 EF-G는 tRNA와 mRNA의 전좌를 촉발한다 = 444
EF-G는 A 자리에 결합한 tRNA를 이동시켜서 전좌를 촉발한다 = 445
EF-Tu-GDP와 EF-G-GDP는 새로운 신장회로에 들어가기 전에 GDP를 GTP로 교환해야 한다 = 446
펩티드 결합이 한 번 일어날 때 마다 두 분자의 GTP와 한 분자의 ATP를 소비한다 = 446
글상자 14-3 GTP 결합단백질, 입체구조 변환 및 번역사건에서의 충실도 및 순서 = 447
번역의 종결 = 448
종결코돈에 응답하여 방출인자가 번역을 종결한다 = 448
Ⅰ형 방출인자의 짧은 자리가 종결코돈을 인식하고 펩티드 사슬의 방출을 촉발한다 = 449
GDP/GTP 교환과 GTP 가수분해가 Ⅱ형 방출인자의 기능을 조절한다 = 450
리보솜 재사용인자는 tRNA를 모방한다 = 450
번역은 mRNA와 단백질의 안정성을 조절한다 = 452
SsrA RNA는 손상된 mRNA를 번역하고 있는 리보솜을 구출한다 = 452
글상자14-4 GTP 항생제는 번역의 특정 단계를 차단함으로서 세포분열을 멈추게 한다 = 453
진핵세포는 불완전한 mRNA나 미성숙 종결코돈을 가진 mRNA를 분해 해 버린다 = 456
요약 = 458
Bibliography = 459
15장 유전암호 = 461
암호는 퇴화되어 있다 = 461
암호의 구성에서 파악된 규칙 = 462
역코돈에서의 동요 = 463
3개의 코돈이 사슬 종결을 지시한다 = 463
어떻게 암호가 해독되었나 = 464
합성한 mRNA에 의한 아미노산 중합의 촉진 = 465
Poly-U는 폴리페닐알라닌으로 번역된다 = 466
혼합 혼성중합체로 추가적인 코돈을 지정할 수 있었다 = 467
정확한 3뉴클레오티드 코돈에 결합하는 전달 RNA = 468
반복형 혼성중합체로부터의 코돈 지정 = 468
유전암호를 지배하는 3가지 법칙 = 469
유전암호를 변경하는 세 종류의 점 돌연변이 = 470
암호가 세 개의 단위로 읽혀진다는 유전적 증거 = 471
억제자 돌연변이는 동일 유전자 혹은 다른 유전자 내에 존재할 수 있다 = 471
유전자간 억제는 돌연변이 tRNA를 포함한다 = 472
정지 억제자들은 정상적인 종결신호도 해독한다 = 474
유전암호 정확성의 증명 = 474
유전암호는 거의 보편적이다 = 475
요약 = 477
Bibliography = 477
4부 조절 = 479
16장 원핵생물의 유전자 조절 = 483
전사조절의 원리 = 483
유전자 발현은 조절 단백질들에 의해 조절된다 = 483
많은 프로모터들은 RNA 중합효소의 DNA 결합을 돕는 활성인자와 결합을 막는 억제자에 의해 조절된다 = 484
일부 활성인자들은 다른자리입체성으로 작용하며 RNA 중합효소 결합 후의 단계들을 조절한다 = 485
떨어진 거리에서의 작용과 DNA 고리화 = 486
협동적 결합과 다른자리입체성은 유전자 조절에서 여러 역할을 한다 = 487
항종결과 그 밖의 조절: 모든 유전자 조절이 전사개시에서만 일어나는 것은 아니다 = 487
전사개시의 조절: 세균의 예 = 488
활성인자와 억제자는 함께 lac 유전자들을 조절한다 = 488
CAP과 Lac 억제자는 RNA 중합효소가 lac 프로모터에 결합하는데 반대 효과를 나타낸다 = 489
글상자 16-1 DNA-결합자리의 탐지 = 490
CAP은 따로 분리된 활성화 표면과 DNA-결합 표면을 가지고 있다 = 492
CAP과 Lac 억제자는 공통된 구조적 모티프를 사용하여 DNA에 결합한다 = 493
글상자 16-2 활성인자 우회 실험 = 493
Lac 억제자와 CAP의 활성은 신호에 의한 다른자리입체성 조절을 받는다 = 496
글상자 16-3 자콥, 모노와 유전자 조절 뒤에 숨겨진 개념들 = 497
조합 조절: CAP은 다른 유전자들도 조절한다 = 499
