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서문 = ⅴ
역자 서문 = ix
1단원 미생물학의 원리
제1장 미생물과 미생물학 = 1
Ⅰ 미생물학 입문 = 2
Ⅱ 미생물학의 주요 발견 전개과정 = 10
제2장 미생물 세계로의 여행 = 25
Ⅰ 미생물의 관찰 = 26
Ⅱ 세포의 구조와 진화학적 역사 = 33
Ⅲ 미생물의 다양성 = 39
제3장 세포내 요소의 화학 = 50
...
목차 전체
목차
서문 = ⅴ
역자 서문 = ix
1단원 미생물학의 원리
제1장 미생물과 미생물학 = 1
Ⅰ 미생물학 입문 = 2
Ⅱ 미생물학의 주요 발견 전개과정 = 10
제2장 미생물 세계로의 여행 = 25
Ⅰ 미생물의 관찰 = 26
Ⅱ 세포의 구조와 진화학적 역사 = 33
Ⅲ 미생물의 다양성 = 39
제3장 세포내 요소의 화학 = 50
Ⅰ 화학결합, 거대분자와 물 = 51
Ⅱ 비정보성 거대분자 = 55
Ⅲ 정보성 거대분자 = 57
제4장 진정세균과 고세균의 세포구조와 기능 = 66
Ⅰ 세포의 모양과 크기 = 67
Ⅱ 세포막과 수송 = 70
Ⅲ 원핵생물의 세포벽 = 78
Ⅳ 다른 세포 표면구조와 함유물 = 86
Ⅴ 미생물의 운동 = 95
제5장 영양, 실험실 배양, 미생물의 물질대사 = 107
Ⅰ 미생물의 영양과 배양 = 108
Ⅱ 에너지론과 효소 = 114
Ⅲ 산화-환원과 고에너지 화합물 = 118
Ⅳ 이화작용의 필수 요소 = 122
Ⅴ 동화작용의 필수 요소 = 133
제6장 미생물 생장 = 141
Ⅰ 세균의 세포분열 = 142
Ⅱ 세균의 집단 생장 = 147
Ⅲ 미생물의 생장 측정 = 153
Ⅳ 온도와 미생물 생장 = 159
Ⅴ 미생물 생장에 미치는 다른 환경요인들 = 165
2단원 미생물의 분자생물학
제7장 분자생물학의 본질 = 175
Ⅰ 유전자와 유전자 발현 = 176
Ⅱ DNA 구조 = 177
Ⅲ DNA 복제 = 182
Ⅳ RNA 합성: 전사 = 189
Ⅴ 단백질 합성 = 194
제8장 고세균과 진핵생물의 분자생물학 = 207
Ⅰ 고세균 분자생물학 = 208
Ⅱ 진핵생물 분자생물학 = 213
제9장 유전자 발현의 조절 = 224
Ⅰ 조절의 개요 = 225
Ⅱ DNA 결합 단백질과 전사 조절 = 225
Ⅲ 감지 및 신호 전달 = 231
Ⅳ 광범위 조절 기작 = 237
Ⅴ 모델 세균의 생장 조절 = 242
Ⅵ RNA에 의한 조절 = 244
제10장 바이러스의 개요 및 바이러스학 = 251
Ⅰ 바이러스의 구조와 생장 = 252
Ⅱ 바이러스의 복제 = 258
Ⅲ 바이러스의 다양성 = 265
Ⅳ 준바이러스성 병원체 = 274
제11장 세균유전학의 원리 = 279
Ⅰ 세균염색체와 플라스미드 = 280
Ⅱ 돌연변이 = 286
Ⅲ 원핵세포에서의 유전자 교환 = 297
제12장 유전공학 = 316
Ⅰ 유전공학의 도구와 기법 = 317
Ⅱ DNA 서열결정, 합성 및 증폭 = 323
Ⅲ 세균 유전자 조작 = 330
Ⅳ 진보된 클로닝 기술 = 334
제13장 미생물 유전체학 = 347
