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후기 = 5
역자 머리말 = 7
일러두기 = 10
역자 일러두기 = 11
1부 총설
1장 한국어 방언 연구의 역사 = 19
2장 한국어 방언 연구의 필요성 = 24
3장 한국어 방언 조사 경과 = 26
4장 한글의 로마자 전사 = 31
5장 조사 지점 일람 및 인용 문헌 약칭 = 34
2부 각론
1장 아(P) = 43...
목차 전체
목차
후기 = 5
역자 머리말 = 7
일러두기 = 10
역자 일러두기 = 11
1부 총설
1장 한국어 방언 연구의 역사 = 19
2장 한국어 방언 연구의 필요성 = 24
3장 한국어 방언 조사 경과 = 26
4장 한글의 로마자 전사 = 31
5장 조사 지점 일람 및 인용 문헌 약칭 = 34
2부 각론
1장 아(P) = 43
2장 외(oi) = 49
3장 여(iT) = 53
4장 요(io) = 58
5장 ㅿ(<TEX>$$\dot z$$</TEX>) = 60
6장 음절 중간에 나타나는 [b] = 68
7장 음절 중간에 나타나는 [k]ㆍ[g] = 113
8장 말(馬)의 명칭 = 144
9장 여우(狐) = 157
10장 매(鷹)의 명칭 = 183
11장 달팽이(蝸牛) 명의고(名義考) = 195
12장 소주(燒酒) - アラキ(araki) = 208
13장 벼(稻) = 223
14장 옥수수(玉蜀黍) = 226
15장 고구마(甘藷) = 231
16장 'ととき' 명의고(名義考) = 251
17장 냉이(薺) 명의고(名義考) = 267
18장 그네(?韆) = 277
19장 평안남북도 방언 = 285
20장 함경남도 및 황해도 방언 = 331
21장 북부 방언 활용어의 어말에 존재하는 '-둥'과 '-메' = 413
22장 70여 년 전의 함경도 방언 = 431
23장 신라어와 경상도 방언 = 441
24장 대구 부근의 방언 = 453
25장 제주도 방언 = 488
26장 '겨(在)'의 방언 분포 = 538
27장 겸양법 조동사 = 551
28장 방언 경계선의 한 사례 = 558
29장 서양인의 기록에 남아 있는 한국 방언 = 562
30장 일본어 특히 대마도 방언에 미친 한국어 어휘의 영향 = 590
31장 한국어에 있어서의 외래어 = 622
32장 방언 채집 회고 = 641
3부 한국어 방언 구획
1장 경상도 방언과 강원도 방언의 경계 = 655
2장 경상도 방언과 전라도 방언의 경계 = 659
3장 경상도 방언과 충청도 방언의 경계 = 668
4장 전라도 방언과 충청도 방언의 경계 = 678
5장 함경도 방언과 강원도 방언의 경계 = 688
6장 함경도 방언과 평안도 방언의 경계 = 697
7장 평안남도 방언과 황해도 방언의 경계 = 707
8장 경기도 방언과 인접한 여러 도 방언의 경계 = 714
9장 결론 = 722
역자 참고문헌 = 725
딸린 그림 = 728
찾아보기 = 738
용어 찾아보기
인명 찾아보기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