다른 대체 σ인자들이 RNA 중합효소를 다른 종류의 프로모터 세트로 안내한다 = 499
NtrC와 MerR: 유인에 의해서가 아니라 다른자리입체성에 의해 작용하는 전사 활성인자들 = 500
NtrC는 ATPase 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유전자로부터 멀리 떨어진 DNA 부위로부터 작용한다 = 500
MerR은 프로모터 DNA를 비틀어 전사를 활성화한다 = 501
일부 억제자들은 RNA 중합효소의 결합을 방해하는 것이 아니라 중합효소를 프로모터에 계속 붙잡아 둔다 = 502
AraC와 항활성화에 의한 araBAD 오페론의 조절 = 503
전사개시 이후 단계에서 유전자 조절의 예 = 504
아미노산 생합성 오페론들은 조숙한 전사종결에 의해 조절된다 = 504
리보솜 단백질들은 자신들의 합성에 번역 억제자로 작용한다 = 506
글상자 16-4 리보스위치 = 509
파지λ 의 사례: 조절의 층 = 512
선택적인 유전자 발현 양상이 용균성 및 용원성 성장을 조절한다 = 513
조절 단백질과 그들의 결합자리 = 514
λ억제자는 작동자 부위에 협동적으로 결합한다 = 515
글상자 16-5 농도, 친화력 및 협동적 결합 = 516
억제자와 Cro는 용균성과 용원성 성장을 조절하기 위해 다른 양상으로 결합한다 = 517
용원성 유도는 λ억제자의 단백질분해 절단을 필요로 한다 = 518
억제자의 음성 자가조절은 먼 거리 사이의 상호작용과 큰 DNA 고리를 필요로 한다 = 519
또 다른 활성인자인 λcll가 새로운 숙주에 감염 시 용균성 성장을 할지 아니면 용원성 성장을 할지의 결정을 조절한다 = 520
글상자 16-6 용균성/용원성 선택에 관련된 유전자를 찾아내는 유전적 접근방법들 = 521
대장균의 성장조건이 Cll 단백질의 안정성, 그러므로 용균성/용원성 선택을 조절한다 = 522
λ발생에서의 전사 항종결 = 523
역조절: RNA 합성 및 안정성 조절의 상호 작용이 int유전자 발현을 결정한다 = 524
요약 = 525
Bibliography = 526
17장 진핵세포의 유전자 조절 = 529
효모에서 포유류까지 보존된 전사 조절 기작 = 531
활성인자의 DNA 결합 능력과 활성화 능력은 분리되어 있다 = 531
글상자 17-1 투 하이브리드 분석법 = 533
진핵세포의 조절인자는 다양한 DNA 결합도메인을 사용하지만, DNA 인식은 세균에서와 같은 원리를 사용한다 = 534
활성화 부위의 구조는 아직 잘 밝혀지지 않았다 = 536
진핵세포 활성인자에 의한 유전자로의 단백질 복합체의 유인 = 537
활성인자는 전사기구를 유전자로 유인한다 = 537
글상자 17-2 염색질 면역 침강법 = 539
활성인자는 전사기구가 프로모터에 결합하는 것을 도와주는 뉴클레오솜 조절자도 유인한다 = 540
원거리에서의 작용: 고리화와 차단자 = 540
적절한 조절을 위해 좌위 조절부위를 필요로하는 유전자들이 있다 = 543
신호통합과 조합에 의한 조절 = 544
활성인자들은 신호통합을 위해 함께 작용하며 상승효과를 일으킨다 = 544
신호통합: HO 유전자는 뉴클레오솜 변형인자와 매개체를 각각 유인하는 두 가지 조절자에 의해 조절된다 = 546
신호통합: 인간의 β-인터페론 유전자에서 활성인자의 협동적 결합 = 546
조합적 조절은 진핵생물의 복잡성과 다양성의 중심에 있다 = 547
출아효모 교배형 유전자의 조합적 조절 = 548
전사 억제인자 = 549
신호전달과 전사 조절인자의 조절 = 551
신호는 흔히 신호전달 경로를 통해 전사조절인자에 전달된다 = 551
신호는 진핵세포의 전사조절인자 활성을 다양한 방법으로 조절한다 = 552
활성인자와 억제인자는 때론 여러 조각으로부터 형성된다 = 555
