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책을 펴내며 = 5
서문: 자본주의도시 공간의 미로 속에서 = 11
1부 자본주의 도시 공간의 개념화
1장 자본주의 도시 공간의 개념
현대인에게 공간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 25
도시 공간의 상품화와 파편화된 도시 경관 = 30
노동의 도시와 소외된 생활공간 = 35
잃어버린 공간의 재발견과 자아의 ...
목차 전체
책을 펴내며 = 5
서문: 자본주의도시 공간의 미로 속에서 = 11
1부 자본주의 도시 공간의 개념화
1장 자본주의 도시 공간의 개념
현대인에게 공간은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 25
도시 공간의 상품화와 파편화된 도시 경관 = 30
노동의 도시와 소외된 생활공간 = 35
잃어버린 공간의 재발견과 자아의 지도 그리기 = 40
유토피아 공간의 변증법 = 45
2장 자본주의 도시 공간의 발달
근대적 도시 공간의 형성과 발달 = 53
동아시아의 도시, 어떻게 볼 것인가? = 59
한국 도시의 자본주의적 지형과 특성 = 65
근대적 공간의 생산과 공간적 정치권력 = 77
지구화와 세계도시의 발달 = 86
3장 정보화와 도시 공간의 변화
정보화와 시공간의 변화 = 97
정보혁명과 도시 공간의 전환 = 109
전자공간의 등장과 도시 생활의 변화 = 120
디지털 시대의 빛과 그림자 = 124
시공간의 압축에는 그 한계가 있다 = 129
2부도시 공간: 주거ㆍ문화ㆍ정치
4장 도시의 주거공간과 재개발
아파트 주거공간과 공동체 운동 = 141
도시 재개발사업의 문제점과 과제 = 147
아파트 재건축 붐과 가격 폭등 대책 = 154
주택보급률 100% 시대의 임대주택 정책 = 158
금융위기의 충격과 무분별한 주택정책 = 162
5장 도시의 사회문화 공간
도시 공간의 전형으로서 시장 = 177
사회공간적 안전망과 지역사회복지 = 185
지역문화 진흥과 도시마케팅 = 190
월드컵 함성에 묻혀버린 것들 = 194
신자유주의, 시장의 자유 = 197
6장 도시의 정치공간과 선거
지역 혁신과 지방분권의 딜레마 = 207
진정한 지방자치와 그 적들 = 211
선거의 주체는 지역 시민이다 = 216
지역감정 극복을 위한 언론의 역할 = 220
대운하, 기적인가 환상인가 = 226
3부 대안적 도시 공간을 위하여
7장 참여정부의 도시 공간 정책
지역균형발전 패러다임으로의 전환 = 235
혁신도시 건설의 성공 조건 = 239
기업도시 건설은 가능한가? = 243
민간투자사업에 의한 도시 개발의 한계 = 248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지역경제 = 252
8장 대안적 도시 공간을 위하여
지역경제통합과 네트워크 도시체계 구축 = 259
살기 좋은 국토공간과 지역공동체의 복원 = 262
도시공동체를 위한 아파트 공유공간의 활성화 = 266
양극화를 넘어 '나눔의 도시'로 = 270
위험도시에서 진정한 생태도시로 = 274
9장 도시 공간 서평
근ㆍ현대성의 도시 공간 독해와 분석 = 281
현대 사회와 포스트모던 도시의 이해 = 286
근대성의 상징, 한국의 아파트 = 290
근대성의 신화 허물기 = 299
'포스트모더니티'를 넘어 '희망의 공간'으로 = 305
출처 = 314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