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편 대상, 범위 및 초점
1장 행정학의 연구대상 / 박종민 = 3
Ⅰ. 서론 = 3
Ⅱ. 학문분과와 연구대상 = 5
Ⅲ. 삼권분립과 개념의 물화 = 7
Ⅳ. 정책연구와 경계의 확장 = 12
Ⅴ. 정부수단의 변화와 경계설정의 혼란 = 17
Ⅵ. 맺음말: 행정학의 중심 개념을 찾아서 = 20
2장 공공부문의 다...
목차 전체
목차
제1편 대상, 범위 및 초점
1장 행정학의 연구대상 / 박종민 = 3
Ⅰ. 서론 = 3
Ⅱ. 학문분과와 연구대상 = 5
Ⅲ. 삼권분립과 개념의 물화 = 7
Ⅳ. 정책연구와 경계의 확장 = 12
Ⅴ. 정부수단의 변화와 경계설정의 혼란 = 17
Ⅵ. 맺음말: 행정학의 중심 개념을 찾아서 = 20
2장 공공부문의 다양화와 새로운 연구 영역 / 정무권 ; 한상일 = 27
Ⅰ. 문제의 제기 = 27
Ⅱ. 공공부문의 다양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 = 29
Ⅲ. 공공부문의 다양화의 한국적 특성 = 42
Ⅳ. 결론 = 58
3장 발전국가론 다시보기 / 양재진 = 63
Ⅰ. 서론 = 63
Ⅱ. 한국행정의 '발전국가적' 특수성 = 65
Ⅲ. 발전국가적 특수성의 지속과 단절 = 67
Ⅳ. 맺음말 = 80
4장 집행부중심에서 입법부중심 행정으로 / 김근세 = 85
Ⅰ. 서론 = 85
Ⅱ. 공공행정의 맥락과 접근법 = 86
Ⅲ. 정부관료제의 주인은 누구인가? = 95
Ⅳ. 입법부중심 행정의 제도적 성장과 가능성 = 100
Ⅴ. 결론 = 111
제2편 규범적 접근
5장 행정에 관한 규범적 연구 / 임의영 = 119
Ⅰ. 서론 = 119
Ⅱ. 미국행정학의 '두 문화' = 120
Ⅲ. 한국행정학의 문화 = 125
Ⅳ. 규범적 연구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 130
Ⅴ. 규범적 연구의 가능성 모색 = 133
Ⅵ. 맺음말 = 142
6장 정책과 사회정의 및 규범이론 / 김희강 = 147
Ⅰ. 서론: 정책연구의 현시점 = 147
Ⅱ. 효율성과 사회적 형평성: 의의와 한계 = 149
Ⅲ. 사회정의와 규범이론 = 153
Ⅳ. 맺음말 = 161
제3편 이론, 개념 및 맥락
7장 행정학의 위기와 조직연구 / 김호정 = 167
Ⅰ. 서론 = 167
Ⅱ. 한국행정학 위기 = 168
Ⅲ. 한국조직학 연구의 반성 = 178
Ⅳ. 한국조직학 연구의 과제 = 187
Ⅴ. 맺음말 = 189
8장 행위론적 접근 / 임도빈 = 193
Ⅰ. 행정학연구의 적실성 결여 = 194
Ⅱ. 행정학연구의 겉돌기 = 195
Ⅲ. 겉돌기의 원인 = 200
Ⅳ. 행위론 = 206
Ⅴ. 한국행정 행위론 연구의 시도 = 215
Ⅵ. 맺음말 = 218
9장 역사적 제도주의의 적용과 극복 / 장지호 = 224
Ⅰ. 들어가면서 = 224
Ⅱ. 역사적 제도주의의 출현과 도입 = 226
Ⅲ. 제도, 아이디어, 담론 = 228
Ⅳ. 경로의존과 시차적 변화의 문제 = 236
Ⅴ. 나오면서 = 243
10장 행정학의 체계: 공공선택론의 관점 / 안도경 = 253
Ⅰ. 한국행정학과 공공선택론 = 254
Ⅱ. 공공선택론과 거버넌스 = 258
Ⅲ. 공공선택론과 정책 = 264
Ⅳ. 공공선택론과 조직 = 267
Ⅴ. 맺음말 = 273
11장 집합행동의 딜레마: 참여의 진화적 관점 / 이경원 = 280
Ⅰ. 문제의 제기 = 280
Ⅱ. 호모 에코노미쿠스, 호모 레시프로칸스, 제도 = 284
Ⅲ. 집단선택의 문화적 특성: '우리성' = 296
Ⅳ. 참여의 딜레마: 진화적 관점의 모색 = 304
Ⅴ. 맺음말 = 306
제4편 방법론
12장 행태모형과 정책연구 / 이혁주 = 317
Ⅰ. 서론 = 317
Ⅱ. 행태적 접근법과 공학적 접근법의 비교 = 318
Ⅲ. 행태모형과 공학모형의 연구방법론적 비교 = 321
Ⅳ. 최적 주행세율 결정문제: 질문 1 = 328
Ⅴ. 도시 내 활동분포에 대한 설명과 이론의 구성: 질문 2 = 333
Ⅵ. 반통념적 실험결과와 이론화 사례 = 337
Ⅶ. 맺음말 = 340
13장 실증적 사례연구방법: 분석, 평가 및 제언 / 김승현 = 343
Ⅰ. 서론 = 343
Ⅱ. 방법론적 논쟁 = 346
Ⅲ. 사례연구방법의 특징 = 350
Ⅳ. 연구내용과 방법 = 355
Ⅴ. 분석결과와 해석 = 357
Ⅵ. 결론 및 제언 = 366
14장 인문학적 성찰과 행정학 방법론 / 윤견수 = 373
Ⅰ. 글을 시작하며 = 373
Ⅱ. 행정학 위기의 내용 = 374
Ⅲ. 위기 담론의 본질: 거리두기 = 378
Ⅳ. 거리 좁히기와 인문학적 사유 = 384
Ⅴ. 맺음말 = 392
15장 임상과학으로서의 행정학 / 구교준 = 397
Ⅰ. 행정학의 정체성 위기 = 397
Ⅱ. 임상과학의 정의 = 398
Ⅲ. 행정학의 임상성 = 401
Ⅳ. 행정학의 임상성 강화를 위한 접근 = 403
Ⅴ. 결론 = 40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