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ⅴ
제1장 과학과 인문학 = 1
1. 과학과 인문학: 서양의 역사를 통해 나타난 상호 침투 = 5
2. 인문학자들의 반과학적 태도의 유형과 그 평가 = 12
3. 윌슨의 『통섭』에 나타난 과학과 인문학의 융합 = 16
4. 전통과 현대 한국 사회에서의 과학과 인문학 = 23
맺는말: 과학과 인문학의 바람직한 만남을 위해서 = 29...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ⅴ
제1장 과학과 인문학 = 1
1. 과학과 인문학: 서양의 역사를 통해 나타난 상호 침투 = 5
2. 인문학자들의 반과학적 태도의 유형과 그 평가 = 12
3. 윌슨의 『통섭』에 나타난 과학과 인문학의 융합 = 16
4. 전통과 현대 한국 사회에서의 과학과 인문학 = 23
맺는말: 과학과 인문학의 바람직한 만남을 위해서 = 29
제2장 과학과 예술 = 35
1. 과학과 예술의 차이점을 강조하는 관점들 = 39
2. 과학과 예술의 양립 불가능성에 대한 비판 = 43
3. '아름다움'의 추구: 과학과 미술의 경우 = 54
4. 과학과 예술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볼 것인가 = 59
맺는말: 창의성과 상상력 = 67
제3장 과학과 건축 = 69
1. 16-18세기 과학과 건축 - 과학의 상징, 상징으로서의 과학 = 71
2. 18-19세기에 새롭게 등장한 과학의 공간 - 박물관과 실험실 = 74
3. 20세기의 실험실에서 볼 수 있는 과학 - 건축의 상호 작용 = 82
4. 지식 융합 시대의 과학과 건축 = 88
맺는말: 과학의 공간과 과학 문화 = 94
제4장 과학과 언어 = 97
1. 말과 사물 - 르네상스에서 과학혁명까지 = 100
2. '자연 언어'와 '보편 언어'에의 관심 = 106
3. 윌킨스의 『실자와 철학적 언어에 대한 수상』 = 112
4. 언어에 주목한 최근 과학기술학 연구들 = 119
맺는말: 과학 언어와 과학 문화 = 123
제5장 과학과 젠더 = 127
1. 역사 속의 과학과 여성 = 130
2. 성차를 강조한 과학에서 성별화된 과학으로 = 137
3. 성별화된 과학 언어와 은유 = 143
4. 페미니스트 과학이란 존재하는가 = 148
맺는말: 가능하고도 장기적인 대안을 위하여 = 154
제6장 과학과 법 = 157
1. 과학혁명기 동안 과학과 법의 관계 = 161
2. 전문가 증인으로서의 과학자 = 168
3. 무엇이 법정에서 받아들여지는 '과학적' 증거인가 = 178
맺는말: 과학기술학의 연구 주제로서 과학과 법 = 185
제7장 과학과 인권 = 189
1. 과학과 인권의 관계에 대한 역사적인 인식 = 193
2. 과학과 인간의 재정의: 의학, 생명공학과 인권 = 199
3. 과학기술이 바꾸는 사회: 정보기술과 인권 = 205
4. 과학기술이 바꾸는 자연환경: 에너지 기술과 인권 = 215
맺는말: 과학 커뮤니케이터의 역할 = 219
제8장 과학과 과학(박물)관 = 223
1. 과학박물관과 사이언스 센터의 기원과 발달 = 225
2. 과학박물관과 사이언스 센터의 최근 변화 동향 = 231
3. 제3세대 과학(박물)관과 사이언스 센터의 사례들 = 235
4. 한국 과학관의 기원과 현황 = 243
맺는말: 바람직한 과학 대중화 공간으로서의 과학(박물)관 = 249
제9장 과학의 경제 = 253
1. 과학과 기술 = 258
2. 과학과 언론에 나타난 대중 과학 = 265
3. 과학과 신과학 - 과학과 '사이비과학'의 경계 = 275
맺는말: 과학의 다양한 경계들 = 283
참고문헌 = 287
찾아보기
인명 = 317
주제어 = 321
Abstract = 32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