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고고학으로 본 옥저문화

강인욱 ... [외] 지음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고고학으로 본 옥저문화 / 강인욱 ... [외] 지음
개인저자강인욱
김재윤
클류예프, N. A.
수보티나, A. L.
발행사항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08
형태사항287 p. : 삽화 ; 23 cm
총서사항동북아역사재단 연구총서 ;37
대등표제New perspectives on the Okcho (Wuju) people based on newly found archaeological materials from Maritime region on Rusia and neighbouring regions
ISBN9788961870795
일반주기공저자 : 김재윤, N. A. 클류예프, A. L. 수보티나
찾아보기 : p.285-287
서지주기참고문헌 : p.271-282
내용주기동아시아 고고학·고대사 연구 속에서 옥저문화의 위치 : 옥저. 읍루 문화권의 제기를 중심으로 / 강인욱. -- 동북한과 중국 연변지구의 초기 철기시대 문화 : 단결-크로우노프카문화의 계통적 성격 / 김재윤. -- 러시아 연해주 남부 크로우노프카문화의 연구현황 / N. A. 클류예프. -- 한반도의 중도식 토기문화와 크로우노프카문화의 비교 : 옥저문화와 한반도의 상호교류에 대한 실증적 비교연구 / A. L. 수보티나
비통제주제어옥저문화,크로우노프카문화,고고학
분류기호951.9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09795 951.9 고고학 강 3층 자료실 서가번호 366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 = 9

동아시아 고고학ㆍ고대사 연구 속에서 옥저문화의 위치 - 옥저ㆍ읍루 문화권의 제기를 중심으로 / 강인욱

 Ⅰ. 머리말 - 문제의 제기 = 19

 Ⅱ. 옥저와 읍루의 고고학적 비정에 대한 검토 = 21

  1. 기존 연구의 검토 = 21

  2. 옥저의 고고학적 문화에 대한 방법론적 검토 = 21

 Ⅲ. 옥저-읍루의 문화권역 설...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 = 9

동아시아 고고학ㆍ고대사 연구 속에서 옥저문화의 위치 - 옥저ㆍ읍루 문화권의 제기를 중심으로 / 강인욱

 Ⅰ. 머리말 - 문제의 제기 = 19

 Ⅱ. 옥저와 읍루의 고고학적 비정에 대한 검토 = 21

  1. 기존 연구의 검토 = 21

  2. 옥저의 고고학적 문화에 대한 방법론적 검토 = 21

 Ⅲ. 옥저-읍루의 문화권역 설정 = 31

  1. 크로우노프카(옥저) 문화권 = 31

  2. 폴체 문화권 = 40

 Ⅳ. 역사기록과 두 문화권의 비교 = 60

  1. 문헌기록과 비교 = 60

  2. 토기로 보는 두 문화권역의 비교 = 63

  3. 두 문화권의 확산과 발전 = 65

 Ⅴ. 맺음말 = 73

동북한과 중국 연변지구의 초기 철기시대 문화단결 - 크로우노프카문화의 계통적 성격 / 김재윤

 Ⅰ. 머리말 = 85

 Ⅱ. 동북한ㆍ중국 연변ㆍ러시아 연해주의 단결문화 = 89

  1. 단결문화 성립 이전 = 89

  2. 단결문화 - 크로우노프카문화 = 98

 Ⅲ. 자료의 분석 = 105

  1. 토기 = 108

  2. 주거지 = 116

 Ⅳ. 단결 - 크로우노프카문화의 계통적 성격 = 124

  1. 기원과 형성 = 124

  2. 확산 = 128

 Ⅴ. 맺음말 = 132

러시아 연해주 남부 크로우노프카문화의 연구현황 / N. A. 클류예프

 Ⅰ. 머리말 = 145

  1. 크로우노프카문화의 연구사 = 145

  2. 크로우노프카문화 유적 연구현황 = 148

 Ⅱ. 크로우노프카문화의 특징 = 149

  1. 분포범위와 유적 입지의 특징 = 149

  2. 유적의 형태 - 마을유적을 중심으로 = 150

  3. 크로우노프카문화의 특징 = 154

  4. 주요 생계경제 = 161

  5. 문화의 계보 = 166

 Ⅲ. 크로우노프카문화의 편년과 지역성 = 167

  1. 기존 연구 성과 = 167

  2. 새로운 지역 유형 - 아누치노 유형의 설정 = 172

 Ⅳ. 맺음말을 대신하여 = 183

한반도의 중도식 토기문화와 크로우노프카문화의 비교 - 옥저문화와 한반도의 상호교류에 대한 실증적 비교연구 /  A. L. 수보티나

 Ⅰ. 머리말 = 205

 Ⅱ. 중도식 토기문화의 자료 분석 = 208

  1. 주거지 = 208

  2. 토기 = 214

 Ⅲ. 중도식 토기문화의 크로우노프카문화의 생계경제 = 234

  1. 한반도 경질무문토기문화 유적의 입지조건 = 234

  2. 한반도 생계경제와 관련된 유구 및 생물학적 자료 = 236

  3. 크로우노프카문화의 생계경제와 관련된 유구 및 생물학적 자료 = 240 

 Ⅳ. 중도식 토기문화의 크로우노프카문화의 상호교류 = 242

  1. 편년 = 242

  2. 상호교류 = 245

 Ⅴ. 맺음말 = 250

Abstract = 283

찾아보기 = 285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