Ⅰ 미생물 유전체 = 348
Ⅱ 유전체의 기능과 조절 = 359
Ⅲ 유전체의 진화 = 363
Ⅳ 환경유전체학 = 368
3단원 미생물의 다양성
제14장 미생물 진화와 계통분류학 = 371
Ⅰ 초기지구, 생명의 기원 및 다양화 = 372
Ⅱ 미생물의 진화 = 381
Ⅲ 미생물 계통분류학 = 389
제15장 세균: 프로테오박테리아 = 402
Ⅰ 세균의 계통 = 403
Ⅱ 광영양, 화학무기영양, 메탄영양 프로테오박테리아 = 404
Ⅲ 호기성과 통성 호기성의 화학유기영양 프로테오박테리아 = 417
Ⅳ 독특한 형태의 프로테오박테리아 = 431
Ⅴ 델타와 엡실론 프로테오박테리아 = 440
제16정 세균: 그람양성과 기타 세균 = 449
Ⅰ 그람양성과 기타 세균의 개요 = 450
Ⅱ 그람양성 세균과 방선균 = 450
Ⅲ 시안세균과 원핵녹조세균 = 467
Ⅳ 클라미디아 = 472
Ⅴ PLANCTOMYCES/PIERELLULA = 474
Ⅵ VERRUCOMICROBIA = 475
Ⅶ FLAVOBACTERIA = 476
Ⅷ CYTOPHAGA군 = 477
Ⅸ 녹색황세균 = 478
Ⅹ 스피로헤타 = 481
XI DEINOCOCCI = 484
XII 녹색비황세균 = 485
XIII 초고온성 세균 = 487
XIV NITROSPIRA와 DEFERRIBACTER = 489
제17장 고세균 = 491
Ⅰ 계통학과 일반적 대사 = 492
Ⅱ EURYARCHAEOTA = 494
Ⅲ CRENARCHAEOTA = 508
Ⅳ 고온에서 진화와 생활 = 515
제18장 진핵세포 생물학 및 진핵 미생물 = 521
Ⅰ 진핵세포의 구조와 기능 = 522
Ⅱ 진핵 미생물의 다양성 = 529
Ⅲ 원생생물 = 531
Ⅳ 진균류 = 540
Ⅴ 단세포 홍조류와 녹조류 = 548
제19장 바이러스의 다양성 = 553
Ⅰ 세균의 바이러스 = 554
Ⅱ 고세균의 바이러스 = 562
Ⅲ 진핵생물의 RNA 바이러스 = 564
Ⅳ 진핵생물의 DNA 바이러스 = 571
Ⅴ 역전사효소를 사용하는 바이러스 = 579
4단원 대사의 다양성과 미생물 생태학
제20장 대사의 다양성: 광영양, 자가영양, 화학무기영양, 질소고정 = 585
Ⅰ 광영양성 = 586
Ⅱ 자가영양 = 597
Ⅲ 화학무기영양 = 602
Ⅳ 질소고정 = 611
제21장 대사의 다양성: 유기물 대사 = 619
Ⅰ 발효 = 620
Ⅱ 혐기적 호흡 = 631
Ⅲ 호기적 화학유기영양 과정 = 648
제22장 미생물 생태학의 방법 = 659
Ⅰ 미생물 군집의 배양 의존성 분석 = 660
Ⅱ 미생물 군집의 비배양 분석 = 666
Ⅲ 자연계에서 미생물 활성의 측정 = 673
제23장 미생물 생태계 = 681
Ⅰ 미생물생태학의 원리 = 682
Ⅱ 미생물 서식지 = 684
Ⅳ 탄소와 산소 순환 = 632
Ⅴ 담수, 토양 및 식물 미생물 생태계 = 688
Ⅵ 해양 미생물 생태계 = 694
제24장 질소 순환, 생물정화, 공생 = 701
Ⅰ 탄소와 산소 순환 = 702
Ⅱ 질소, 황 및 철 순환 = 707
Ⅲ 미생물 정화 = 712
