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1장 생화학과 세포의 구성 = 1
1.1 기본 주제 = 1
1.2 생화학의 화학적 본질 = 2
1.3 생물학의 시작: 생명의 기원 = 6
생화학과의 접목 1.1 구조식이 왜 그토록 중요한가? = 7
1.4 가장 큰 생물학적 차이점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 = 15
1.5 원핵세포 = 16
1.6 진핵세포 = 17
1.7 5계, 3영역 =...
목차 전체
목차
1장 생화학과 세포의 구성 = 1
1.1 기본 주제 = 1
1.2 생화학의 화학적 본질 = 2
1.3 생물학의 시작: 생명의 기원 = 6
생화학과의 접목 1.1 구조식이 왜 그토록 중요한가? = 7
1.4 가장 큰 생물학적 차이점 ― 원핵생물과 진핵생물 = 15
1.5 원핵세포 = 16
1.6 진핵세포 = 17
1.7 5계, 3영역 = 23
1.8 모든 세포들의 공통 기반 = 25
생화학과의 접목 1.2 극한미생물: 산업의 보물창고 = 26
1.9 생화학 에너지론 = 28
1.10 에너지와 변화 = 30
1.11 생화학 반응에서의 자발성 = 31
1.12 생명과 열역학 = 32
생화학과의 접목 1.3 반응 예측하기 = 33
2장 물: 생화학반응의 용매 = 38
2.1 물과 극성 = 38
2.2 수소결합 = 42
생화학과의 접목 2.1 기초 화학이 생명에 미치는 영향: 수소결합의 중요성 = 46
2.3 산, 염기, pH = 47
2.4 적정곡선 = 51
2.5 완충용액 = 53
생화학과의 접목 2.2 완충용액의 선택 = 58
생화학과의 접목 2.3 혈액 완충작용의 몇 가지 생리학적 결과 = 60
생화학과의 접목 2.4 젖산 ― 항상 나쁜 건 아니다 = 60
3장 아미노산과 펩타이드 = 64
3.1 아미노산은 3차원 세계에 존재한다 = 64
3.2 각각의 아미노산들: 그 구조와 성질 = 65
생화학과의 접목 3.1 진정작용과 각성작용이 있는 아미노산들 = 71
3.3 아미노산은 산과 염기 두 가지로 모두 작용할 수 있는가? = 72
3.4 펩타이드 결합 = 75
3.5 생리활성이 있는 작은 펩타이드들 = 77
생화학과의 접목 3.2 아미노산은 도처에 깔려 있다 = 78
생화학과의 접목 3.3 아스파탐, 단맛을 내는 펩타이드 = 79
생화학과의 접목 3.4 페닐케톤뇨증 ― 작은 물질인데도 미치는 영향은 크다 = 80
생화학과의 접목 3.5 펩타이드 호르몬 ― 영향을 크게 미치는 더 작은 물질들 = 81
4장 단백질의 3차 구조 = 85
4.1 단백질 구조와 기능 = 85
4.2 단백질의 1차 구조 = 86
4.3 단백질의 2차 구조 = 87
생화학과의 접목 4.1 완전단백질과 영양 = 88
4.4 단백질의 3차 구조 = 97
4.5 단백질의 4차 구조 = 105
4.6 단백질 접힘의 역학 = 111
생화학과의 접목 4.2 프리온과 질병 = 116
5장 단백질의 정제 및 특성 규명 기술 = 121
5.1 세포에서 순수한 단백질 추출하기 = 121
5.2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 122
5.3 전기영동 = 128
5.4 단백질의 1차 구조 결정하기 = 129
생화학과의 접목 5.1 모두 다 통합하기 = 137
6장 단백질의 작용 양상: 효소 = 141
6.1 효소는 효율적인 생체 촉매이다 = 141
6.2 반응속도론 대 열역학 = 141
생화학과의 접목 6.1 질병의 표지로서의 효소 = 143
6.3 효소 반응속도론 식 = 144
6.4 효소-기질 결합 = 146
6.5 효소-촉매 반응의 예 = 148
6.6 효소반응속도론에 대한 미케일리스 - 멘텐 방식의 접근법 = 150
6.7 효소 저해 = 157
생화학과의 접목 6.2 반응속도론 자료로 얻는 실용적 정보 = 158
생화학과의 접목 6.3 AIDS 치료에서의 효소 저해작용 = 163
7장 단백질의 작용 양상: 효소, 메커니즘, 조절 = 167
7.1 알로스테릭 효소의 작용 양상 = 167
7.2 알로스테릭 효소에 대한 일치형 모델과 순차적 모델 = 171
7.3 인산화에 의한 효소활성의 조절 = 175
7.4 자이모젠 = 178
7.5 활성부위의 본질 = 179
7.6 효소 메커니즘에 관여되어 있는 화학반응들 = 184
생화학과의 접목 7.1 효소는 일상적인 유기화학반응을 촉매한다 = 186
