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6
제1부 궁중문학과 문화 = 11
1. 궁중문학이란? = 12
2. 조선조 궁중문학의 백미 = 14
1)〈계축일기〉 = 14
2)〈인현왕후전〉 = 21
3)〈한중록〉 = 24
3. 궁중문학의 문예적 가치 = 31
1) 여성의 삶과 문학을 재조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 32
2) 중요한 역사적 사건에서 이면의 진...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6
제1부 궁중문학과 문화 = 11
1. 궁중문학이란? = 12
2. 조선조 궁중문학의 백미 = 14
1)〈계축일기〉 = 14
2)〈인현왕후전〉 = 21
3)〈한중록〉 = 24
3. 궁중문학의 문예적 가치 = 31
1) 여성의 삶과 문학을 재조명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 32
2) 중요한 역사적 사건에서 이면의 진실을 알 수 있게 한다 = 33
3) 조선조 궁중 풍속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된다 = 35
4) 피지배자들의 삶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 = 36
5) 잃어가는 고어를 간직한 보물창고다 = 36
6) 우아하고 다양한 계층의 궁중어를 알 수 있다 = 37
7) 궁중과 관련된 문화사업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 38
제2부 궁중문학의 공간적 배경 = 41
1. 궁궐의 어원 = 42
2. 궁궐의 역사 = 45
1) 조선조 이전의 궁궐 = 45
2) 조선조(1392∼1910년) 궁궐 = 51
3. 조선조 궁궐의 공간구성 = 52
1) 법궁과 이궁 = 52
2) 별궁, 행궁, 사당 = 53
4. 조선시대 궁궐의 공간 배치 = 55
제3부 문학에 투영된 삶의 공간 = 59
1. 조선조의 법궁, 경복궁 = 61
1) 경복궁의 상징 광화문 = 65
2) 궁궐의 핵 근정전 = 66
3) 비극의 장소, 건청궁과 곤녕합 = 69
2. 조선조의 여러 이궁 = 73
1) 역대 왕들의 사랑을 독차지 한 창덕궁 = 73
2) 사도세자의 숨결을 간직한 창경궁 = 83
3) 인목대비의 한이 서린 곳, 덕수궁 = 136
4)〈한중록〉의 주요 배경인 경희궁 = 165
5) 별궁, 영조의 잠저 창의궁 = 185
6) 사도세자의 자취를 간직한 온양행궁 = 189
제4부 죽음의 영원한 안식처 = 199
1. 왕릉, 원, 묘 = 200
1) 저승의 영원한 안식처 왕릉 = 201
2) 왕릉의 구조 = 203
3) 왕릉의 형황 = 206
2. 종묘와 칠궁 = 215
1) 종묘 = 215
2) 칠궁 = 219
3. 문학으로 만나는 조선의 왕릉 = 221
1)〈인현왕후전〉의 주인공들이 잠들어 있는 곳 서오릉 = 221
2) 사도세자의 생모 영빈 이씨의 안식처 수경원 = 228
부록 = 237
역대 조선 왕릉의 위치 = 238
궁중문학에 등장하는 왕들의 가계도 = 240
참고문헌 = 248
찾아보기 = 25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