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11
제1부 15~16세기
1. 니콜로 마키아벨리 - 서양 근대 정치사상의 탄생 / 강정인 = 27
1. 서양 근대 정치사상의 쌍생아 -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 27
2. 마키아벨리와 마키아벨리즘 = 29
3. 현실 정치에서 추방되었을 때 불후의 고전이 탄생한다? = 30
4. 근대의 태동과 중앙집권적 군주국가의 출현 = 3...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11
제1부 15~16세기
1. 니콜로 마키아벨리 - 서양 근대 정치사상의 탄생 / 강정인 = 27
1. 서양 근대 정치사상의 쌍생아 - 이상주의와 현실주의 = 27
2. 마키아벨리와 마키아벨리즘 = 29
3. 현실 정치에서 추방되었을 때 불후의 고전이 탄생한다? = 30
4. 근대의 태동과 중앙집권적 군주국가의 출현 = 35
5. 마키아벨리 사상에서 《군주론》과 《로마사 논고》의 관계 = 38
6. 현실주의 정치사상 = 40
7. 마키아벨리의 정치 형이상학 = 49
8. 비르투, 부패 그리고 운명 = 52
9. 마키아벨리의 최후 = 60
2. 토머스 모어 - 유토피아와 정치 현실 / 이화용 = 67
1. 16세기 영국과 모어의 삶 = 67
2. 《유토피아》 = 71
3. 정치, 양심, 죽음 = 83
4. 시대를 넘어선 모어의 사상 = 87
3. 마르틴 루터 - 종교개혁자의 정치사상 / 장문강 = 93
1. 문제의 제기 = 93
2. 루터의 종교개혁과 정치사상 = 103
3. 루터 정치사상의 그리스도교적 기초 = 115
4. 정치의 독립과 한계 = 127
5. 그리스도인과 정치 = 140
6. 루터 정치사상의 현대적 의의 = 149
4. 장 칼뱅 - 기독교화된 사회를 향하여 / 박의경 = 164
1. 칼뱅의 정치사상과 제네바 = 164
2. 신학자 칼뱅 = 167
3. 사회 개혁가 칼뱅의 정치사상 = 174
4. 칼뱅과 경제사상 - 자본주의 논쟁 = 180
5. 사회에 대한 개혁과 혁명의 메시지 = 186
제2부 17세기
5. 토머스 홉스 - 동의에 의한 절대주의 / 김병곤 = 195
1. 홉스와 정치학의 전환 = 195
2. 영국 내전과 왕당파의 정치사상 = 198
3. 아리스토텔레스의 극복과 신과학 = 204
4. '아나키'에서 '리바이어던'으로 = 210
5. 홉스의 정치사상에서 종교의 문제 = 216
6. 근대 정치학의 재탄생 = 222
6. 베네딕트 데 스피노자 - 신학을 통해 자유를 옹호한 이단적 계몽주의자 / 김용민 = 227
1. 고독한 철학적 이방인 스피노자의 삶과 작품 = 227
2. 스피노자 계몽사상의 이단성과 그 배경 = 230
3.《윤리학》에 나타난 도덕기하학 - 신에 대한 지적 사랑을 통한 자유에로의 길 = 238
4. 새로운 계몽의 탄생 = 259
7. 존 로크 - 자유주의의 사상적 토대 / 문지영 = 266
1. '자유'와 '자유주의' = 266
2. 로크의 생애와 저술 = 270
3. 로크에게서 자유의 의미 = 274
4. 자유로운 개인과 국가 = 278
5. 로크 사상의 양면성 = 290
6. 로크 자유주의 현대적 의의 = 296
8. 몽테스키외 - 삼권 분립과 법치주의의 완성자 / 김용민 = 304
1. 몽테스키외, 《법의 정신》을 쓰기까지 = 304
2. 법의 정신이 추구해야 할 지향점으로서의 자유 = 307
3. 공화정, 군주정, 전제정과 그 작동원리로서의 덕성, 명예, 공포 = 312
4. 영국 정치 체제에 나타난 제한정부의 이념 - 권력 분립과 견제와 균형 = 318
5. 근대 자유주의적 민주주의의 이론적 기초자 몽테스키외 = 322
제3부 18세기
9. 데이비드 흄 - 습관의 철학과 전통의 정치 / 박동천 = 333
1. 서양 지성의 역사에서 흄이 차지하는 위상 = 333
2. 생애와 저술 = 337
3. 감각 경험에 기초한 인식론 = 345
4. 성정과 공감에 기초한 윤리학 = 354