생화학과의 접목 7.2 효소 족: 단백질분해효소(프로티에이스) = 188
7.7 활성부위와 전이상태 = 189
7.8 보조효소 = 191
생화학과의 접목 7.3 코케인에 대한 촉매항체 = 192
생화학과의 접목 7.4 청정 화학을 위한 촉매제 = 193
8장 지질과 단백질이 생체막에 결합되어 있다 = 197
8.1 지질의 정의 = 197
8.2 각종 지질의 화학적 성질 = 197
생화학과의 접목 8.1 지질은 다발성 경화증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 203
8.3 생체막 = 205
생화학과의 접목 8.2 버터 대 마가린 ― 어느 것이 건강에 더 좋을까? = 208
8.4 막단백질의 종류 = 209
8.5 막 구조의 유동 - 모자이크 모델 = 211
생화학과의 접목 8.3 의학에서의 막 = 212
8.6 막의 기능 = 213
생화학과의 접목 8.4 지질방울은 단순히 커다란 지방 덩어리가 아니다 = 218
8.7 지용성 비타민과 그 기능 = 218
생화학과의 접목 8.5 시각작용은 위대한 화학반응이다 = 222
8.8 프로스타글란딘과 류코트라이엔 = 225
생화학과의 접목 8.6 왜 연어를 더 많이 먹어야 하는가? = 227
9장 핵산: 구조가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 = 231
9.1 핵산 구조의 단계 = 231
9.2 폴리뉴클레오타이드의 공유결합 구조 = 231
생화학과의 접목 9.1 DNA 가계도 = 236
9.3 DNA의 구조 = 237
생화학과의 접목 9.2 삼중나선 DNA가 신약 설계에 유용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 243
9.4 DNA의 변성 = 246
생화학과의 접목 9.3 인간유전체사업: 보물인가, 판도라의 상자인가? = 247
9.5 RNA의 주요 종류와 그 구조 = 248
생화학과의 접목 9.4 일란성 쌍둥이가 똑같지 않은 이유는? = 255
10장 핵산의 생합성: 복제 = 259
10.1 세포에서의 유전정보의 흐름 = 259
10.2 DNA의 복제 = 260
10.3 DNA 중합효소 = 263
10.4 DNA 복제에 필요한 단백질들 = 268
10.5 교정과 수선 = 271
생화학과의 접목 10.1 DNA에 유라실 대신 타이민이 포함되어 있는 이유는? = 273
생화학과의 접목 10.2 E. coli에서의 SOS 반응 = 276
10.6 진핵생물의 DNA 복제 = 277
생화학과의 접목 10.3 텔로머레이스와 암 = 280
11장 유전암호의 전사: RNA 생합성 = 285
11.1 전사의 개요 = 285
11.2 원핵생물에서의 전사 = 286
11.3 원핵생물에서의 전사 조절 = 293
11.4 진핵생물에서의 전사 = 302
11.5 진핵생물에서의 전사 조절 = 307
생화학과의 접목 11.1 TFIIH ― 유전체에서 최대한의 것을 만들어냄 = 308
생화학과의 접목 11.2 CREB ― 전혀 들어본 적이 없는 가장 중요한 단백질? = 313
11.6 DNA - 결합 단백질에서 발견되는 구조적 특징들 = 313
11.7 전사 후의 RNA 변형 = 317
생화학과의 접목 11.3 루퍼스(낭창): RNA 가공과정과 관련된 자가면역질환 = 322
11.8 라이보자임 = 323
생화학과의 접목 11.4 전사에서의 교정작용은? RNA는 다른 손실된 조각을 채운다 = 325
12장 단백질 합성: 유전 메시지의 번역 = 329
12.1 유전 메시지의 번역 = 329
12.2 유전암호 = 330
12.3 아미노산의 활성화 = 335
12.4 원핵생물의 번역 = 338
생화학과의 접목 12.1 21번째 아미노산? = 346
12.5 진핵생물의 번역 = 349
12.6 단백질의 번역-후 변형 = 353
생화학과의 접목 12.2 샤프론: 적합하지 않은 결합을 방지함 = 354
12.7 단백질 분해 = 355
생화학과의 접목 12.3 잠재성 돌연변이가 언제나 잠재성인 것은 아니다 = 355
생화학과의 접목 12.4 우리는 어떻게 높은 고도에 적응하는가? = 357
13장 핵산 생물공학 기술 = 361
13.1 핵산의 정제 및 검출 = 361
13.2 제한효소 = 363
13.3 클로닝 = 366
13.4 유전공학 = 374
생화학과의 접목 13.1 농업에서의 유전공학 = 376
