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책머리에 = 5
여는 글 공동육아와의 만남 = 13
바위 어린이집과의 만남 = 17
무엇을 어떻게 볼 것인가 = 19
페다고지스타 = 23
심층 면담 = 26
기록물 및 문서 분석 = 27
공동육아의 작은 역사 = 31
내용 있는 의식화 교육 : 야간 학교 교과서 만들기 = 32
제도 교육을 우회하는 대안 교육의 통...
목차 전체
목차
책머리에 = 5
여는 글 공동육아와의 만남 = 13
바위 어린이집과의 만남 = 17
무엇을 어떻게 볼 것인가 = 19
페다고지스타 = 23
심층 면담 = 26
기록물 및 문서 분석 = 27
공동육아의 작은 역사 = 31
내용 있는 의식화 교육 : 야간 학교 교과서 만들기 = 32
제도 교육을 우회하는 대안 교육의 통로 만들기 : 해송 보육 학교 = 33
없는 집 아이들의 준비터 : 난곡 해송 유아원 = 36
아기들의 삶의 터전 : 창신동 해송 아기둥지 = 38
함께 자라는 열린 아이 = 40
공동육아연구회와 협동 조합 = 40
공동육아연구원 = 42
조합 협의회 = 43
교사 협의회 = 44
바위 어린이 집 = 47
한뼘이라도 밭을 일굴 수 있다면 = 47
호기심과 자발적으로 움직임의 자연스런 시간 흐름 = 53
교육 프로그램 = 57
부모, 교사, 어린이 = 64
별명과 반말 문화 = 73
별명의 상징성 = 74
또 하나의 이름 = 74
똑같은 이름 = 78
반말의 평등성 = 82
반말에 적응하는 과정 = 82
반말의 진지함과 자유로움 = 86
말의 형식으로부터 자유로워지기 = 90
나들이 가는 아이들 = 97
나들이의 형태 = 98
일상적인 나들이 = 98
특별한 나들이 = 102
나들이의 교육 과정 = 104
발산적 체험 = 104
침묵의 과정 = 112
시인이 된 아이들 = 115
세상 구경 = 118
사회적 규범과의 갈등 = 123
두 세계의 아이들 = 128
나들이의 교육적 의미 = 132
아침에 나들이를 하는 이유 = 133
삽질을 하면서도 정적일 수 있는 아이들 = 135
나들이 교육 과정에 대한 제언 = 141
날적이를 쓴는 부모와 교사 = 143
다양한 형태의 날적이 = 144
보고서 유형 = 144
일기 유형 = 146
공동 날적이 = 149
날적이의 기능 = 154
의사 소통 = 154
성장 일기 = 159
역사책 = 161
아이를 기르고 가르치는 텍스트 = 165
자신을 비추어 보는 거울 = 169
사유의 공간 = 171
현재 삶의 기록은 내일을 여는 길잡이 = 172
부모들의 공동체 의식과 마실 = 179
육아 공동체와 생활 공동체의 갈등 = 180
공간의 중요성 = 183
공동체적 삶의 실천이란 = 187
육아 공동체와 생활 공동체의 결합 = 195
마실의 교육적 의미 = 202
공동육아 문화의 교육적 해석 = 209
공간의 교육적 의미 = 211
시간의 교육적 의미 = 222
관계의 교육적 의미 = 236
공동육아의 오늘과 내일 = 251
중산층의 또다른 과외 유아 교육인가? = 252
공동육아 교육은 과연 바람직한가? = 256
공동육아는 앞으로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가? = 259
주 = 262
참고문헌 = 275
찾아보기 = 28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