히스톤과 DNA의 구조변화에 의한 유전자 "침묵화" = 556
효모에서의 침묵화는 히스톤의 탈아세틸화와 메틸화에 의해 일어난다 = 556
히스톤의 변형과 히스톤 암호 가설 = 558
포유류 세포에서의 DNA의 메틸화는 유전자 침묵화에 관여한다 = 558
어떤 유형의 유전자 발현은 그 신호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더라도 세포분열을 통해 전달된다 = 560
글상자 17-3 λ용원균과 후생적 스위치 = 562
전사개시 이후 단계에서의 진핵세포 유전자 조절 = 562
어떤 활성인자는 전사개시 대신 전사의 신장을 조절한다 = 562
선택적 mRNA 이어맞추기의 조절로 세포에 따라 서로 다른 단백질을 만들 수 있다 = 563
효모의 전사 활성인자 Gcn4의 발현은 번역단계에서 조절된다 = 565
RNA에 의한 유전자 조절 = 567
이중가닥 RNA가 그 RNA와 상동성이 있는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한다 = 568
짧은 방해 RNA(siRNA)는 dsRNA로부터 만들어지며 여러 방식으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장치를 조절한다 = 568
마이크로 RNAs는 발생 과정 중에 일부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 570
요약 = 571
Bibliography = 572
18장 발생과정의 유전자 조절 = 575
발생과정에서 세포가 특정한 유전자 세트를 발현하도록 유도하는 세 가지 전략 = 576
어떤 mRNA는 세포골격이 가지고 있는 고유극성에 의하여 난자와 배아의 내부에 자리잡게 된다 = 576
세포와 세포의 접촉과 분비된 세포 신호전달분자에 의하여 인접세포의 유전자 발현에 변화가 일어난다 = 576
글상자 18-1 미세배열 분석법: 이론과 실제 = 577
분비된 신호전달분자의 농도 경사는 세포들이 그들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분화과정을 거치도록 유도한다 = 578
서로 다른 유전자 발현 양상을 확립하는 세 가지 전략의 예 = 580
억제자 Ash1의 국지적인 분포가 HO 유전자를 침묵화하여 효모의 교배형을 조절한다 = 580
글상자 18-2 세포골격의 개관: 비대칭성과 성장 = 582
멍게 배아에서 mRNA의 국지적 분포가 근육의 분화를 일으킨다 = 584
포자형성 세균, B.subtilis에서는 세포 대 세포의 접촉으로 서로 다른 유전자 발현이 유도된다 = 584
글상자 18-3 Ciona의 발생 = 585
곤충의 CNS에서 피부-신경의 조절스위치는 Notch 신호전달에 의해 조절된다 = 587
형태형성물질 Sonic Hedgehog의 기울기에 의해 척추동물의 신경관내에서 다양한 뉴런 형성이 조절된다 = 588
초파리 배아발생의 분자생물학적 = 590
초파리 배아발생의 개관 = 590
초파리 배아의 등-배 형태형성은 형태형성물질의 기울기에 의해 조절된다 = 590
글상자 18-4 초파리 발생의 개관 = 592
글상자 18-5 발생에서 활성인자의 상승작용의 역할 = 597
분절은 미수정란의 전극과 후극에 국지적으로 분포하는 RNA에 의해 시작된다 = 599
Bicoid 기울기는 농도-의존적 방법으로 분절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 601
Hunchback 발현도 역시 전사단계에서 조절된다 = 602
Hunchback 억제자의 기울기가 Gap 유전자의 서로 다른 발현 경계를 결정한다 = 603
Hunchback과 Gap 단백질은 분절된 유전자 발현 띠를 만들어낸다 = 604