Ⅳ 동물-미생물 공생 = 720
Ⅴ 식물-미생물 공생 = 728
5단원 발효를 위한 미생물의 투입
제25장 산업미생물학 = 740
Ⅰ 산업미생물과 산물 생성 = 741
Ⅱ 보건산업을 위한 생산물 = 745
Ⅲ 식품산업을 위한 생산물 = 756
제26장 생명공학 = 768
Ⅰ 유전공학의 생산물 = 769
Ⅱ 형질전환 생물 = 777
6단원 항미생물체와 병원성
제27장 미생물의 생장억제 = 787
Ⅰ 미생물의 물리적 억제 = 788
Ⅱ 미생물의 화학적 억제 = 794
Ⅲ 생물체 내에 사용되는 항미생물제 = 798
Ⅳ 바이러스와 진핵병원균의 억제 = 807
Ⅴ 항생제 내성 및 신약의 개발 = 810
제28장 미생물과 사람의 상호작용 = 819
Ⅰ 미생물과 사람의 유익한 상호작용 = 820
Ⅱ 미생물과 사람의 해로운 상호작용 = 830
Ⅲ 독성인자들과 독소 = 836
Ⅳ 감염에서의 숙주인자 = 942
7단원 면역학
제29장 면역학의 필수 요소 = 847
Ⅰ 면역계의 개요 = 848
Ⅱ 항원과 항원제시 = 857
Ⅲ T 림프구 = 861
Ⅳ 항체 = 864
제30장 숙주방어와 질환에서의 면역 = 873
Ⅰ 면역 및 숙주방어 = 874
Ⅱ 면역과 감염성 질환의 방지 = 877
Ⅲ 면역반응질환 = 882
제31장 분자면역학 = 889
Ⅰ 수용체와 면역 = 890
Ⅱ 주조직적합성 복합체(MHC) = 894
Ⅲ 항체 = 896
Ⅳ T세포 수용체 = 899
Ⅴ 면역에서의 분자신호 = 901
8단원 전염병의 진단과 경로추적
제32장 진단미생물학 및 면역학 = 909
Ⅰ 생장의존성 진단법 = 910
Ⅱ 면역학 및 임상진단법 = 922
Ⅲ 핵산활용 진단법 = 938
제33장 역학 = 944
Ⅰ 역학의 기본개념 = 945
Ⅱ 최근의 전염병 = 954
Ⅲ 역학과 공중보건 = 957
9단원 미생물의 질병
제34장 사람에서 사람으로 전파되는 미생물 질병 = 974
Ⅰ 공기를 매개로 전파되는 질병 = 975
Ⅱ 직접적인 접촉으로 전파되는 질병 = 992
Ⅲ 성매개 감염증 = 997
제35장 동물매개, 절지동물매개, 토양유래 세균질병 = 1012
Ⅰ 동물매개 질병 = 1013
Ⅱ 절지동물매개 질병 = 1017
Ⅲ 토양유래 질병 = 1029
제36장 폐수처리, 수질정화, 수인성 질병 = 1035
Ⅰ 폐수미생물학과 물의 정화 = 1036
Ⅱ 수인성 미생물 질병 = 1043
제37장 식품보존과 식품관련 미생물 질병 = 1053
Ⅰ 식품보존과 미생물 생장 = 1054
Ⅱ 미생물 표본추출과 식중독 = 1059
Ⅲ 식품 감염 = 1064
부록 1 미생물 생체에너지론에서 에너지 계산 = A-1
부록 2 Bergey's Man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2판 = A-6
영문용어해설 = G-1
한글용어해설 = G-20
사진 귀속 인정 = P-1
영문찾아보기 = I-1
한글찾아보기 = I-1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