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 머리에
서론
1장 전통·세계·추제
2장 1920년대 전통양식 계승의 방향:예비적 고찰
1.'자기'로의 복귀 또는 시조 형식의 발견
2.노래의 국민,국민의 노래
3.시조의 혁신 또는 심정과 율격의 결합
4.주체 탄생의 상처를 봉합하는 전통
3장 근대의 '종언'과 과거로의 전회
1.'전환기'의 의식과 근대성의 가치전도
2.과거로의 ...
목차 전체
책 머리에
서론
1장 전통·세계·추제
2장 1920년대 전통양식 계승의 방향:예비적 고찰
1.'자기'로의 복귀 또는 시조 형식의 발견
2.노래의 국민,국민의 노래
3.시조의 혁신 또는 심정과 율격의 결합
4.주체 탄생의 상처를 봉합하는 전통
3장 근대의 '종언'과 과거로의 전회
1.'전환기'의 의식과 근대성의 가치전도
2.과거로의 전회와 '특수성'의 발견
4장 전통주의의 과저 재전유
1.'자연=과거=조선적인 것'의 세계
2.전통주의의 시간의식
3.전통주의와 심미주의
5장 새로운 질서로서의 동양적 세계
1.부정적 계기로서의 전통
2.'세계사의 철학'과 비동시성의 동시성
3.'절대적 보편'과 부재의식
6장 전통과 '탈근대'의 주체 구성 방식
1.전통주의와 심미주의적 주체
2.'동양적인 것'과 절대적 주체
결론
참고문헌
후주
찾아보기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