글상자 18-6 복잡한 증폭자를 동정하기 위한 생물정보학적인 방법 = 605
억제자 Gap의 기울기에 의해 여러 개의 유전자 발현 띠가 만들어진다 = 607
단거리에서 작용하는 전사 억제자들에 의해 복잡한 eve 조절부위 내의 여러 증폭자가 서로 독립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 608
요약 = 609
Bibliography = 610
19장 비교 유전체학과 동물 다양성의 진화 = 613
대부분의 동물은 기본적으로 동일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다 = 614
유전자 중복이 어떻게 생물의 다양성을 일으키는가? = 616
글상자 19-1 유전자 중복과 조절 진화의 중요성 = 616
글상자 19-2 글로빈 유전자의 중복에 의해 유전자의 발현양상이 새로워지고 단백질도 다양해진다 = 618
글상자 19-3 척추동물의 진화에 있어서 β-글로빈 유전자의 중복현상 = 618
유전자 발현 방식은 진화가 일어나는 동안 세 가지 방향으로 변화한다 = 619
동물의 형태를 바꾸는 실험조작 = 620
Pax6 발현에 변화가 일어나면 이소성의 눈이 발생된다 = 621
Antp 발현의 변화는 촉각을 다리로 변형시킨다 = 622
단백질 기능의 중요성: ftz와 Antp의 상호전환 = 622
증폭자 서열에서의 미세한 변화가 새로운 형태의 유전자 발현을 일으킬 수 있다 = 623
Ubx의 발현이 잘못 일어나면 초파리의 형태가 바뀐다 = 624
초파리 배아의 형태를 변형시키는 Ubx 기능의 변화 = 626
Ubx 표적 증폭자의 변화는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 627
글상자 19-4 초파리의 호메오 유전자는 특별 염색체 집단에 배열되어 있다 = 627
갑각류와 곤충의 형태적인 변화 = 630
절지동물은 매우 다양하다 = 630
갑각류에서 볼 수 있는 다리의 변형을 Ubx 발현의 변화로 설명할 수 있다 = 630
왜 곤충의 복부에는 다리가 없을까 = 631
비행용 부속지의 변형은 조절 DNA 서열의 진화로부터 발생하였을지도 모른다 = 632
글상자 19-5 혁신적 진화를 위한 유전자 연결망에서의 새로운 선택 = 633
유전체의 진화와 인간의 기원 = 635
인간의 유전자 수는 놀라울 정도로 적다 = 635
인간의 유전체는 생쥐의 유전체와 아주 유사하며 침팬지와는 거의 동일하다 = 636
인간 언어의 진화적 기원 = 637
FOXP2가 어떻게 인간의 언어를 발달시키게 되었을까 = 637
비교 유전체학 분석의 미래 = 638
요약 = 639
Bibliography = 640
5부 분자생물학 연구기법 및 모델 생물체 = 643
20장 분자생물학의 연구기법 = 647
서론 = 647
핵산 = 648
겔 전기영동을 통해서 DNA와 RNA를 크기에 따라 분리할 수 있다 = 648
제한효소는 DNA의 특정 부위를 자른다 = 649
DNA 혼성화로 특정 DNA 분자를 찾아낼 수 있다 = 651
혼성화 탐침을 이용하여 전기영동으로 분리한 DNA와 RNA를 동정 할 수 있다 = 652
특정 DNA 조각의 분리 = 653
DNA 클로닝 = 654
플라스미드 벡터에 DNA 클로닝하기 = 654
형질전환으로 벡터 DNA를 숙주 생물체에 도입시킬 수 있다 = 655
클로닝으로 DNA 라이브러리를 만들수 있다 = 656
혼성화로 DNA 라이브러리로부터 특정 클론을 찾아낼 수 있다 = 657
화학적으로 합성한 올리고뉴클레오티드 = 657
중합효소 연쇄반응은 시험관 내에서의 반복적인 DNA 복제로 DNA를 증폭시킨다 = 658
중첩된 DNA 조각 세트로 뉴클레오티드 서열을 밝힌다 = 660
글상자 20-1 과학수사와 중합효소연쇄반응 = 661