5. 전통과 관습의 정치학 = 359
6. 맺는말 = 367
10. 장 자크 루소 - 자연의 창조적 회복을 주장한 문명 비판론자 / 김용민 = 373
1. 움직이는 타깃, 루소의 사상 = 373
2. 생애의 중요한 순간들 = 375
3. '하나의 전체'를 이루는 네 작품-《에밀》, 《사회계약론》, 《인간 불평등 기원론》, 《학문예술론》 = 379
4. 시대의 이방인 루소 = 404
11. 이마누엘 칸트 - '계몽의 계몽'과 비판적 근대 정치 기획 / 황태연 = 411
1. 칸트의 생애와 현재성 = 411
2. '합리성' 이념과 '방법'의 문제 = 416
3. 칸트의 계몽 이념 = 425
4. 칸트의 시민 정치론과 반전론 = 436
5. 세계 시민 이념, 그리고 영구평화와 국제 연합의 기획 = 444
6. 세계 시민 사회의 출현과 칸트 = 462
12. 에드먼드 버크 - 근대 보수주의의 원조 / 강정인 = 474
1. 보수주의의 원조로서의 버크 = 474
2. 정치가, 버크 = 475
3.《프랑스 혁명에 관한 성찰》 = 478
4. 버크의 보수주의 정치철학 = 481
5. 버크의 보수주의 정치철학과 한국 정치의 '보수' = 500
13. 페더럴리스트 - 미국 헌법과 새로운 정치학의 탄생 / 김용민 = 507
1.《연방주의자 논설》과 합리적 정치의 이상 = 507
2.《연방주의자 논설》의 구성과 주요 주제 = 510
3. 연방주의자의 인간 본성론과 공회주의론 = 512
4. 권력 분립론과 새로운 정치학의 등장 = 519
5. 합리적 정치의 실현을 위한 미국의 역사적 실험 = 528
제4부 19세기
14. G. W. F. 헤겔 - 민족 국가의 정치철학 / 황태연 = 535
1. 헤겔의 생애와 헤겔주의 약사 = 535
2. 헤겔의 이중적 국가 개념 - '외적 국가'와 '정치적 국가' = 542
3. '민족정신'과 '근대 국가'의 모순적 절충 = 562
4. 민족 국가들의 군국주의적 각개 약진으로서의 국제 정치와 세계사 = 571
5. 미네르바의 올빼미와 새날을 밝히는 암탉 = 586
15. F. P. G. 기조 - 민주주의에 반하는 자유주의 / 홍태영 = 596
1. 망각에서 부각으로 = 596
2. 생애와 배경 = 599
3. '이성의 주권론'과 대의제 = 602
4. 공개성의 원칙과 언론의 자유 = 608
5. 사회적 조직자로서의 국가 = 611
6. 반(反)개인주의적 자유주의? = 615
7. '대의제' 민주주의 = 617
8. 제3공화국에서의 기조의 계기 = 619
9. 20세기 말 기조의 계기 = 622
16.알렉시스 드 토크빌 - 자유민주주의의 결함과 그 보완의 모색 / 강정인 = 630
1. 토크빌의 생애와 《미국의 민주주의》 = 630
2. 민주주의가 제기하는 문제들 = 634
3. 민주주의 문제점의 극복 방안 = 653
4. 토크빌 사상의 현대적 의의 = 662
17. J. S. 밀 - 자유주의자인가, 사회주의자인가? / 이종은 = 670
1. 왜 밀인가? = 670
2. 지주, 부르주아 그리고 프롤레타리아트의 대립 = 671
3. 처방을 위한 지적인 탐색 = 677
4. 자유, 평등, 진보 그리고 진리의 추구 = 681
5. 정충인가, 진지함인가? = 707
18. 카를 마르크스 - 노동자 계급 혁명론과 그 유산 / 황태연 = 713
1. 마르크스의 생애와 연구 역정 = 713
2. 마르크스의 유물론적 방법과 국가론 = 718
3. 노동 철학, 착취 이론, 계급 혁명론의 궤적과 잔해 = 726
4. 잔해 속의 유산 - '자유로운 개성'과 '연대'의 이념 = 746
19. 프리드리히 니체 - 니힐리즘, 문화, 권력에의 의지 / 김용찬 = 753
1. 니체 철학의 정치사상적 의미 = 753
2. 니체와 니힐리즘 = 755
3. 니체의 니힐리즘 분석 = 759
4. 니체의 "권력에의 의지" = 772
5. 니체 철학의 정치적 의미와 한계 = 782
찾아보기 - 용어ㆍ서명 = 790
찾아보기 - 인명 = 79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