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머리말 = 5
제1장 서론 = 17
제2장 세계화와 다문화 = 25
1. 세계화 시대의 자본과 인구의 이동 연구 = 26
2. 외국인집중거주지역 연구 = 28
3. 한국의 다문화사회 및 다출신국ㆍ다인종 사회 연구 = 31
제3장 다문화사회의 패러다임 = 39
1. 다문화사회 모형 = 40
2. 다문화사회의 단계별 접근 = 42
제4장 외국인과...
목차 전체
목차
머리말 = 5
제1장 서론 = 17
제2장 세계화와 다문화 = 25
1. 세계화 시대의 자본과 인구의 이동 연구 = 26
2. 외국인집중거주지역 연구 = 28
3. 한국의 다문화사회 및 다출신국ㆍ다인종 사회 연구 = 31
제3장 다문화사회의 패러다임 = 39
1. 다문화사회 모형 = 40
2. 다문화사회의 단계별 접근 = 42
제4장 외국인과 더불어 살아가기 = 47
1. 한국인의 태도 = 48
1) 외국인의 이미지 = 50
2) 외국인과의 사회적 거리감 = 52
3) 교류와 소통 = 55
4) 다문화사회 인식 = 58
2. 외국인마을 = 60
1) 세계화 시대 외국인 유럽과 외국인마을 형성 = 60
2) 서울의 외국인마을 = 63
3) 외국인마을의 사회조직적 특성 = 85
3. 외국인마을에서 한국인의 태도 = 92
1) 외국인의 이미지 = 93
2) 외국인과의 사회적 거리감 = 95
3) 교류와 소통 = 102
4) 다문화사회 인식 = 107
제5장 한국인과 더불어 살아가기 = 111
1. 결혼이주여성 = 112
1) 결혼이주여성의 이해 = 116
2)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문화적응스트레스 = 127
3) 결혼이주여성의 가족생활 = 138
4)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생활 = 150
2. 다문화가정자녀 = 160
1) 다문화가정 자녀 현황 = 162
2) 다문화가정 자녀의 특성 = 166
3) 다문화가정 자녀의 가족생활 = 175
제6장 한국의 다문화 지원 체계 = 181
1. 법과 제도 = 182
1) 국적법 = 186
2)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 = 188
3) 산업연수생제도 = 190
4) 고용허가제도 = 191
5) 다문화가정과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지원책 = 193
6) 통합 고용허가제 = 197
7) 외국적 동포 방문 취업제 = 197
2. 다문화 지원 현황 = 201
1) 다문화 지원 현황 = 201
2) 서울시 = 244
3) 안산시 = 255
제7장 해외사례 = 269
1. 캐나다 = 271
1) 캐나다의 다문화정책 = 271
2) 온타리오주 토론토시와 키치너 - 워털루시 = 273
2. 호주 = 281
1) 호주의 다문화정책 = 281
2) 멜버른시 = 284
3) 시드니시 = 286
3. 미국 = 289
1) 로스앤젤레스시 = 289
2) 콜럼버스시 = 294
4. 일본 = 296
1) 일본의 다문화정책 = 296
2) 도쿄 및 가와사키시의 다문화센터 방문조사 = 297
5. 체코 = 309
1) 체코의 다문화정책 = 309
2) 프라하시의 다문화센터 = 311
제8장 결론 = 317
부록 = 327
1. 다문화가족 지원방안 한국어 설문
2. 서울 거주 외국인과 서울시민 소통에 대한 서면 설문
3. 서울 시민의 외국인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전화 설문
4. 서울의 다문화프로그램 지원 기관 목록
참고문헌 = 371
찾아보기 = 385
약력 = 393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