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부 다문화교육의 기초와 중요성
제1장 다문화학교: 개념, 필요성, 방법 = 21
다문화교육이란 무엇인가 = 23
제1영역: 평등교수법 = 25
제2영역: 교육과정 개혁 = 27
제3영역: 다문화적 역량 = 29
제4영역: 사회정의를 지향하는 가르침 = 31
다문화교육에 대한 비판 = 31
갈등과 ...
목차 전체
목차
제1부 다문화교육의 기초와 중요성
제1장 다문화학교: 개념, 필요성, 방법 = 21
다문화교육이란 무엇인가 = 23
제1영역: 평등교수법 = 25
제2영역: 교육과정 개혁 = 27
제3영역: 다문화적 역량 = 29
제4영역: 사회정의를 지향하는 가르침 = 31
다문화교육에 대한 비판 = 31
갈등과 불화의 가능성 = 32
자유주의적 편견과 문화상대주의 = 32
문화에 대한 피상적 이해 = 33
소수민족의 기만 = 33
당신의 생각은 어떠한가 = 34
다문화교육의 핵심적 가치 = 34
다문화교육이 필수불가결한 이유 = 37
교육적 수월성과 평등에 대한 요구 = 37
다민족사회의 존재 = 41
상호 연계된 세계의 존재 = 42
평등과 민주주의의 가치 = 43
다문화학교의 조건 = 45
재분리가 아닌 통합 = 45
교사의 긍정적인 기대 = 49
인종 간의 긍정적 접촉을 지지하는 학습환경 = 52
다문화 교육과정 = 62
결론 = 66
비교 및 대조하기 = 68
질문 및 활동과제 = 68
제2장 문화의 본질과 다문화교육 = 77
문화란 무엇인가 = 79
세계관의 중요성 = 81
고맥락문화와 저맥락문화 = 86
문화와 인종의 차이점 = 91
민족집단은 무슨 의미인가 = 94
민족집단 내부의 다양성 = 94
언제 민족집단이 소수집단이 되는가 = 95
문화적 동화와 문화다원주의 = 96
교실을 위한 지침: 민족성에 대한 관점 = 99
언어적 커뮤니케이션 = 101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 105
적응형태 = 107
사회적 가치 = 109
지적형태 = 111
결론 = 113
비교 및 대조하기 = 114
질문 및 활동과제 = 114
제3장 인종관계와 편견의 본질 = 121
편견과 인종차별주의의 만연 = 122
편견의 본질 = 127
인종차별주의의 본질 = 130
개인적, 제도적, 문화적 인종차별주의 구분 = 131
민족정체성에 대한 이론 = 139
'깜둥이에서 흑인으로 변화하는 경험' = 140
Banks의 민족정체성 발달유형 = 142
백인의 인종정체성 발달 = 144
고정관념의 성격과 다문화교육 = 146
고정관념 피하기 = 151
아프리카: 인종차별주의와 교육과정 개혁의 필요성 = 153
일반적 오해 = 153
아프리카에 대한 오해의 결과 = 158
결론 = 160
비교 및 대조하기 = 162
질문 = 162
활동과제 = 163
제2부 미국 내 문화적 다양성의 기원: 동화주의와 다원주의의 갈등
제4장 유럽, 유대 그리고 아프리카계 미국인들 = 173
미국 내 문화적 다양성의 기원: 개관 = 174
앵글로 유럽계 미국인 = 176
다양성의 기원 = 176
미국 사회의 민족다원주의 = 181
잉글랜드인, 아일랜드인 및 이탈리아인 = 183
유대계 미국인 = 189
기원: 공동체와 다양성의 기원 = 189
정통, 보수 및 개혁 유대교 = 192
반유대주의에 대한 적응 = 194
아프리카계 미국인 = 198
세 단계의 역사 = 198
동화된 사람은 누구인가 = 210
결론 = 212
비교 및 대조하기 = 213
질문 = 213
활동과제 = 213
제5장 미국의 아메리카 원주민, 라틴인, 아시아인, 무슬림, 아랍인 = 221
아메리카 원주민 = 222
원류: 아메리카 원주민 사회 내에 존재하는 다양성의 뿌리 = 223
갈등, 적응 및 대량학살의 경험 = 226
라틴인 = 231
원류: 다양성의 뿌리와 지역사회 = 232
적응과 식민주의의 유산 = 235
아시아계 미국인 = 242
원류: 다양성의 뿌리와 지역사회 = 243
