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5
1866년의 병인양요에 대한 중국 청정부의 대응 = 17
1. 들어가는 말 = 17
2. 조선왕조의 對西洋 鎖國政策과 중국 청정부의 입장 = 18
3. 청정부의 불간섭정책과 병인양요의 勃發 = 23
4. 병인양요 및 청정부의 대응 = 32
5. 맺는 말 = 47
1871년의 辛未洋擾와 중국 淸政府의 對應 연구 = 51
1. 들어가는 말 ...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5
1866년의 병인양요에 대한 중국 청정부의 대응 = 17
1. 들어가는 말 = 17
2. 조선왕조의 對西洋 鎖國政策과 중국 청정부의 입장 = 18
3. 청정부의 불간섭정책과 병인양요의 勃發 = 23
4. 병인양요 및 청정부의 대응 = 32
5. 맺는 말 = 47
1871년의 辛未洋擾와 중국 淸政府의 對應 연구 = 51
1. 들어가는 말 = 51
2. 제너럴 셔먼호 사건 이후 中美朝 3국의 외교교섭 = 53
3. 辛美洋擾 기간의 中美 교섭 = 60
4. 辛美洋擾 기간의 中朝 교섭 = 69
5. 맺는 말 = 75
한중관계의 근대적 전환과정에서 나타난 비밀 외교채널 - 李鴻章 - 李裕元의 住復書信을 중심으로 = 79
1. 들어가는 말 = 79
2. 李裕元의 使淸과 두가지 使命 = 80
3. 李鴻章 - 李裕元의 住復書信에 대한 구체적 내용 검토 = 93
4. 맺는 말 = 106
김옥균 암살사건과 청정부의 관계에 대하여 = 109
1. 들어가는 말 = 109
2. 청정부가 본 갑신정변 이전의 김옥균 = 110
3. 갑신정변 기간의 청정부와 김옥균 = 118
4. 망명 중의 김옥균과 청정부 = 138
5. 김옥균 암살사건과 청정부 = 162
6. 맺는 말 = 181
김옥균과 중국 - 大中國認識을 中心으로 = 185
1. 들어가는 말 = 185
2. 甲申政變 이전의 대중국인식과 관계 = 186
3. 갑신정변 기간의 對중국관계 = 204
4. 망명기간의 대중국인식 = 222
5. 맺는 말 = 234
근대조선의 아시아협력 구상에 관한 역사적 고찰 - 김옥균의 三和主義 사상을 중심으로 = 239
1. 들어가는 말 = 239
2. 김옥균 三和主義 사상의 형성과정 = 242
3. 김옥균 三和主義 사상의 확립과 좌절 = 248
4. 맺는 말 = 254
『吳淸卿獻策論』을 통해 본 청정부의 對朝鮮 간섭정책 = 259
1. 들어가는 말 = 259
2. 吳大徵의 생애 = 260
3. 吳大徵의 派韓 및 주요활동 = 263
4. 『吳淸卿獻策論』의 내용 및 사료적 가치 = 282
5. 맺는 말 = 291
藏書閣 소장문서를 통해 본 19세기 말 조선왕조의 대중국외교 = 295
1. 들어가는 말 = 295
2. 『北洋衙門談艸』의 기본내용 및 관련사실 = 297
3. 『北洋大臣衙門筆談』의 기본내용 및 관련사실 = 304
4. 나가는 말 = 308
'兩截體制'와 19세기 말 조선왕조의 대중국외교 - 초대 川津駐箚督理通商事務 南廷哲의 활동을 중심으로 = 311
1. 들어가는 말 = 311
2. 천진주차독리통상사무아문의 설립 및 기본제도 = 314
3. 역대 천진주차독리통상사무 및 기타 임직원 = 320
4. 초대 천진주차독리통상사무 남정철의 주요활동 = 323
5. 맺는 말 = 331
러일전쟁과 중한관계의 변천(1904∼1905) = 335
1. 들어가는 말 = 335
2. 직접 침략을 받은 두 '중립국' = 336
3. 러일전쟁 기간의 중한 양국관계 = 346
4. 맺는 말 : 포츠머드 강화조약과 중한관계의 변천 = 355
한중 상호이해의 어제와 오늘 = 361
1. 들어가는 말 = 361
2. 19세기 말의 『조선책략』 파문 = 364
3. 20세기 초 『조선』을 둘러싼 논쟁 = 372
4. 21세기초 고구려사 논쟁으로 본 한ㆍ중 두 나라 상호 이해의 현실 = 380
5. 바람직한 상호인식과 미래 관계를 정립하기 위한 계기 = 385
근대이래 中韓 양국의 상호인식 - 黃炎培의 『朝鮮』과 李始榮의 『感時漫語』를 중심으로 - 389
1. 들어가는 말 = 389
2. 黃炎培의 『朝鮮』을 통해 본 근대중국의 한국인식 = 390
3. 李始榮이 지적한 근대중국의 한국인식 문제점 = 399
4. 결론을 대신하여 : 상호인식과 상호이해의 중요성 = 407
중국학계의 근대 중한관계사 연구현황에 대하여 = 411
1. 서론 = 411
2. 1945년 이전의 연구상황 = 414
3. 1945년 이후의 연구상황 = 421
4. 결론을 대신하여 = 430
중국학자가 살펴본 조선왕조 대중국인식의 변화과정 - 陳尙勝 외, 『朝鮮王朝(1392∼1910)對華觀的演變 : 「朝天錄」和「燕行錄」初探』을 읽고서 = 435
찾아보기 = 447
수록논문의 원 출전 = 46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