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황훈성 = 5
제Ⅰ부
미주 소수민족 문화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Diaspora and Transnationalism in Minority North American Culture) / 김영민 = 19
Ⅰ. 서론 = 20
Ⅱ. 탈식민주의와 디아스포라 = 21
Ⅲ. 탈민족주의와 초국가주의 = 25
Ⅳ. 크와미 도즈의 ...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황훈성 = 5
제Ⅰ부
미주 소수민족 문화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와 초국가주의(Diaspora and Transnationalism in Minority North American Culture) / 김영민 = 19
Ⅰ. 서론 = 20
Ⅱ. 탈식민주의와 디아스포라 = 21
Ⅲ. 탈민족주의와 초국가주의 = 25
Ⅳ. 크와미 도즈의 레게 미학: 미주 소수인종 문화의 한 사례 = 30
Ⅴ. 결론: 초국가주의의 문화와 경제학 = 34
인용 문헌 = 39
미국 남부 문화에 나타난 폭력적인 흑인 남성 몸의 이미지 / 김종갑 = 43
Ⅰ. 서론 = 43
Ⅱ. 본론 = 45
Ⅲ. 결론 = 66
인용 문헌 = 67
흑인의 문화적 저항 방식 바라카의 극을 중심으로 / 방찬혁 = 69
Ⅰ. 미국 문화와 흑인의 정체성 = 69
Ⅱ. 자본주의 문화와 바라카 미학 = 71
Ⅲ. 극에 투영된 기독교와 백인의 이미지 = 78
Ⅳ. 제국주의적 응시와 악마의 이미지 = 84
Ⅴ. 흑인의 저항 방식과 한계 = 86
인용 문헌 = 89
'검둥이'들의 소음 - 힙합 / 임경규 = 91
Ⅰ. 힙합의 상업화와 백색화 = 91
Ⅱ. 탈산업화 도시의'궁핍과 욕망의 교차로'에서 = 95
Ⅲ. 주류 사회를 위한 비밀 성적표 = 101
Ⅳ. 미래를 향한 문화적 기획 = 105
Ⅴ. 우리=흑인=힙합 = 111
Ⅵ. 힙합민족, 힙합 리터러시 = 116
인용 문헌 = 122
소수인종 예술 활동과 정체성-정치 - 아시안 아메리칸 비영리 예술 조직을 중심으로, 1971-2004 / 심보선 = 125
Ⅰ. 들어가면서 = 125
Ⅱ. 조직, 정체성, 예술 = 128
Ⅲ. 아시안아메리칸예술센터의 형성과 변화 = 132
Ⅳ. 아시안시네비전의 형성과 변화 = 138
Ⅴ. 정체성-정치: 포괄성에서 특수성으로 = 146
Ⅵ. 마치면서 = 151
인용 문헌 = 156
사료편찬적 여성 메타픽션과 딕테 / 김애주 = 161
Ⅰ. 사료편찬적 여성 메타픽션 = 165
Ⅱ. 역사 다시 쓰기 = 169
Ⅲ. 여성의 언어, 말하는 여성 주체 = 176
Ⅳ. 모순의 미학 = 184
인용 문헌 = 187
제Ⅱ부
시오니즘을 통해 본 다문화주의 미국 사회의 문화적 민주화에 내재된 은밀함 / 정윤길 = 193
Ⅰ. 테러리즘과 부당한 정치적 대응의 유사성 = 193
Ⅱ. 미국 사회에서의 시오니즘 권력 = 197
Ⅲ. 정복의 신화와 미국 문화 = 204
Ⅳ. 현실 인정의 정치학 = 210
인용 문헌 = 212
벨로우가 본 서구 모더니즘, 그리고 문화적 오리엔탈리즘 / 오금동 = 213
Ⅰ. 방외자로서의 모더니즘에 대한 역설적 관점 = 213
Ⅱ. 벨로우 작품에 나타난 모더니즘 기법 들여다보기 = 217
Ⅲ. 이데올로기보다는 소설을 택했던 벨로우의 면모 = 223
인용 문헌 = 226
1960년대 밥 딜런 가사 시로 읽기 보는 시와 듣는 시 사이에서 / 손광수 = 229
Ⅰ. 들어가며 = 229
Ⅱ. 듣고 읽는 시 = 230
Ⅲ. 록의 시인 밥 딜런 = 234
Ⅳ. 나가며 = 248
인용 문헌 = 250
동시대 무대에서 몸 기호화하기 미국 페미니스트 극 무대를 중심으로 / 황훈성 = 253
Ⅰ. 서론: 몸과 연극학 = 253
Ⅱ. 몸과 페미니스트 극 = 256
Ⅲ. 미국 동시대 페미니스트 극: 적나라하게 펼쳐 보여주기 운동 = 260
Ⅳ. 성형수술 공연 = 267
Ⅴ. 결론 = 270
인용 문헌 = 272
찾아보기 = 275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