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_21세기에 다시 쓴 간행사= 5
책머리에_삼중 어려움의 좌절과 극복·하영선= 7
변화하는 세계와 개념사 / 하영선= 21
근대한국의 문명 개념 도입사 / 하영선= 36
1. 근대한국의 문명 개념 도입= 37
2. 전통과 근대의 복합화= 43
3. 문명 개념의 동아시아 전파= 56
4. 유럽 문명 개념의 등장= 61
5....
목차 전체
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_21세기에 다시 쓴 간행사= 5
책머리에_삼중 어려움의 좌절과 극복·하영선= 7
변화하는 세계와 개념사 / 하영선= 21
근대한국의 문명 개념 도입사 / 하영선= 36
1. 근대한국의 문명 개념 도입= 37
2. 전통과 근대의 복합화= 43
3. 문명 개념의 동아시아 전파= 56
4. 유럽 문명 개념의 등장= 61
5. 조선 문명화의 좌절= 64
서구 권력의 도입 / 최정운= 66
1. 서론= 66
2. 부국강병론과 도입의 컨텍스트= 69
3. 한말의 서구식 권력의 도입시도= 80
4. 식민지시대의 권력사상= 104
5. 맺음말= 117
근대한국의 주권 개념 / 신욱희= 125
1. 서론= 125
2. 개념의 도입과 사용= 127
(1)『만국공법』과 개화파들의 용례= 127
(2)강화도조약에서 대한제국까지= 131
(3)국권 개념과의 비교= 135
3. 관념의 수용과 변용= 137
(1)김윤식: 저항의 한계= 138
(2)유길준: 구성의 좌절= 139
(3)윤치호: 순응의 결과= 144
. 결론과 현대적 의미= 147
근대한국의 부국강병 개념 / 김영호= 149
1. 서론= 149
2. 부국강병에 대한 조선의 전통적인 인식= 151
3. 구한말 조선의 부국강병 개념에 대한 인식의 전환= 156
4. 결론= 171
근대한국의 세력균형 개념 / 장인성= 173
1. 머리말: 세력균형과 개념= 173
2. 세력균형 개념의 수용: '균세'= 177
(1)'균세'개념의 수용= 177
(2)균세와 세력균형= 182
3. '균세'의 장소성= 188
(1)'전국'과 '합종연횡'= 188
(2)규범과 권력의 사이= 191
4. 세력균형 개념의 변용: '정립'= 195
(1)'중립': 외재적 세력균형= 195
(2)'정립': 내재적 세력균형= 198
5. 맺음말: 세력균형의 형해화 그리고 부활= 204
근대한국의 평화 개념 도입사 / 하영선= 207
1. 머리말= 207
2. 해방론의 평화= 210
3. 만국공법의 평화= 214
4. 양정체제론의 평화= 222
5. 자강균세론의 평화= 225
6. 동양평화론과 한국= 240
7. 맺음말= 248
근대한국의 국민/인종/민족 개념 / 강동국= 249
1. 머리말= 249
2. 국민 개념의 연속성과 애매성: 조선후기~1904= 251
3. 인종 개념의 전파와 정착: 1895~1904= 261
4. 민족의 등장: 1905~1909= 267
5. 국민의 강화: 1905~1909= 278
6. 민족의 승리: 1910~1919= 285
7. 맺음말= 287
근대한국의 민주주의 개념 : 『독립신문』을 중심으로 / 김용직= 289
1. 서론= 289
2. 전기 개화기 한국의 민주주의 전파= 292
(1)전기 개화기 한국의 민주주의 전파= 292
(2) 민주주의 개념의 초기 전파= 294
1)『한성순보』= 296
2)갑신정변과 김옥균= 297
(3)유길준의 『서유견문』= 298
3. 후기 개화기의 한국의 민주주의 수용, 1890년대= 302
(1)서재필의 『독립신문』= 302
1)서재필의 민권론= 302
2)경장개혁론= 305
3)민주주의론= 306
(2)윤치호와 민권운동= 310
1)윤치호와 독립협회= 310
2)<독립신문>의 민주주의 수용= 311
3)의회개설운동= 312
4. 결론= 316
근대한국의 경제 개념 / 손열= 320
1. 언어, 개념, 번역= 320
2. 서양의 경제= 322
3. 일본의 경제= 325
4. 한국/조선의 경제= 333
5. 전파의 정치= 342
근대한국의 '개인' 개념 수용 / 김석근= 345
1. 한국개념사= 345
2. 근대와 'Individual'(개인)의 탄생= 347
3. Individual 번역어로서의 '개인'= 349
4. 개화기 '개인'개념의 수용= 351
5. 개념과 현실 사이= 360
대한제국의 '영웅' 개념 / 이헌미= 362
1. 들어가며= 362
2. 영웅 개념의 수용경로= 364
3. 식민 전야의 정치언어= 372
4. 영웅과 시세: 사회진화론과의 관계= 375
(1)일본= 377
(2)청= 380
(3)대한제국= 384
5. 유명영웅과 무명영웅: 내셔널리즘의 스펙트럼= 390
(1)일본= 392
(2)청= 396
(3)대한제국= 398
6. 맺음말= 401
찾아보기= 40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