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발간사 ... 5
제1부 한국 근대 일상생활과 매체
1910년대 『매일신보』소설에 나타난 일상성의 문제 ... 15
1910년대 중반 일본 유학생들의 자의식과 문학관 ... 43
근대매체와 구술성 ... 69
도산 안창호 사상의 기독교와 사회진화론 수용 ... 93
여성 소비 주체의 등장과 여성의 소비문화 ... 159
취미실익 잡지 『별건곤』과 대중서...
목차 전체
발간사 ... 5
제1부 한국 근대 일상생활과 매체
1910년대 『매일신보』소설에 나타난 일상성의 문제 ... 15
1910년대 중반 일본 유학생들의 자의식과 문학관 ... 43
근대매체와 구술성 ... 69
도산 안창호 사상의 기독교와 사회진화론 수용 ... 93
여성 소비 주체의 등장과 여성의 소비문화 ... 159
취미실익 잡지 『별건곤』과 대중서사물 ... 199
제2부 일상과 근대적 매체
김남천 소설에 나타난 일제강점기 소비문화 ... 221
유성기 음반에 담긴 옛이야기 ... 247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