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Chapter 1 유아특수교육의 소개
1. 아동 먼저라는 관점에서 특별한 요구를 가진 아동을 보기 = 3
2. 특별한 요구를 가진 유아의 지역사회중심 통합교육 = 3
3. 이 책의 철학 = 4
4. 유아특수교육: 발전중인 분야 = 5
5. 변화하는 정책: 공적 압력과 법률의 영향 = 12
6. 유아특수교육의 동향 = 18
7. 최선의 실제...
목차 전체
목차
Chapter 1 유아특수교육의 소개
1. 아동 먼저라는 관점에서 특별한 요구를 가진 아동을 보기 = 3
2. 특별한 요구를 가진 유아의 지역사회중심 통합교육 = 3
3. 이 책의 철학 = 4
4. 유아특수교육: 발전중인 분야 = 5
5. 변화하는 정책: 공적 압력과 법률의 영향 = 12
6. 유아특수교육의 동향 = 18
7. 최선의 실제 구성 = 22
8. 서비스 전달 = 26
9. 통합교육 장면에서 유아의 요구 충족 = 30
요약 = 34
토론 주제 = 35
Chapter 2 가족과의 협력관계
1. 특별한 요구를 가진 아동 가족의 정서적 요구 = 43
2. 부모 반응 = 44
3. 체계로서의 가족 = 52
4. 형제와 대가족의 요구와 반응 = 54
5. 팀 구성원으로서의 양육자 = 56
6. 가족 참여를 위한 선택권 = 57
7. 문화적으로 다양한 가족과의 활동 = 84
8. 특별한 가족과 활동 = 92
요약 = 94
토론 주제 = 95
Chapter 3 특별한 요구와 진전 평가의 인식
1. 발달적 사정의 개념 = 99
2. 판별 = 99
3. 서비스 적격성 결정 = 101
4. 프로그램 계획의 사정 = 103
5. 프로그램 점검과 평가 = 104
6. 철학과 실제의 변화 = 105
7. 조기중재 팀 = 107
8. 유아에 대한 표준화 검사의 사용 = 108
9. 유아 사정에 대한 현재의 접근 = 116
10. 능숙한 관찰자 되기 = 120
11. 사정과 교육과정의 연계 = 127
12. 아동의 진전 점검 = 128
요약 = 132
토론 주제 = 133
Chapter 4 개별화 중재 계획과 프로그램 개발
1. 영유아와 가족을 위한 개별화가족서비스계획의 과정 = 136
2. 서비스 조정 = 147
3. 기관 간의 기본적인 협력 촉진 = 149
4. 학령전기 아동을 위한 개별화교육계획(IEP)의 개발 = 150
5. Danny의 사례 = 153
6. IEP에 요구되는 구성요소 = 158
7. 프로그램 목표의 기술 = 159
8. 전환 촉진하기 = 167
요약 = 169
토론 주제 = 170
Chapter 5 중재와 교수전략의 수행
1. 교육과정 = 172
2. 일반적인 교수전략 = 176
3. 중요한 교수 맥락으로서의 놀이 = 188
4. 학습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물리적 환경 배치 = 189
5. 삽입교수와 학습 기회 = 192
6. 결과나 목표 성취를 위한 다양한 활동의 제공 = 195
7. 특별한 요구를 가진 유아들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한 방법 준비 = 201
8. 특별한 요구를 지닌 유아들을 위한 교육과정 수정을 위한 고려사항 = 203
요약 = 215
토론 주제 = 216
Chapter 6 정서적 발달과 사회적 발달의 촉진
1. 정서적 안정 = 218
2. 건강한 환경 만들기 = 228
3. 사회적 기술 촉진하기 = 235
4. 발달적 놀이 행동 격려하기 = 238
5. 정서ㆍ행동문제 아동 돕기 = 247
6. 강화의 사용 = 260
7. 긍정적 행동지원 = 263
8. 학대받고 유기된 아동과 함께 활동하기 위한 특별한 고려사항 = 267
요약 = 270
토론 주제 = 271
Chapter 7 운동 기술과 자립 기술의 발달
1. Nikki = 274
2. 운동 기술의 발달 = 275
3. 비정상적인 운동발달 = 287
4. 운동능력의 사정 = 289
5. 치료적 중재 = 293
6. 적응 행동 기술의 발달 = 300
7. 환경의 수정 = 307
요약 = 315
토론 주제 = 315
Chapter 8 의사소통 기술의 발달
1. 언어의 하위기술 = 318
2. 초기 의사소통 발달에 대한 사회적 상호작용 이론의 기여 = 322
3. 유아의 의사소통 기술의 발달 단계 = 323
4. 의사소통 기술 발달의 필수 조건 = 329
5. 말, 언어, 개념 기능의 촉진 = 335
6. 의사소통 촉진을 위한 교실 전략 = 339
7. 중증중복장애 아동의 의사소통 촉진 = 342
8. 보완 대체 의사소통 체계(AAC) = 350
9. 청각장애 아동과 활동하기 = 355
10. 시각장애 아동과 활동하기 = 361
11. 자폐아동과 활동하기 = 362
12.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 아동과 활동하기 = 364
13. 말과 언어 전문가와의 협력적 협의 = 365
요약 = 366
토론 주제 = 367
Chapter 9 인지 기술과 문해발달의 촉진
1. 인지의 개념 = 370
2. 기본적인 인지 과정 = 371
3. 인지 기술의 발달 = 373
4. 유아 놀이의 발달단계를 통한 인지 기술의 증명 = 378
5. 영유아의 인지 기술 발달 촉진 = 379
6. 학령전기 아동의 인지 기술 발달 촉진 = 383
7. 인지장애 아동과의 활동 = 386
8. 교과 성취와 관련된 인지적 하위기능과 정보처리 하위기능의 촉진 = 388
9. 수학과 과학의 부상 = 394
10. 문해능력의 발달 = 402
11. 초기 언어와 문해능력 경험에 있어서 문화적 차이 = 409
12. 문해능력 출현을 촉진하는 전략 = 412
요약 = 419
토론 주제 = 420
Chapter 10 팀 구성: 협력, 문제해결, 자문
1. 협력, 문제해결 그리고 공유된 의사결정 = 424
2. 통합교육 장면에서 특별한 요구를 가진 아동을 지원하기 위한 모델 = 437
3. 통합교육 지원에 대한 협력교수 접근 = 452
4. 간학문적 전문가들과의 효과적인 팀 구성 = 462
5. 준전문가와의 활동 = 463
6. 일대일 보조원으로서의 준전문가 = 476
7. 준전문가 서비스 평가 = 478
요약 = 483
토론 주제 = 484
부록 A 정상발달 이정표 = 487
부록 B 아동의 말하기와 듣기 연령 확인하기 = 495
부록 C 반사, 반응, 시사점 = 499
부록 D 의뢰 신호 검목표 = 501
부록 E 유아특수교육 실습생 수행능력 = 505
부록 F 협력적 관계와 갈등해결 확립: 효과적인 의사소통 전략 = 509
부록 G 통합교육을 받고 있는 특성 장애아동을 돕는 방법 = 515
부록 H 환경적 접근에 사용되는 훈련 단계의 공통적 순서 = 521
부록 I 통합교육 지원 순회 절차 = 523
부록 J 특별한 요구를 지닌 아동과 가족 관련 웹사이트 = 537
부록 K 유아특수교육 정기간행물 = 541
용어해설 = 543
참고문헌 = 569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