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5
제1부 한국 근대 불교의 개막과 자주화의 모색 = 11
개화사상의 형성과 근대불교 = 13
승려의 입성금지 해제와 근대불교의 전개 = 55
일제의 불교정책과 친일불교 = 95
한국 근대불교의 대중화와 석문의범 = 121
제2부 동ㆍ서 문화의 충돌과 중국 근대 불교 = 143
청대의 불교정책과 거사불교 = 145
중국 근대 혁명...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5
제1부 한국 근대 불교의 개막과 자주화의 모색 = 11
개화사상의 형성과 근대불교 = 13
승려의 입성금지 해제와 근대불교의 전개 = 55
일제의 불교정책과 친일불교 = 95
한국 근대불교의 대중화와 석문의범 = 121
제2부 동ㆍ서 문화의 충돌과 중국 근대 불교 = 143
청대의 불교정책과 거사불교 = 145
중국 근대 혁명사상에 미친 불교의 영향 = 185
지나내학원과 근대 중국불교학의 부흥 = 219
동ㆍ서학의 매개로서의 유식학 연구와 그 성행 = 245
제3부 군국주의와 일본 근대불교 = 277
단가제도의 성립ㆍ정착과정과 근대 일본불교계의 양상 = 279
폐불훼석(廢佛毁釋)과 메이지정부 = 303
정토진종(淨土眞宗) 교단의 전쟁지원 = 333
1930년대 불교사회주의 구상과 세노오 기로오(妹尾義郞) = 365
쇼와(昭和)시대 전시체제의 종교탄압과 불교계의 저항 = 405
저자소개 = 42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