생화학과의 접목 13.2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인간 단백질들 = 379
13.5 DNA 라이브러리 = 381
생화학과의 접목 13.3 융합단백질과 신속한 정제 = 382
13.6 중합효소연쇄반응 = 385
13.7 DNA 핑거프린팅 = 387
생화학과의 접목 13.4 CSI: 생화학 ― DNA 검사의 법의학적 이용 = 388
13.8 DNA의 염기서열 결정하기 = 392
생화학과의 접목 13.5 RNA 간섭 ― 유전자를 연구하는 가장 새로운 방법 = 393
13.9 유전체학과 단백질체학 = 396
14장 바이러스, 암 그리고 면역학 = 403
14.1 바이러스 = 403
14.2 레트로바이러스 = 408
생화학과의 접목 14.1 바이러스는 유전자 치료에 이용된다 = 410
14.3 면역계 = 411
생화학과의 접목 14.2 바이러스 RNA는 면역계를 속인다 = 422
14.4 암 = 424
생화학과의 접목 14.3 질병 대신 증상을 공격한다? = 432
15장 대사에서 에너지 변화와 전자전달의 중요성 = 436
15.1 자유에너지 변화에서의 표준 상태 = 436
15.2 생화학적 적용을 위한 변형된 표준 상태 = 437
15.3 대사의 본질 = 438
생화학과의 접목 15.1 살아 있는 생명체는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 생명체는 에너지를 어떻게 이용하는 걸까? = 439
15.4 대사에서 산화와 환원의 역할 = 440
생화학과의 접목 15.2 생명체는 독특한 열역학 계이다 = 441
15.5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산화환원 반응에서의 보조효소 = 442
15.6 에너지 생산과 에너지 사용의 연결 = 446
15.7 대사경로 활성화에서의 보조효소 A = 451
16장 탄수화물 = 457
16.1 당: 구조와 입체화학 = 457
16.2 단당류의 반응 = 465
생화학과의 접목 16.1 비타민 C는 당과 관련이 있다 = 466
생화학과의 접목 16.2 과일, 꽃, 현란한 색상 그리고 의학적 용도 = 471
16.3 몇 가지 중요한 올리고당류 = 472
생화학과의 접목 16.3 락토오스 과민증: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우유 마시기를 원하지 않을까? = 474
16.4 다당류의 구조와 기능 = 475
생화학과의 접목 16.4 식이섬유가 몸에 아주 좋은 이유는 무엇일까? = 479
16.5 당단백질 = 483
생화학과의 접목 16.5 저-탄수화물 식이요법 = 484
생화학과의 접목 16.6 당단백질과 수혈 = 485
17장 해당과정 = 488
17.1 해당과정의 전체 경로 = 488
생화학과의 접목 17.1 발효를 통해 얻는 생물 연료 = 491
17.2 6-탄소화합물인 글루코오스에서 3-탄소화합물인 글리세르 알데하이드-3-인산으로의 전환 = 492
17.3 글리세르알데하이드-3-인산은 피루브산으로 전환된다 = 498
17.4 피루브산의 혐기성 대사 = 506
생화학과의 접목 17.2 혐기성 대사와 치아가 썩는 현상과는 어떤 연관이 있는가? = 510
생화학과의 접목 17.3 태아알코올증후군 = 511
17.5 해당과정에서의 에너지 생산 = 511
18장 탄수화물 대사에서의 저장 메커니즘과 조절 = 515
18.1 글리코겐 생성과 분해의 방법 = 515
생화학과의 접목 18.1 운동선수들이 글리코겐을 비축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521
18.2 글루코오스 신생합성은 피루브산으로부터 글루코오스를 만들어 낸다 = 523
18.3 탄수화물 대사의 조절 = 528
18.4 글루코오스는 그 대사 방향이 간혹 5탄당 인산 경로 쪽으로 전환 되기도 한다 = 533
생화학과의 접목 18.2 5탄당 인산 경로와 용혈성 빈혈 = 539
19장 시트르산 회로 = 542
19.1 대사에서 시트르산 회로의 중심 역할 = 542
19.2 시트르산 회로의 전체 경로 = 543
19.3 피루브산은 어떻게 아세틸-CoA로 전환되는가? = 546
19.4 시트르산 회로의 각 반응들 = 550
생화학과의 접목 19.1 식물의 독성과 시트르산 회로 = 553
