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 = 9
동아시아 고고학ㆍ고대사 연구 속에서 옥저문화의 위치 - 옥저ㆍ읍루 문화권의 제기를 중심으로 / 강인욱
Ⅰ. 머리말 - 문제의 제기 = 19
Ⅱ. 옥저와 읍루의 고고학적 비정에 대한 검토 = 21
1. 기존 연구의 검토 = 21
2. 옥저의 고고학적 문화에 대한 방법론적 검토 = 21
Ⅲ. 옥저-읍루의 문화권역 설...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 = 9
동아시아 고고학ㆍ고대사 연구 속에서 옥저문화의 위치 - 옥저ㆍ읍루 문화권의 제기를 중심으로 / 강인욱
Ⅰ. 머리말 - 문제의 제기 = 19
Ⅱ. 옥저와 읍루의 고고학적 비정에 대한 검토 = 21
1. 기존 연구의 검토 = 21
2. 옥저의 고고학적 문화에 대한 방법론적 검토 = 21
Ⅲ. 옥저-읍루의 문화권역 설정 = 31
1. 크로우노프카(옥저) 문화권 = 31
2. 폴체 문화권 = 40
Ⅳ. 역사기록과 두 문화권의 비교 = 60
1. 문헌기록과 비교 = 60
2. 토기로 보는 두 문화권역의 비교 = 63
3. 두 문화권의 확산과 발전 = 65
Ⅴ. 맺음말 = 73
동북한과 중국 연변지구의 초기 철기시대 문화단결 - 크로우노프카문화의 계통적 성격 / 김재윤
Ⅰ. 머리말 = 85
Ⅱ. 동북한ㆍ중국 연변ㆍ러시아 연해주의 단결문화 = 89
1. 단결문화 성립 이전 = 89
2. 단결문화 - 크로우노프카문화 = 98
Ⅲ. 자료의 분석 = 105
1. 토기 = 108
2. 주거지 = 116
Ⅳ. 단결 - 크로우노프카문화의 계통적 성격 = 124
1. 기원과 형성 = 124
2. 확산 = 128
Ⅴ. 맺음말 = 132
러시아 연해주 남부 크로우노프카문화의 연구현황 / N. A. 클류예프
Ⅰ. 머리말 = 145
1. 크로우노프카문화의 연구사 = 145
2. 크로우노프카문화 유적 연구현황 = 148
Ⅱ. 크로우노프카문화의 특징 = 149
1. 분포범위와 유적 입지의 특징 = 149
2. 유적의 형태 - 마을유적을 중심으로 = 150
3. 크로우노프카문화의 특징 = 154
4. 주요 생계경제 = 161
5. 문화의 계보 = 166
Ⅲ. 크로우노프카문화의 편년과 지역성 = 167
1. 기존 연구 성과 = 167
2. 새로운 지역 유형 - 아누치노 유형의 설정 = 172
Ⅳ. 맺음말을 대신하여 = 183
한반도의 중도식 토기문화와 크로우노프카문화의 비교 - 옥저문화와 한반도의 상호교류에 대한 실증적 비교연구 / A. L. 수보티나
Ⅰ. 머리말 = 205
Ⅱ. 중도식 토기문화의 자료 분석 = 208
1. 주거지 = 208
2. 토기 = 214
Ⅲ. 중도식 토기문화의 크로우노프카문화의 생계경제 = 234
1. 한반도 경질무문토기문화 유적의 입지조건 = 234
2. 한반도 생계경제와 관련된 유구 및 생물학적 자료 = 236
3. 크로우노프카문화의 생계경제와 관련된 유구 및 생물학적 자료 = 240
Ⅳ. 중도식 토기문화의 크로우노프카문화의 상호교류 = 242
1. 편년 = 242
2. 상호교류 = 245
Ⅴ. 맺음말 = 250
Abstract = 283
찾아보기 = 28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