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한국의 노동, 어떻게 할 것인가?

남성일 [외] 공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한국의 노동, 어떻게 할 것인가? / 남성일 [외] 공저
개인저자남성일南盛日
김영문金永文
김재구金載久
김재훈金哉勳
박기성朴基性
박덕제朴德濟
박호환朴浩煥
배진한裵震漢
이정일李禎一
정재훈鄭在勳
발행사항서울 : 서강대학교 출판부, 2007
형태사항387 p. : 삽화 ; 24 cm
ISBN9788972731207
일반주기공지은이: 김영문, 김재구, 김재훈, 박기성, 박덕제, 박호환, 배진한, 이정일, 정재훈
서지주기각 장마다 참고문헌 수록
서지적 각주 수록
비통제주제어노동,노동문제,노동시장,노동관계,노동법
분류기호331.0951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16172 331.0951 한국의 남v1 c2 4층 자료실 서가번호 437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4

제1장 서론: 노동환경 변화와 도전 / 남성일 = 15

 1. ?의 제기

 2. 연구의 구성 및 내용

제1부 노동시장 이슈와 제도 개혁 

 제2장 인력의 원활한 수급과 생산성 향상 / 박덕제 = 31

  1. 머리말

  2. 인력의 수급과 자질의 현황

  3. 문제의 배경과 원인

  4. 원활한 인력 수급과 생산성 향상...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4

제1장 서론: 노동환경 변화와 도전 / 남성일 = 15

 1. ?의 제기

 2. 연구의 구성 및 내용

제1부 노동시장 이슈와 제도 개혁 

 제2장 인력의 원활한 수급과 생산성 향상 / 박덕제 = 31

  1. 머리말

  2. 인력의 수급과 자질의 현황

  3. 문제의 배경과 원인

  4. 원활한 인력 수급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정책방안

  5. 결론

 제3장 노동시장 유연성 평가와 개선방향 / 배진한 = 67

  1. 문제의 제기

  2. 지식정보화, 개방화, 그리고 서비스화 경제의 유연성 강화 필요성과 노동시장 갈등 유발적 측면

  3. 우리나라 노동시장 유연성에 관한 몇 가지 논의

  4. 노동시장 유연성에 관하여 밝혀진 몇 가지 사실들

  5. 노동시장 유연성과 일자리 창출을 위한 청책방향

  6. 결론

 제4장 비정규 근로자의 증가와 정책 제언 / 박기성 = 103

  1. 비정규 근로자의 증가

  2. 정규-비정규 근로자의 임금격차

  3. 비정규 근로자일 확률

  4. ‘비정규직보호법’의 효과

  5. 정책 제언

제2부 노동법 체계의 선진화 

 제5장 노동법 체계의 선진화 방안 / 김영문 = 137

  1. 노동법 체계의 선진화 필요성

  2. 노동법 선진화 목표의 충돌과 순위 결정

  3. 노동시장 질서로서 개별적 노사관계법의 재구성

  4. 집단적 노사관계법의 개선

 제6장 노동3권과 경영권의 합리적 조화 방안 / 김재훈 = 187

  1. 서론

  2. 경영권의 개념 및 내용

  3. 노동3권과 경영권간 관련 문제들

 제7장 사회적 비용 최소화를 위한 법ㆍ제도 개선 방안 / 이정일 = 219

  1. 문제 제기

  2. 우리나라 노사관계 현주소

  3. 사회적 비용 최소화를 위한 관련 법제 개선방안

  4. 개선된 법 ㅈ도의 조기 정착을 위한 의식과 관행 개선방안

제3부 새로운 노동관계를 위하여 

 제8장 노동조합의 새로운 역할 정립 / 정재훈 = 251

  1. 문제의 제기 ─ 노사관계의 변화 필요성

  2. 세계 노사관계의 흐름

  3. 한국 노사관계에 대한 진단과 노동조합 활동에 대한 전망

  4. 노동조합의 새로운 역할과 그를 위한 정책적 제언

 제9장 노사관계 영역 밖의 고용관계 - 無노조기업, 불완전 단체교섭, 의존형자영인 체제의 고용관계 / 박호환 = 287

  1. 노동조합의 기능에 대한 비판

  2. 고몰입 HRM 고용관계

  3. 새로운 고용형태의 출현과 고용관계

  4. 결론

 제10장 선진 초우량 기업의 협력적 노사관계 사례 / 김재구 = 325

  1. 들어가는 말

  2. 선진기업의 협력적 노사관계 우수 사례

  3. 선진기업의 특성과 인적자원관리 및 노사관계 유형

  4. 기업의 협력적 노사관계 구축을 위한 과제

 제11장 결론: 노동 관련 법ㆍ제도의 개혁 / 남성일 = 365

  1. 개혁의 기본 원칙과 방향

  2. 개별적 근로관계

  3. 집단적 노사관계

  4. 정책 개선

NPL 연구진 약력 = 385




이전 다음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