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인사말에 대신하여 = 4
1 이 기쁨, 함께 할 이 그 누굴까
시비를 노래함(시비음 是非吟) / 허후 = 16
소 타고 가는 시골노인(야수기우 野수騎牛) / 곽여 = 18
하는 일 없이(무위 無爲) / 이언적 = 20
누구에게 전할까(절구 絶句) / 최충 = 22
부질없구나(잡흥 雜興) / 최유청 = 24
대나무 그림(죽석축 竹石軸) / 이방응 = 2...
목차 전체
목차
인사말에 대신하여 = 4
1 이 기쁨, 함께 할 이 그 누굴까
시비를 노래함(시비음 是非吟) / 허후 = 16
소 타고 가는 시골노인(야수기우 野수騎牛) / 곽여 = 18
하는 일 없이(무위 無爲) / 이언적 = 20
누구에게 전할까(절구 絶句) / 최충 = 22
부질없구나(잡흥 雜興) / 최유청 = 24
대나무 그림(죽석축 竹石軸) / 이방응 = 26
적천사를 지나며(과적천사 過적川寺) / 신유한 = 28
그윽이 사는 즐거움(잡시 雜詩) / 도잠 = 30
맘 내키는 대로(술지 述志) / 길재 = 32
아침에 한 잔 술 마시니(효도잠체시 效陶潛體詩) / 백거이 = 34
2 흐르는 물 향기를 품었네
그대에게(증운강 贈雲江) / 이옥봉 = 40
송강의 묘소를 지나며(과송광묘유감 過松江墓有感) / 권필 = 42
영월군 누각에서(영월군누작 寧越郡樓作) / 단종 = 44
그대에게 이 슬픔 알게 하리라(배소만처상 配所輓妻喪) / 김정희 = 46
님 그리는 마음(규정 閨情) / 이단 = 48
가을 밤 빗소리를 들으며(추야우중 秋夜雨中) / 최치원 = 50
황학루(황학루 黃鶴樓) / 최호 = 52
봄날은 가고(춘망사 春望詞) / 설도 = 54
3. 그대, 보지 못하시나
기와 굽는 사람(도자 陶者) / 매요신 = 60
창고 안의 쥐(관창서 官倉鼠) / 조업 = 62
가난 속의 우정을 노래함(빈교행 貧交行) / 두보 = 64
친구에게 술 권하며(작주여배적 酌酒與裴迪) / 왕유 = 66
백이ㆍ숙제를 생각하며(백이숙제 伯夷叔齊) / 성삼문 = 68
벼랑 끝에 핀 난초(제현애난도 題懸崖蘭圖) / 종연 = 70
내 어리석음 스스로 아노니(아우아자지가 我愚我自知歌) / 김창숙 = 72
홍류동에서(홍류동희제 紅流洞戱題) / 이건창 = 74
4 열흘 붉은 꽃 없거니와
열흘 붉은 꽃 없거니와(무십일화 無十日花) / 이황 = 80
달 밝은 밤에 매화를 노래함(도산월야영매 陶山月夜詠梅) / 이황 = 82
매화를 그리며(제화매 題畵梅) / 이방응 = 84
봄밤에 내리는 비를 기뻐하며(춘야희우 春夜喜雨) / 두보 = 86
꽃을 보고서(간화음 看花吟) / 박상현 = 88
패랭이꽃(석죽화 石竹花) / 정습명 = 90
이 봄날에(춘망 春望) / 두보 = 92
신응사에서 글을 읽다가(독서신응사 讀書神凝寺) / 조식 = 94
경포대에 올라서(등경포대 登鏡浦臺) / 박수량 = 96
5 개인 듯 하더니만 다시 비오고
산에 살며(산거 山居) / 이인로 = 102
대나무 그림에 부쳐(제화죽 題畵竹) / 대희 = 104
개인 듯 하더니만 다시 비 오고(사청사우 乍晴乍雨) / 김시습 = 106
비가 그쳤네(희청 喜晴) / 범성대 = 108
구름(운 雲) / 곽진 = 110
가야산 독서당에 부쳐(제가야산독서당 題伽倻山讀書堂) / 최치원 = 112
길가다 비를 피하며(도중피우유감 途中避雨有感) / 이곡 = 114
벼슬길에 오르니(부경 赴京) / 송시열 = 116
이 더위에(고열제항적사선실 苦熱題恒寂師禪室) / 백거이 = 118
6 저기, 구름 이는 곳 사람 사는 집 있네
김거사 시골집을 찾아서(방김거사야거 訪金居士野居) / 정도전 = 124
가을 꽃(추화 秋花) / 사신행 = 126
가을 정취(추흥팔경화책 秋興八景畵冊) / 동기창 = 128
화석정(화석정 花石亭) / 이이 = 130
가을에(추사 秋思) / 장적 = 132
산길을 걸으며(산행 山行) / 두목 = 134
국화 그림(묵국 墨菊) / 문징명 = 136
녹채(녹채 鹿砦) / 왕유 = 138
꽃잎 둥둥 떠오네(즉사 卽事) / 조운흘 = 140
7 한 평생 뜻한 일도 저러하리니
산다는 것, 무엇일까(화자유민지회구 和子由뗏池懷舊) / 소식 = 146
눈 오는 밤 홀로 앉아(설야독좌 雪夜獨坐) / 김수항 = 148
보름달(망월 望月) / 송익필 = 150
흰머리 삼천 장(추포가 秋浦歌) / 이백 = 152
여산폭포를 바라보며(망여산폭포 望廬山瀑布) / 이백 = 154
꿈 속에 사네(몽중유 夢中遊) / 학명 = 156
또 한해를 보내며(제석감음 除夕感吟) / 강정일당 = 15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