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머리에 = 6
서론: 산업에 서 도시로의 전환 = 9
제1부 선진 산업도시의 혁신
1장 지역 혁신과 산업도시의 재구조화 : 미국 피츠버그
1. 머리말 = 17
2. 분석 틀 : 구조와 행위 = 19
3. 산업구조의 변화 = 25
4. 지역 혁신의 두 전략 : 성장과 보존 = 28
5. 지역 혁신의 전개 : 민관 협력 = 30
6. 지역 혁...
목차 전체
책머리에 = 6
서론: 산업에 서 도시로의 전환 = 9
제1부 선진 산업도시의 혁신
1장 지역 혁신과 산업도시의 재구조화 : 미국 피츠버그
1. 머리말 = 17
2. 분석 틀 : 구조와 행위 = 19
3. 산업구조의 변화 = 25
4. 지역 혁신의 두 전략 : 성장과 보존 = 28
5. 지역 혁신의 전개 : 민관 협력 = 30
6. 지역 혁신의 결과 : 성과와 한계 = 37
7. 맺음말 = 41
2장 지역 재구조화와 거버넌스 : 미국 피츠버그와 디트로이트
1. 머리말 = 44
2. 비교 연구의 분석 틀 = 47
3. 산업과 인종, 그리고 정치 공간 = 53
4. 거버넌스와 지역 재구조화 = 59
5. 지역 재구조화의 사회적 결과 = 68
6. 맺음말 = 70
3장 자동차 도시의 생산방식과 거버넌스 혁신 : 독일 슈투트가르트와 이탈리아 토리노
1. 머리말 = 73
2. 수직적 통합에서 수직적 분산으로의 생산방식 변동과 거버넌스 = 74
3. 슈투트가르트와 토리노의 사례 비교 : 자동차산업을 중심으로 = 82
4. 맺음말 : 두 사례의 비교 종합 = 112
제2부 산업도시의 재구조화
4장 네 도시 이야기 : 대구·부산·인천·울산의 지역 재구조화
1. 머리말 = 117
2. 지역 재구조화의 유형 = 119
3. 지역 재구조화의 비교 분석 = 125
4. 맺음말 = 143
5장 지역 발전 모델의 모색 : 울산 오토밸리
1. 머리말 = 147
2. 울산 지역 경제와 오토밸리 사업 = 153
3. 지역 거버넌스의 현황 = 159
4. 전환의 계기 = 169
5. 새로운 지역 발전의 모델 = 173
6. 맺음말 = 180
6장 자동차 부품 업체의 연구개발 입지 변화 : ‘지리적 근접성’의 명제는 타당한가?
1. 머리말 = 183
2. 완성차 업체의 제품개발 과정과 울산 지역 = 191
3. 부품 업체의 연구개발 입지 변화 = 195
4. 울산 지역산업정책의 전개 = 205
5. 맺음말 = 211
제3부 지역 거버넌스와 사회적 합의
7장 울산·부산 지역 거버넌스의 비교
1. 머리말 = 217
2. 분석 틀 = 220
3. 참여정부의 지역 발전 정책 = 225
4. 부산 지역 거버넌스 = 228
5. 울산 지역 거버넌스 = 237
6. 비교 = 244
7. 맺음말 = 245
8장 ‘사회적 합의’ 모델의 가능성 탐색 : 울산 건설플랜트 파업 사례
1. 머리말 = 249
2. ‘사회적 합의’ 모델과 사회자본 = 253
3. 건설플랜트산업과 울산 = 255
4. 노사 갈등 1 : 2005년 사회적 합의의 성립 = 257
5. 노사 갈등 2: 2006년 개별 교섭을 통한 단체협약 = 262
6. 사회적 합의와 단체교섭 = 264
7. 맺음말 = 267
9장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역공동체 : 현대자동차 사례
1. 머리말 = 273
2. 기업의 사회적 책임 : 이상과 현실 = 276
3. 현대자동차의 사회적 책임 = 285
4. 맺음말 = 295
결론 = 296
참고문헌 = 305
찾아보기 = 31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