세균 유전체의 산탄 염기서열 분석법 = 663
산탄 전략으로 커다란 유전체 서열의 일부분을 조립할 수 있다 = 664
글상자 20-2 자동 염기서열 분석기는 고속처리 서열분석에 사용된다 = 665
말단의 짝-형성 전략으로 커다란 유전체 뼈대를 조립할 수 있다 = 666
유전체 전체를 대상으로 한 분석들 = 667
유전체의 비교 분석 = 669
단백질 = 672
특정 단백질을 세포추출물로부터 순수 분리할 수 있다 = 672
단백질의 순수 분리에는 특수한 분석법이 필요하다 = 673
활성 단백질을 갖고 있는 세포추출물의 준비 = 673
단백질은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 673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면 보다 신속히 단백질을 정제할 수 있다 = 674
폴리아크릴아미드 겔에서의 단백질 분리 = 675
항체를 이용하여 전기영동에 의해 분리된 단백질을 볼 수 있다 = 676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을 직접 분석할 수 있다 = 676
단백질체학 = 677
Bibliography = 679
21장 모델 생물체 = 681
박테리오파지 = 682
파지의 생장 분석 = 684
일단계 생장곡선 = 685
파지 교차 및 상보성 검사 = 685
형질도입 및 재조합 DNA = 686
세균 = 687
세균의 생장 분석 = 687
세균는 유성접합, 파지 매개 형질도입, DNA 형질전환 방법으로 DNA를 교환한다 = 688
세균 플라스미드는 클로닝 벡터로 이용될 수 있다 = 689
전위인자는 삽입 돌연변이와 유전자-오페론 융합에 이용될 수 있다 = 689
세균의 분자유전학 연구는 재조합 DNA 기술,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및 전사 프로파일링에 의해서 증진되었다 = 690
잘 발달된 전통 유전학 및 분자유전학연구 방법이 사용 가능한 단순한 세포에서는 생화학적 분석이 특히 효과적이다 = 691
세균에서는 세포학적 연구가 가능하다 = 691
파지와 세균은 유전자에 관한 기본적인 사실들을 가장 잘 알려준다 = 692
출아효모 = 693
반수체 세포와 배수체 세포의 존재가 출아효모의 유전적 분석을 쉽게 해 준다 = 693
효모에서는 정확한 돌연변이를 제조하기가 쉽다 = 694
출아효모는 작고 잘 분석된 유전체를 가지고 있다 = 694
출아효모는 생장하면서 형태가 변화한다 = 695
예쁜꼬마선충 = 696
예쁜꼬마선충은 생활주기가 빠르다 = 696
예쁜꼬마선충은 비교적 작은 수의 잘 알려진 세포 계통으로 구성되어 있다 = 697
세포죽음 경로가 예쁜꼬마선충에서 발견되었다 = 698
RNAi가 예쁜꼬마선충에서 발견되었다 = 698
노랑초파리 = 699
노랑초파리는 빠른 생활주기를 가진다 = 699
최초의 유전체 지도가 노랑초파리에서 만들어졌다 = 700
유전 모자이크는 성체 초파리에서 치사 유전자의 분석을 가능하게 해 준다 = 702
효모의 FLP 재조합효소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유전모자이크를 만들 수 있다 = 703
외부 DNA를 가지는 유전자 이식초파리는 쉽게 만들 수 있다 = 703
생쥐 = 705
생쥐의 배아 발생은 줄기세포에 의존한다 = 706
생쥐 배아에 외부 DNA를 도입하는 것은 쉬운 일이다 = 707
상동재조합은 각 유전자의 선택적 제거를 가능하게 해 준다 = 707
생쥐는 후생적 유전현상을 나타낸다 = 709
Bibliography = 711
Index = 71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