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3
2. 연구의 방법 = 4
1) 북한 공간 문헌 탐구 = 4
2) 탈북자 면담을 통한 분석 = 5
3) 각종 2차 자료의 탐구 = 5
Ⅰ장 북한의 국가, 공장, 노동자 : "역사와 구조" = 7
1. 사회주의 국가의 공장관리체제 : 개념과 구조 = 8
2. 공장관리체제의 전개 : 소련ㆍ북한의 유일관...
목차 전체
목차
서론 = 1
1. 연구의 목적 = 3
2. 연구의 방법 = 4
1) 북한 공간 문헌 탐구 = 4
2) 탈북자 면담을 통한 분석 = 5
3) 각종 2차 자료의 탐구 = 5
Ⅰ장 북한의 국가, 공장, 노동자 : "역사와 구조" = 7
1. 사회주의 국가의 공장관리체제 : 개념과 구조 = 8
2. 공장관리체제의 전개 : 소련ㆍ북한의 유일관리제 = 13
1) 소련에서의 유일관리제의 전개 = 14
2) 북한의 초기 유일관리제 = 17
3. 절정기 스탈린주의적 공장관리체제의 형성과 보편화 = 19
1) 소련에서의 절정기 스탈린주의적 유일관리제의 성립 = 20
2) 북한의 절정기 스탈린주의적 유일관리제의 수용과정 = 22
4. 대안의 사업체계 = 29
5. 연합기업소 체제 = 33
Ⅱ장 고난의 행군과 북한의 공장 = 37
1. '고난의 행군'과 북한 경제 = 37
2. 김정일 시대의 국가와 공장 = 42
3. '공장'에 대한 국가 통제의 재시도 = 47
4. 공장 통제를 위한 이데올로기 : '봉화' 정신 = 51
Ⅲ장 북한의 '공장 도시'와 공장 연구 = 55
1. 신의주 공장도시의 지리사회학적 구조 = 57
1) 신의주 공업지구의 지리적 환경 = 58
2) 신의주 지역의 사회 문화적 특성 = 60
2. 신의주 공장의 '공간 배치' = 62
1) 신의주 공장의 '공간의 정치' : 공장 배치의 특징 = 63
2) 중공업 공장 기업소 현황 = 64
3) 경공업 공장 기업소 현황 = 68
4) 신의주시내 일반군수 공장 및 군수 직장 = 81
5) 1990년대 신의주 공장의 가동 상황 = 82
3. 공장 관리체계와 "공장 정치" = 85
1) 신의주 공장의 관리체계 = 85
2) 신의주 공장과 지역ㆍ지역당 조직 = 90
3) 신의주 공장의 '공장 정치' : 공장내 권력관계 = 91
4. 생산 및 노동과정과 '생산의 정치' = 94
1) 생산계획 및 생산 양상 = 94
2) 신의주 공장의 노동자 배치와 이직 = 98
3) 노동규율과 생산동원 그리고 순응과 일탈 = 100
5. 자재공급과 유통 실태 = 103
1) 자재공급체계의 현실과 공장의 자재조달 실태 = 104
2) 생산품의 유통 및 분배, 매매 현상 = 107
3) 군수(軍需)ㆍ민수(民需) 생산 메커니즘 = 109
Ⅳ장 개성 공단과 공장 및 노동 = 113
1. 공단 및 공장 관리 체계 = 114
2. 노무 관리 및 임금 체계 = 116
1) 노무 관리 규정 = 116
2) 임금 및 복지 = 118
3. 공장 내 노동관리 및 노동 실태 = 120
1) 공장내 노동관리 체계 = 121
2) 노무 관리의 실태 = 122
3) 노동 과정의 실태 = 124
4) 임금 및 복지 실태 = 126
Ⅴ장 결론과 정책 함의 = 131
1. 현시기 북한의 공장 가동 실태 = 132
2. 정책 함의와 과제 = 135
〈첨부 자료 1〉 = 141
〈첨부 자료 2〉 = 143
참고문헌 = 145
1. 북한 문헌 = 145
2. 한국 문헌 = 146
3. 일본어권 문헌 = 148
4. 영어권 문헌 = 148
5. 인터넷 자료 = 150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