편견 및 차별에의 적응 = 247
미국의 무슬림 = 253
지역사회와 다양성: 이민과 토착민의 원류 = 254
종교조직 = 255
미국의 아프리카계 무슬림 = 258
무슬림 관련 사항 = 262
아랍계 미국인 = 263
1차 집단이주: 기독교인 중심 = 264
2차 집단이주: 무슬림 중심 = 265
아랍계 미국인의 기원 = 266
이미지와 문제 = 267
결론 = 270
비교 및 대조하기 = 271
질문 = 272
활동과제 = 273
제3부 교수-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차와 사회적 불평등
제6장 학습 스타일: 문화와 개인의 상호작용 = 285
학습 스타일의 개관 = 286
학습 스타일이란 무엇인가 = 287
왜 학습 스타일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가 = 288
학습 스타일을 발견하는 네 가지 전략 = 291
장 독립적-의존적 = 291
구조화에 대한 학생의 요구 = 298
지각의 양식 = 303
학습 스타일 측정도구 = 306
문화와 학습 스타일의 관계 = 309
학습 스타일과 교수 스타일 = 315
결론 = 317
비교 및 대조하기 = 318
질문 = 318
활동과제 = 319
제7장 학습자 이해: 성, 계급, 민족, 특수 욕구에 대한 시각 = 327
국가성적표 = 328
이 성적표는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는가 = 329
모든 학습자에 대한 고려 = 335
성차에 대한 시각 = 339
남성성과 여성성의 개념 = 341
학급에서의 성차 = 343
학교 내에서의 성(gender)과 성(sexuality) 이슈 = 345
계급과 인종 차이에 대한 시각 = 348
미국에서의 빈곤: 사실은 무엇인가 = 349
저소득 지역 학교에 대해 우리는 무엇을 알고 있는가 = 351
학업 성취에서의 계급과 또래 상호작용 = 354
특수교육: 인종, 문화, 계급과 성의 동시성 = 358
특수교육과 포용적 학급에 대한 약속 = 358
특수교육에서의 인종 불평등 = 359
특수교육 체계 내에서의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문화적 충돌 = 362
포용적인 학교와 학급에서 모든 학습자에게 다가서기 = 366
결론 = 367
비교 및 대비하기 = 369
질문 = 369
활동과제 = 370
제8장 교수 개념과 전략: 긍정적 학급 분위기의 형성 = 379
존중개념의 재정립 = 380
존중이 없을 때 = 381
문화적으로 적절한 교수의 전망 = 384
문화적으로 적절한 교수의 원칙 = 385
문화적으로 적절한 교수의 사례 = 386
연구와 교수에 관한 재원 = 389
다문화학급의 학생을 위한 차별화 교수 = 391
숙달학습의 기본 틀 = 401
실험학습 = 407
이중언어 교육 = 411
지방어 우세 학생 지도를 위한 교사 안내서 = 420
다중지능이론 = 421
협동학습: 학생 팀 학습 = 424
결론 = 430
비교 및 대조하기 = 431
질문 = 432
활동과제 = 433
제4부 다문화적 관점의 교육과정과 교수방법
제9장 다문화 교육과정 개발: 의사결정모형과 수업계획안 = 445
다문화 교수법 = 446
교육과정 재고 = 449
교육과정 절차의 진전 = 451
공정하고 비판적인 사고의 중요성 = 456
교육과정 모형: 목표, 가정 및 교육내용 = 458
목표 1: 다양한 역사적 관점을 이해하기 = 458
다양한 역사적 관점의 형성 = 466
목표 2: 문화적 의식 = 485
목표 3: 간문화적 역량의 개발 = 514
목표 4: 인종차별주의, 성차별주의, 편견 및 차별과의 투쟁 = 539
목표 5: 지구 및 지구적 역동 상태의 인식 향상 = 563
목표 6: 사회행동 기술의 개발 = 584
결론 = 607
비교 및 대조하기 = 608
질문 = 608
활동과제 = 60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