19.5 시트르산 회로의 에너지론과 조절 = 558
19.6 글라이옥실산 회로: 시트르산 회로와 친척 관계인 경로 = 560
19.7 분해대사에서의 시트르산 회로 = 562
19.8 합성대사에서의 시트르산 회로 = 564
생화학과의 접목 19.2 왜 동물들은 식물이나 박테리아가 사용하는 에너지원들을 모두 다 똑같이 사용하지 못하는 걸까? = 565
생화학과의 접목 19.3 체중 감량이 힘든 이유는 무엇인가 = 568
19.9 산소와의 연결 = 570
20장 전자전달과 산화적 인산화반응 = 574
20.1 대사과정에서 전자전달의 역할 = 574
20.2 전자전달사슬에서의 환원 전위 = 575
20.3 전자전달 복합체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 578
20.4 전자전달과 인산화반응 간의 연결 = 586
20.5 산화적 인산화반응에서 동반작용의 메커니즘 = 589
20.6 전자전달을 연구하는 데 호흡 저해제를 이용할 수 있다 = 592
20.7 셔틀 메커니즘 = 594
생화학과의 접목 20.1 갈색 지방조직은 비만과 무슨 관계가 있는가? = 595
20.8 글루코오스의 완전 산화 시 생성되는 ATP 수 = 597
생화학과의 접목 20.2 스포츠와 대사 = 598
생화학과의 접목 20.3 스포츠의 어두운 면 = 599
21장 지질대사 = 603
21.1 지질은 에너지 생성과 저장에 관여되어 있다 = 603
21.2 지질의 분해대사 = 603
21.3 지방산 산화로 생기는 에너지 생산량 = 609
21.4 불포화지방산과 홀수-탄소 지방산의 분해대사 = 611
21.5 케톤체 = 614
생화학과의 접목 21.1 케톤체와 효과적인 체중 감량 = 615
21.6 지방산 생합성 = 616
21.7 아실글리세롤과 복합지질의 합성 = 623
생화학과의 접목 21.2 비만 유전자 = 625
생화학과의 접목 21.3 아세틸-CoA 카복실화효소 - 비만과의 전쟁에서의 새로운 표적? = 625
21.8 콜레스테롤 생합성 = 629
생화학과의 접목 21.4 아테롬성 동맥경화증 = 638
22장 광합성 = 643
22.1 엽록체는 광합성이 일어나는 곳이다 = 643
생화학과의 접목 22.1 빛의 파장과 에너지 사이의 관계 = 647
22.2 광시스템Ⅰ, Ⅱ와 광합성 명반응 = 647
22.3 광합성과 ATP 생산 = 654
생화학과의 접목 22.2 광합성 저해에 의한 잡초 제거 = 656
22.4 산소의 존재 유무에 따른 광합성의 진화론적 의미 = 656
22.5 광합성의 암반응은 CO₂를 고정시킨다 = 658
22.6 열대식물의 CO₂ 고정 = 662
생화학과의 접목 22.3 엽록체 유전자 = 664
23장 질소대사 = 669
23.1 질소대사: 개요 = 669
23.2 질소고정 = 671
생화학과의 접목 23.1 비료의 질소함량은 왜 그렇게 중요한가? = 672
23.3 질소대사에서의 피드백 저해작용 = 673
23.4 아미노산 생합성 = 674
23.5 필수 아미노산 = 683
23.6 아미노산 분해대사 = 683
생화학과의 접목 23.2 질소 노폐물의 처리와 물 = 686
생화학과의 접목 23.3 화학요법과 항생제 ― 폴산의 필요성을 이용하기 = 689
23.7 퓨린 생합성 = 689
23.8 퓨린 분해대사 = 692
생화학과의 접목 23.4 레쉬-나이한 증후군 = 694
23.9 피리미딘 생합성과 분해대사 = 696
23.10 라이보뉴클레오타이드의 디옥시라이보뉴클레오타이드로의 전환 = 699
23.11 dUTP의 dTTP로의 전환 = 700
24장 대사의 통합: 세포의 신호전달= 704
24.1 대사 경로들 간의 연결고리 = 704
24.2 생화학과 영양학 = 705
생화학과의 접목 24.1 알코올 소비와 중독 = 706
생화학과의 접목 24.2 철: 무기질 필요성의 한 예 = 709
24.3 호르몬과 2차 정보전달물질 = 713
24.4 호르몬과 대사 조절 = 723
24.5 인슐린과 그 효과 = 726
생화학과의 접목 24.3 인슐린과 저탄수화물 식품 = 727
생화학과의 접목 24.4 매일 운동하면 당뇨병을 멀리할 수 있는가? = 730
생화학과의 접목 24.5 장수에 대한 탐구 = 731
부록: 생화학에서의 핫 토픽 = 735
용어풀이 = 756
찾아보기 = 76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