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공동육아, 그 모색과 실천 / 이부미 = 5
교육은 삶과 분리될 수 없다 = 5
살아 숨 쉬는 교육 과정 = 6
이 책의 구성 = 12
생활에서 배운다
생태 나들이로 자연을 만나는 아이들 / 이말순 = 19
자연에서 잘 노는 나들이 = 20
자연을 만나는 생태 나들이 = 22
나들이의 의미 = 25
오감 여행을 떠나다 = ...
목차 전체
목차
서문: 공동육아, 그 모색과 실천 / 이부미 = 5
교육은 삶과 분리될 수 없다 = 5
살아 숨 쉬는 교육 과정 = 6
이 책의 구성 = 12
생활에서 배운다
생태 나들이로 자연을 만나는 아이들 / 이말순 = 19
자연에서 잘 노는 나들이 = 20
자연을 만나는 생태 나들이 = 22
나들이의 의미 = 25
오감 여행을 떠나다 = 27
오감 여행을 다녀와서 하는 활동 = 32
생명체와 관계 맺기 = 37
텃밭 가꾸기와 벼농사 = 39
나들이로 지역 사회 알기 = 46
맺음말 = 51
이야기를 들으며 자라는 아이들 / 조봉호 = 53
이야기 장난감 = 54
사라져 가는 이야기 문화 = 56
이야기 문화의 중요성 = 59
생활 속에서 이야기 문화 만들어 가기 = 61
아이들에게 어떤 이야기가 중요한가 = 64
생활 속에 살아 움직이는 이야기 = 78
옛이야기의 창작과 변형 = 85
옛이야기를 교육 활동으로 확장하기 = 93
앞으로의 과제 = 94
먹을거리로 교육하자 / 김기나 = 102
먹을거리는 문화를 바꾸는 것 = 102
먹을거리와 세시 절기 = 104
먹을거리를 통해 본 농사(텃밭)의 의미 = 104
부모가 참여하는 급식 문화 = 108
공동육아의 급식 문화 = 110
공동육아에는 영양교사가 있다 = 119
먹을거리를 통해 변화하는 사람들 = 124
지역 사회와 더불어
마을에서 살아나는 세시 풍속 / 박현숙 = 131
공동육아 내부 움직임 = 132
현장 실천의 성과 = 134
농촌 마을과 공동육아 어린이집의 만남 = 136
마을 사람들과 함께한 세시 활동, 일손 돕기 = 141
마을 사람들과 함께한 대보름 잔치 = 142
단오 잔치 = 148
동지 지내기 = 153
마을 의례에 참여한 구성원들의 반응 = 155
농촌 마을 의례의 특성 = 160
성과와 앞으로의 과제 = 162
공동육아 섬에서 마을 주민으로 / 이경란 = 168
아이와 함께 성장하는 부모와 교사 = 170
마을에서 세계를 배운다 = 174
마을 만들기 = 180
참여와 자치 = 184
지역 사회와 결합하는 공동육아 = 186
절망 속에서 피어나는 희망 / 김미아 = 188
실험 야학에서 지역공동체학교까지 = 189
꿈을 먹고 자라는 학교 = 195
지역공동체학교 네트워크 = 199
빈곤 아동의 현실 = 202
아이들에게 날개를 달아 주다 = 203
부모의 삶을 함께 고민하다 = 205
지역 사회와 더불어 = 207
지역공동체학교의 원리 = 209
지역공동체학교에서 일궈 낸 희망 = 211
맺는말 = 213
특별한 도움이 필요한 아이들
공동육아 장애아 통합교육 / 송경선 ; 최윤희 = 217
통합교육이란 = 217
공동육아 통합교육의 역사와 현황 = 219
공동육아 교육 과정 속에서 통합교육 = 223
공동육아 통합교육의 실제 = 234
성과 = 246
향후 과제와 전망 = 254
온별이의 개별화 교육 / 최윤희 = 257
가족들의 이야기 = 257
어린이집 생활에 대한 평가 = 259
온별이의 개별화 교육 목표 = 267
가족의 희망과 계획 = 272
내일을 기대하며 / 임현진 = 273
까다로운 우리 아이, 철수 = 273
긴 터널을 빠져 나오며 = 275
이제 나는 희망을 본다 = 276
따뜻한 사랑으로 성장하는 우리 아이 / 강민영 = 278
이해할 수 없는 우리 아이, 영현이 = 278
세상 속에서 사람들과 어울리며 살기 위해 = 280
나는 혼자가 아니야 = 282
아이가 자라는 만큼 엄마도 함께 자랐다 = 283
참여 보육과 생태적 성장
생태적 성장, 보육 담론의 새 지평 / 양옥승 = 287
한국 사회의 변화와 육아 환경 = 288
보살핌과 가르침이 결합된 보육 = 290
생태 중심의 자연 친화 교육 = 293
보육에 대한 다문화 접근 = 294
전통 놀이 문화와 공동체 교육 = 296
남북한 통일과 평화 교육 = 297
유아/교사/가족/지역 사회가 함께 성장하는 보육 = 300
맺음말 = 305
참여적 학습과 보육 공동체 / 이기범 = 308
평생 학습과 보육 = 308
공동육아의 학습 공동체 = 311
공동육아의 통합적 학습 = 314
공동육아의 참여적 학습 = 319
맺음말 = 325
함께 크는 삶의 시작, 공동육아 / 정병호 = 329
공동육아의 의미 = 330
함께하는 사람들 = 334
더불어 사는 삶과 배움 = 341
공동육아의 활용 = 346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