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서론 = 1
제2장 한국의 저출산 현황 및 출산관련 이론 = 6
제1절 한국의 저출산 현황과 원인 = 6
제2절 출산에 관한 제이론들 = 13
1. 인구학적 접근 = 13
2. 경제학적 접근 = 17
3. 사회학적 접근 = 22
제3장 여성노동시장의 특성과 출산의 관계 = 31
제1절 한국의 여성노동시장 특성 = 32
제2절 ...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서론 = 1
제2장 한국의 저출산 현황 및 출산관련 이론 = 6
제1절 한국의 저출산 현황과 원인 = 6
제2절 출산에 관한 제이론들 = 13
1. 인구학적 접근 = 13
2. 경제학적 접근 = 17
3. 사회학적 접근 = 22
제3장 여성노동시장의 특성과 출산의 관계 = 31
제1절 한국의 여성노동시장 특성 = 32
제2절 여성의 고용조건과 출산의 관계 = 38
제4장 연구방법 = 42
제1절 심층면접자료 = 43
제2절 통계분석자료 = 47
1. 자료 및 구성 = 47
2. 자료의 처리 = 47
3. 분석방법 = 48
제5장 여성노동자의 출산기피요인 - 심층면접 결과 = 51
제1절 경제적 부담과 양육 부담 - 교육비, 주거비, 보육비 및 양육 부담 = 52
1. 교육비 문제와 출산 = 52
2. 주거비 문제와 출산 = 54
3. 보육 문제와 출산 = 56
4. 양육과 가사노동의 사회적 부담 = 61
제2절 여성노동자의 고용조건과 출산 = 68
1. 고용불안과 출산 = 68
2. 근로환경과 작업내용의 문제 = 70
3. 모성보호정책이 적용되지 못하는 현실 = 75
4. 육아와 병행하기 어려운 노동과정 = 80
5. 노동시장에서 취약한 여성의 지위 = 84
제6장 여성의 고용조건과 출산 1 - 출산실태의 차이분석 = 89
제1절 기혼여성의 주요특성별 출산실태 = 90
제2절 여성노동자의 고용조건과 출산실태 = 102
1. 인구사회학적 요인별 출산실태의 차이 = 103
2. 여성노동자의 고용조건별 출산실태의 차이 = 108
제7장 여성의 고용조건과 출산 2 - 일반화를 위한 검증 = 141
제1절 기혼여성의 인구사회학적/경제적 요인과 출산 = 142
제2절 여성노동자의 고용조건과 출산 = 148
제8장 결론 및 정책 제언 = 159
제1절 결론 = 159
제2절 정책 제언 = 163
1. 여성의 고용불안정 해소 = 163
2. 여성 및 가족친화적 기업환경 = 168
3. 양육 부담을 줄이는 사회적 지원 = 174
참고문헌 = 177
부록 = 186
1. 전체가구의 기초분석자료(소득, 재산, 교육비, 주거비) = 186
2. 출산가구의 기초분석자료(소득, 재산, 교육비, 주거비) = 19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