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검색

상세정보

뉴에이지 운동과 한국의 대중문화

전명수 저

상세정보
자료유형단행본
서명/저자사항뉴에이지 운동과 한국의 대중문화 / 전명수 저
개인저자전명수.
발행사항파주 : 집문당, 2009
형태사항260 p. : 삽도 ; 23 cm
ISBN9788930314121
일반주기찾아보기: p. 255-260
서지주기참고문헌: p. 243-254
서지적 각주 수록
비통제주제어사회,사회학,사회문화,대중문화이론
분류기호306.40951
언어한국어
  • 보존서고자료신청보존서고자료신청
  • 서가에없는도서 이미지서가에없는도서신청
  • 도서 PICK UP 서비스도서 PICK UP 서비스
  • 인쇄인쇄
  • SMS발송SMS발송

전체

전체 메세지가 없습니다
No.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위치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매체정보
1 1036448 306.40951 전명수 뉴 보존서고B3 B346-3-7 대출가능
2 1036449 306.40951 전명수 뉴 c2 보존서고B3 B369-6-5 대출가능

목차

목차 일부

머리말 =3

1장 서론  
 1. 본서의 목적과 의의 =11 
 2. 선행연구사 검토 =19
   서구의 ‘뉴에이지’ 연구 현황 =19
   일본의 ‘뉴에이지’ 연구 현황 =30
   한국의 ‘뉴에이지’ 연구 현황 =34
 3.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41
   연구내용 = 41
   연구방법 = 43

2장 종교와 대중문화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

목차 전체

머리말 =3

1장 서론  
 1. 본서의 목적과 의의 =11 
 2. 선행연구사 검토 =19
   서구의 ‘뉴에이지’ 연구 현황 =19
   일본의 ‘뉴에이지’ 연구 현황 =30
   한국의 ‘뉴에이지’ 연구 현황 =34
 3.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41
   연구내용 = 41
   연구방법 = 43

2장 종교와 대중문화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대중문화의 개념과 범주 =49
 2. 종교와 대중문화의 관계에 관한 유형 분류 =53
 3. 종교와 대중문화의 관계에 관한 이론과 실제 =59
   종교 속으로의 대중문화 편입 =59 
   대중문화 속으로의 종교 편입과 종교로서의 대중문화 = 63
   종교와 대중문화의 대화와 갈등 =70
   뉴에이지의 경우: ‘대중문화로서의 종교’ 성립의 가능성 =72  

3장 뉴에이지 운동의 전개와 변모 
 1. 문제제기 =79
 2. 뉴에이지 운동의 개념과 본질의 재고찰 =82 
    대체종교와 사회운동의 이원적 개념과 그 의미 =82
    ‘영성’ 논의의 문제점과 뉴에이지 운동의 핵심사상으로서의 ‘변형’ =90 
 3. 뉴에이지 운동의 대중문화 활동으로의 방향전환 =99
    방향전환의 배경 =99
    뉴에이지 대중문화의 유형과 1960년대 반문화운동의 역할 =103 
 4. 소결 =112

4장 뉴에이지 운동의 한국 수용과 특성 
 1. 뉴에이지 운동의 한국 수용 배경 =117 
    전통문화적 배경 =117
    시대적 배경 =122
 2. 뉴에이지 운동의 한국 수용사 =128 
    1980년대 뉴에이지 운동의 수용 전사(前史): 명상서적과 수련의 소개와 수용 =128 
    1980년대 말-1990년대 초 뉴에이지 운동의 우호적 수용과 비판의 양극화 =130
    1990년대 중반 이후 뉴에이지 운동의 이론적 수용과 ‘뉴에이지 스타일’의 형성 =135
 3. 한국 뉴에이지 운동의 문화적 지향과 특성 =143
    기성종교에 대한 도전: 탈권위적 저작물의 범람 =143
    개인의 잠재능력에 대한 자각: 명상, 음악, 수련의 활성화 =147 
    초월주의의 수용: 환생과 환상을 그린 영상물의 인기 =153
 4. 소결 =157

5장 뉴에이지 운동의 전인주의와 한국 ‘웰빙’ 대중문화 =163 
 1. 문제제기 =163
 2. 뉴에이지 운동의 핵심 사상으로서의 전인주의 =167
    뉴에이지의 영지주의적 전통과 영적 에너지에 대한 관점 =167
    뉴에이지의 인간관과 전인적 건강 =171
 3. 전인주의에 기반한 한국 웰빙 대중문화의 특성 =174 
    개인의 건강 추구와 웰빙 대중문화 =174
    전인주의(holism)에서 일체성(wholeness)으로: 지구의 웰빙 운동 =185 
 4. 소결 =198

6장 뉴에이지 운동이 한국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과 그 의미 
 1. 대중문화의 질적 변용과 특성 =203
    ‘종교적 주제’의 대중화와 신비주의적 색채의 확산 =203
    ‘건강’ ‘웰빙’ 대중문화의 성장과 개인주의적 성향 확대 =209
 2. 대중문화 속의 대립과 갈등 =215
    뉴에이지 대중문화와 기성종교의 대립 =215 
    상업주의의 편승에 따른 갈등 =221

7장 결론 =233

참고문헌 =243
찾아보기 =255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

서평추가
별점
별0점
  • 별5점
  • 별4.5점
  • 별4점
  • 별3.5점
  • 별3점
  • 별2.5점
  • 별2점
  • 별1.5점
  • 별1점
  • 별0.5점
  • 별0점
제목입력
본문입력

글자수:0
  • Tag List

    Tag List 메세지가 없습니다

  • Tag Cloud

    Tag Cloud 메세지가 없습니다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추가
태그입력
태그보기

처음 오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