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Ⅰ. 조사개요 = l
Ⅱ. 조사지역의 위치 및 환경 = 3
1. 조사지역 위치 = 3
2. 고고학적 환경 = 3
Ⅲ. 조사방법 = 7
Ⅳ. 조사내용 = 8
1. 구석기유적 = 8
가. 지층과 문화층 = 8
나. 출토유물 = 9
1) 1문화층 = 9
(1) 몸돌 = 9
(2) 격지 = 11
(3) 긁개 = 15
(4) 밀개 = 15
(5) 흠날 = 17...
목차 전체
목차
Ⅰ. 조사개요 = l
Ⅱ. 조사지역의 위치 및 환경 = 3
1. 조사지역 위치 = 3
2. 고고학적 환경 = 3
Ⅲ. 조사방법 = 7
Ⅳ. 조사내용 = 8
1. 구석기유적 = 8
가. 지층과 문화층 = 8
나. 출토유물 = 9
1) 1문화층 = 9
(1) 몸돌 = 9
(2) 격지 = 11
(3) 긁개 = 15
(4) 밀개 = 15
(5) 흠날 = 17
(6) 망치돌 = 17
2) 2문화층 = 17
(1) 몸돌 = 17
(2) 격지 = 19
(3) 긁개 = 21
(4) 밀개 = 23
(5) 흠날 = 23
(6) 톱니날 = 23
(7) 찍개 = 23
(8) 양면석기 = 25
(9) 망치돌 = 25
3) 3문화층 = 25
(1) 몸돌 = 25
(2) 격지 = 28
(3) 긁개 = 30
(4) 밀개 = 31
(5) 흠날 = 31
(6) 등잡이칼 = 31
(7) 찍개 = 31
(8) 주먹찌르개(pick) = 33
(9) 양면석기 = 33
(10) 여러면석기 = 33
(10) 망치돌 = 37
4) 지표채집 유물 = 37
2. 통일신라시대 = 40
1) 1호 석곽묘 = 40
2) 2호 석곽묘 = 41
Ⅴ. 구석기유물에 대한 고찰 = 45
1. 1문화층 = 45
1) 돌감 = 45
2) 유물분석 = 45
(1) 몸돌 = 46
(2) 잔손질되지 않은 격지 = 47
(3) 잔손질된 석기 = 48
(4) 여러면석기 = 48
(5) 망치돌 = 48
3) 유물의 분포 = 48
2. 2문화층 = 50
1) 돌감 = 50
2) 유물 분석 = 50
(1) 몸돌 = 50
(2) 잔손질되지 않은 격지 = 51
(3) 잔손질된 석기 = 52
(4) 찍개와 양면석기 = 53
(5) 망치돌 = 53
3) 유물의 분포 = 53
3. 3문화층 = 55
1) 돌감 = 55
2) 유물 분석 = 56
(1) 몸돌 = 56
(2) 잔손질되지 않은 격지 = 56
(3) 잔손질된 석기 = 57
(4) 찍개,주먹찌르개,양면석기 = 58
(5) 여러면 석기 = 58
(6) 망치돌 = 58
3) 유물의 분포 = 59
4. 비교 검토 = 61
1) 돌감 = 61
(1) 몸돌 = 62
(2) 잔손질되지 않은 격지 = 62
(3) 잔손질되지 않은 조각 = 63
(4) 잔손질된 석기 = 64
(5) 나머지 유물 = 64
2) 석기의 종류와 구성 = 65
Ⅵ. 맺음말 = 68
부록
아산 및 천안지역 일대 문화유적 발굴지역 자연과학 분석 = 117
아산 실옥동 대우아파트 조성부지 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 161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