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일부
목차
제1장 서론 = 35
제1절 문제 제기 = 35
제2절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 41
제2장 '文'자의 원의 = 47
제1절 원형 = 47
제2절 본의 = 63
제3절 '무늬'와 '문채나다'라는 의미의 고금자(古今字) = 66
1. '무늬'의 고금자 '紋' = 68
2. '문채나다'의 고금자 '문' = 77
제3장...
목차 전체
목차
제1장 서론 = 35
제1절 문제 제기 = 35
제2절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 = 41
제2장 '文'자의 원의 = 47
제1절 원형 = 47
제2절 본의 = 63
제3절 '무늬'와 '문채나다'라는 의미의 고금자(古今字) = 66
1. '무늬'의 고금자 '紋' = 68
2. '문채나다'의 고금자 '문' = 77
제3장 '文'자에 '美' 관념이 형성되는 과정 = 85
제1절 고대 중국인의 '美'에 대한 자각 = 85
1. '美'字에 내포된 '美' = 86
1) 六書說로 살펴본 '美'字 = 86
(1) 會意說 = 88
(2) 形聲說 = 91
(3) 象形과 會意說 = 92
(4) 象形說 = 93
2) 원형-'文'字와의 관련성 = 98
2. 유물에 표현된 '美' 관념 = 101
제2절 '文'자에 대한 '美' 관념의 형성 = 113
1. 시대 배경 = 113
2. '文'자에 표현된 '美' 관념 = 116
1) 視覺 = 116
2) 聽覺 = 118
3) 言語 = 119
4) 哲學 = 121
제4장 '文'자, '文學', '文章'에 '文學' 개념이 형성되는 과정과 원인 = 123
제1절 '文'자에 '文學'이라는 개념이 생성되는 과정과 원인 = 124
1. 의미의 확정 = 125
1) 甲骨文 = 127
2) 金文 = 128
(1) 상나라의 金文 = 128
(2) 주나라의 金文 = 130
3) 詩經 = 132
(1) 禮 = 132
(2) 무늬 = 133
4) 書經 = 136
(1) 공자 이전 = 136
(2) 공자 이후 = 140
5) 論語 = 144
(1) 문채나다 = 144
(2) 꾸미다(문식하다) = 147
(3) 문헌(전적 典籍) = 148
(4) 글자 = 152
(5) 문화 = 153
(6) 시호 = 156
6) 左傳 = 157
(1) 무늬 = 157
(2) 문채나다 = 164
(3) 꾸미다(문식하다) = 166
(4) 우아하다 = 167
(5) 글자 = 167
(6) 지식 = 169
(7) 학문 = 170
(8) 문채나는 말(文辭), 응대하는 말 = 171
2. 의미 변화 과정 = 179
1) 선진시기 = 179
(1) 시경과 서경 = 179
(2) 論語 = 192
(3) 左傳 = 199
2) 한나라 = 205
3. '文學' 개념의 생성 원인 = 208
제2절 '文學'에 '學術 활동과 文學 활동' 개념이 생성되는 과정과 원인 = 212
1. '學'字 = 214
1) 원형 = 214
2) 본의 = 233
3) 의미의 확정 = 235
4) 의미 변화 과정과 '文學'이라는 용어의 생성 = 253
2. '文學'의 의미 변화 과정 = 256
1) 선진시기 = 256
2) 한나라 = 264
3. '學術 활동과 文學 활동' 개념의 생성 원인 = 267
제3절 '文章'에 '文學'이라는 개념이 생성되는 과정과 원인 = 268
1. '章'字 = 269
1) 원형 = 269
(1) '辛'字 = 272
(2) '章'字의 원형 결론 = 316
2) 본의 = 331
3) 의미의 확정 = 334
4) 의미 변화 과정과 '文章'이라는 용어의 생성 = 369
2. '文章'의 의미 변화 과정 = 373
1) 선진시기 = 373
2) 한나라 = 377
3. '文學' 개념의 생성 원인 = 379
제4절 소결 = 381
제5장 결론 = 385
〈참고문헌〉 = 393
부록 1 = 401
부록 2 = 408
서평 (0 건)
*주제와 무관한 내용의 서평은 삭제될 수 있습니다. 한글 기준 10자 이상 작성해 주세요.
서평추가