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동아시아 불교, 근대와의 만남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엮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동아시아 불교, 근대와의 만남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엮음
개인저자김제란
김진무
류승주
서인범
서재영
원영상
윤기엽
조승미
한상길
사토 아츠시
단체저자명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발행사항서울 : 동국대학교출판부, 2008
형태사항428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동아시아) 불교연구총서
ISBN9788978012195
일반주기공저자 : 김제란, 김진무, 류승주, 서인범, 서재영, 원영상, 윤기엽, 조승미, 한상길, 사토 아츠시
서지주기서지적 각주 수록
분류기호294.3095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07356 294.3095 동아시 동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23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5
제1부 한국 근대 불교의 개막과 자주화의 모색 = 11
 개화사상의 형성과 근대불교 = 13
 승려의 입성금지 해제와 근대불교의 전개 = 55
 일제의 불교정책과 친일불교 = 95
 한국 근대불교의 대중화와 석문의범 = 121
제2부 동ㆍ서 문화의 충돌과 중국 근대 불교 = 143
 청대의 불교정책과 거사불교 = 145
 중국 근대 혁명...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5
제1부 한국 근대 불교의 개막과 자주화의 모색 = 11
 개화사상의 형성과 근대불교 = 13
 승려의 입성금지 해제와 근대불교의 전개 = 55
 일제의 불교정책과 친일불교 = 95
 한국 근대불교의 대중화와 석문의범 = 121
제2부 동ㆍ서 문화의 충돌과 중국 근대 불교 = 143
 청대의 불교정책과 거사불교 = 145
 중국 근대 혁명사상에 미친 불교의 영향 = 185
 지나내학원과 근대 중국불교학의 부흥 = 219
 동ㆍ서학의 매개로서의 유식학 연구와 그 성행 = 245
제3부 군국주의와 일본 근대불교 = 277
 단가제도의 성립ㆍ정착과정과 근대 일본불교계의 양상 = 279
 폐불훼석(廢佛毁釋)과 메이지정부 = 303
 정토진종(淨土眞宗) 교단의 전쟁지원 = 333
 1930년대 불교사회주의 구상과 세노오 기로오(妹尾義郞) = 365
 쇼와(昭和)시대 전시체제의 종교탄압과 불교계의 저항 = 405
저자소개 = 429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